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Type 4}}}'''[br]''四式自動小銃''[br]''4식 자동소총''}}}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elcome-outdoor.net/DSC_0020.jpg|width=100%]]}}}|| ||<-2><:> {{{#000,#ddd {{{-1 4식 소총의 실물사진.}}}}}} || || '''종류''' ||[[반자동소총]] || || '''원산지'''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width=23]] [[일본 제국]]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1944년]]~[[1945년]] || || '''개발년도''' ||[[1944년]] || || '''생산''' ||[[요코스카]] 해군 병기창 || || '''생산년도''' ||[[1945년]] || || '''생산수''' ||500정 || || '''사용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width=23]] [[일본 제국]] || ||<-2> {{{#White '''기종'''}}} || || '''원형''' ||[[M1 개런드]] || ||<-2> {{{#White '''제원'''}}} || || '''탄약''' ||[[7.7x58mm|7.7x58mm 아리사카]] || || '''급탄''' ||10발짜리 내부 탄창[br]5발들이 [[탄 클립]] 2개 || || '''작동방식''' ||[[가스 작동식]], [[회전 노리쇠]] || || '''총열길이''' ||590mm || || '''전장''' ||1,073mm[br]1,456mm (착검 시) || || '''중량''' ||4.4kg || || '''탄속''' ||840m/s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g15MmxGLgI)]}}} || || [[Forgotten Weapons]]의 리뷰 영상 || [ruby(四式自動小銃,ruby=よんしきじどうしょうじゅう)] [[일본 제국 해군|일본 해군]]이 개발한 [[반자동소총]]. 일본어 공식명칭은 4식이나 미군이 임의로 붙인 명칭에 따라 5식(Type 5)으로도 불리고 있다. == 역사 == [[제2차 세계 대전]]당시 태평양 전선에서 일본군과 치고박던 [[미군]]은 일본군의 볼트액션 소총인 [[아리사카]] 소총보다 모든 면에서 뛰어난 반자동 소총 [[M1 개런드]]를 주요 제식 화기로 사용했다. 덕분에 보병 화력에서 미군은 일본군보다 압도적인 우위를 차지하고 있었고 이러고 보니 일본군은 미군과의 싸움에서 고전을 면치 못했는데 이에 일본군은 미군과 같은 반자동 소총을 생산할 필요를 느꼈다.[* 일본군도 필요하다고 생각하면 노획하여 카피하거나 자체개발하려하지만 불필요하다고 판단되면 관심이 거의 없었다. 똑같이 노획한 톰슨이나 100식같은 기관단총류는 권총탄을 사용하여 위력이 약하다고 판단하였는지 기관단총에 대한 관심이 떨어져 있었다.] 이에 일본군은 미군으로부터 [[노획]]한 M1 개런드를 자국의 [[7.7x58mm]] 탄환을 사용하도록 살짝 개조해서 실험한 결과 M1 개런드에 비해 탄환의 화력이 조금 약해서 작동이 불안정하지만 그럭저럭 쓸만하다는 평가를 내린다. 하지만 노획품의 특성상 공급이 불안정하고 전장에서 바로 사용하거나, 전투상황에 따라 지휘관의 명령에 따라서 일부러 파괴하는 경우도 잦았고 결국 주요부품인 [[M1 개런드]]는 항상 부족했기 때문에 [[대본영]]에서는 개조 계획을 포기하고 계획은 이대로 묻히나 싶었는데...[* 100식 기관단총도 같은 이유.] '''일본 해군'''이 반자동소총을 개발하기 시작한다. 태평양 전쟁을 시작하면서 해군 육전대나 공정부대 등 해군도 육지전투를 벌이는 경우가 늘어났고 때문에 개인화기에 대한 수요도 늘어난다. 그러나 일반적인 경우라면 원래 해군은 근대이후로 개인화기의 필요성이 급격하게 낮아졌고, 때문에 상식선에서 해군은 그 나라 육군이 사용하는 총을 같이 쓰고 그마저도 [[해병대]]같이 육상 전투를 벌이는 병력을 제외하면 2선급 화기를 [[예비군]]과 같이 쓰는 게 일반적이다. 그러나 [[일본군의 육해군 대립]] 때문에 육군장비를 써서 비용과 자원을 아낀다는 합리적인 방법은 수용할 수가 없었고, 결국 또 없는 자원과 인력을 들여가며 1942년부터 독자적으로 해군 포술학교(海軍砲術学校)에서 설계를 맡고 와시노 정밀기계에서 생산을 담당하는 식으로 반자동소총 개발을 시작하나 전쟁 중이라 시간이 없다는 이유로 [[리버스 엔지니어링|M1 개런드 소총의 설계를 약간 개조한]] 4식 반자동소총이 1944년에 만들어진다. == 상세 == M1 개런드의 파생형 수준으로 유사한 소총이었지만 그래도 차이점을 찾자면 우선 99식의 탄젠트 조준기를 달았고, 장전도 기존 99식 소총의 탄창과 유사한 내부 탄창을 써서 개런드의 엔블록 클립 대신, 일본군의 99식 소총용 클립 2개를 동시에 넣을 수 있어서 개런드의 8발에 비해 '''10발'''이라는 장탄수의 우위를 가질 수 있었다.[* 따라서 좌측에 엔블록 클립을 빼낼 수 있는 클립 멈치가 4식에서는 생략되어 있다.] 거기에 육군도 1945년부터 반자동소총을 개발하나 본토까지 불바다가 되는 마당에 소총개발할 시간과 물자와 예산따위는 없었고 결국 해군이 만든 4식 반자동소총에 총알만 [[7.7x58mm]] 로 바꾼[* 일본 해군과 육군의 소총탄은 달라서 호환되지 않았다. 일본 해군은 [[7.7x58mm]] 아리사카 탄 대신 [[.303 브리티쉬]] 탄을 썼다. 원인은 역시 [[일본군의 육해군 대립|육해군 대립]].] 형태로 중앙공업사를 통해 생산을 시작했다. 해군은 요코스카에 있던 해군 기관총 공장 귀퉁이에서 라인 하나 빌붙어서 250정 정도 만들어지며, 이외의 수량을 합해도 총생산량은 '''총 500정'''되는 수준이었다. 일본 본토에서만 아주 늦게 적은 양만 생산되었기 때문에 실전에서 사용할 수 없었고 투입했어도 본토 방위용으로 썼을 것이다. 사람들에게 '''5식 자동소총'''으로 알려진 경우가 있었다. 왜 이름이 변경되었는가 하면, [[태평양 전쟁]]이 종전된 다음, [[미군]]이 일본에 상륙해서 구 일본군의 잔여 무기들을 처리할 때 개런드 비슷한 이 총을 보고는 5식으로 명명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본에서는 4식 자동소총, 다른 국가에서는 5식 반자동소총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그 후 미국도 잠깐 실사격 실험을 한 후 위에 나와있는 문제점을 확인한 후에 위에서 나온 몇정을 제외하면 대부분 폐기처분했다. [[97식 자동포|비슷한 처지의]] [[4식 분진포|무기]]들도 있는데다 일본의 공업능력상 99식이 생산되고 있음에도 38식과 혼용해서 사용했으니 더 일찍 나온다 해도 공정대에게조차 제대로 완편하기엔 힘들었을 것이다. == 기타 == [[7.7mm]]탄이 가스압이 모자라서 작동불량을 일으키자 반자동소총용 총알을 따로 설계했다는 말이 있으나 이건 시제품이나 만들어 지긴 했는지도 확인 안되는 물건이라 계획서에서 끝난거 아니냐는 말도 있다. 일본 해군 무기고에서 20정 가량 발견되었다고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xUBvrCACNDQ|링크]] 미군이 미처 발견하지 못하여 폐기처분을 피해간 물량인듯하다. == 대중 매체에서 등장 == * [[배틀필드 시리즈]] * [[배틀필드 1942]] - 일본군 공병의 주무장으로 등장한다. 그런데 클립이 아니라 탈착식 탄창으로 장전한다. * [[배틀필드 1943]] - 일본군 소총수가 사용한다. 모델링을 보면 그냥 개런드 색놀이에 국화무늬만 찍어놨다. 게다가 스탯까지 개런드랑 판박이. * [[배틀필드 배드 컴퍼니 2]] - 싱글 미션(2차대전 미션 한정)에서 나온다. 배틀필드 1943의 모델링을 사용한다. * [[소녀전선]] - 4성으로 나온다. 자세한 건 [[4식(소녀전선)|4식]] 참고. * [[콜 오브 듀티: WWII]] - 업데이트로 '5식 반자동 소총'이라는 이름으로 추가되었다. 아리사카 탄 클립이 아니라 10발들이 엔블록 클립으로 장전해서 개런드마냥 '핑' 소리가 들린다. * [[인리스티드]] - 일본군 31레벨 반자동 소총으로 나온다. == 둘러보기 == [include(틀:2차 세계대전/일본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분류:반자동 소총]][[분류:보병 무기/세계 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