[include(틀:2차 세계대전/일본 화포)] [include(틀:화포 둘러보기)] || [[파일:attachment/41식 산포/type4175mm(3).jpg|width=100%]] || || '''四一式山砲''' (よんいちしきさんぽう) / '''連隊砲''' (れんたいほう 聯隊砲)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 육군]]이 사용했던 [[산포]]. 1908년, [[독일 제국]]의 [[크루프]]제 M08 산악포를 라이센스 생산한 제품이다. 1908년부터 1945년 종전 때까지 사용되었다. == 사양 == ||
* 중량 : 540 ~ 544kg * 포 구경 : 75mm 19.2 구경장 * 포신 길이 : 1.1m * 초속 : 360m/s(???탄), 435m/s(???탄) * 최대사정거리 : 6,300m(???탄), 7,022m(???탄) * 각도 : -8 ~ 25도, 앙각 40도 * 수평사각 : 좌 3.5도, 우 2.5도 * 발사속도 : 약 10발/분 * 사용탄 : 10년식 유탄, 90식 유탄, 94식 유탄, 95식 철갑유탄, 발연탄, 조명탄, 대전차성형작약탄(일명 タ탄) || == 정확도 == 미 육군이 테스트한 결과, 3200야드[* 2.92608km]거리에서는 가로 18m, 세로 27m의 직사각형 범위 안에 75%의 포탄이 명중했다. == 운용 == 연대급 포로 연대당 4문씩 배치되었다. 포 1문 당 13명이 인원이 조작했는데, 4명의 포수[* 조준병 2명, 발사담당 1명]와 1명의 장전수, 보조 2명,[* 포 좌우 방향전환 담당.] 포탄 운반병 5명, 지휘관 1명으로 구성되었다. 포 운반에는 6마리의 말과 1마리의 포탄 운반용 말이 동원되었다. == 기타 == 이 포의 개량형이 [[94식 산포]]이다. 같은 이름의 기병포도 존재한다.(41식 기병포)[* 다만 이는 38식 야포를 기반으로 제작한 것이다.] [[중화민국]]에서는 [[돤치루이]]와 [[장쭤린]] 등의 친일 북양군벌들이 이 산포를 사용하기도 했다. 의외로 [[장제스]]의 [[국민혁명군]] 역시 전간기에 많은 수를 수입해 포병전력으로 활용했다. 무한의 한양 병공창에서는 한양 10식 75산포, 산시성의 [[타이위안 병공창]]에서는 산시 13식 산포라는 이름으로 자체 생산하기도 했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에는 중공군에 의해 6.25 전쟁에 투입되기도 했다. == 미디어 == === [[이오지마에서 온 편지]] === ||
[[파일:external/www.imfdb.org/LfIJ_type41.jpg|width=100%]] || || [[파일:external/www.imfdb.org/LfIJ_type41_2.jpg|width=100%]] || || '''이오지마에서 온 편지에서의 41식 산포''' || 일본군의 장비로 나온다. [[분류:야포]][[분류:지상 병기/세계 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