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율리우스 카이사르)] [목차] == 개요 == Legio IV Macedonica. 상징은 [[황소]]. [[카이사르의 내전]] 시기에 [[율리우스 카이사르]]에 의해 창설되었고, [[아우구스투스]] 시기에 라인 전선에 배치되었다. 70년 [[베스파시아누스]]에 의해 해체되었다. == 로마 공화국 말기 시기 == 기원전 49년 내전을 감행한 [[율리우스 카이사르]]에 의해 창설되었다. 이들은 [[디라키움 공방전]]에서 첫번째 전투를 치렀다. [[파르살루스 전투]]에는 참전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되며, 이후에는 마케도니아 속주에 그대로 주둔했기 때문에 '마케도니카(Macedonica)'라는 별칭이 붙었다. 카이사르는 내전을 마무리하고 종신 [[독재관]]에 취임한 뒤 [[파르티아]] 원정을 준비했는데, 4군단 역시 원정에 동원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원정은 기원전 44년 3월 15일 [[율리우스 카이사르 암살 사건]]이 벌어지는 바람에 취소되었다. 기원전 44년 여름 [[마르쿠스 안토니우스]]에 의해 이탈리아로 소환되었지만 얼마 후 카이사르가 남긴 유언에 의해 카이사르의 후계자로 지명된 [[옥타비아누스]] 편에 섰다. 기원전 43년 4월 [[무티나 내전]]에서 옥타비아누스의 지휘하에 안토니우스와 맞서 싸웠다가 큰 손실을 입었다. 그 후 안토니우스, 옥타비아누스, 그리고 [[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가 제2차 [[삼두정치]]를 결성한 뒤 발칸 반도로 출진할 때 함께 했으며, 기원전 42년 [[필리피 전투]]에서 [[마르쿠스 유니우스 브루투스]]와 [[가이우스 카시우스 롱기누스]]가 이끄는 해방자파 군대를 격파하는 데 일조했다. 기원전 41~40년 [[페루시아 내전]] 시기에 옥타비아누스의 편에 서서 안토니우스의 동생인 [[루키우스 안토니우스]]와 맞서 싸워 옥타비아누스의 승리에 일조했다. 기원전 31년 [[안토니우스-옥타비아누스 내전]]이 발발했을 때에도 옥타비아누스의 편에 섰고, [[악티움 해전]]에 참전했다. 내전이 종식된 후 4군단 출신 퇴역병들은 베네치아 일대에 정착했다. ==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시기 == 로마 제국의 초대 황제 [[아우구스투스]]는 자신을 처음부터 지지해준 4군단을 스페인 타라코나 지방에 재배치한 뒤 [[칸타브리아 전쟁]]에 투입했다. 칸타브리아 전쟁이 종결된 후에는 헤레라 데 피수에르가로 이전되었다. 일설에 따르면, 이 시기 4군단 출신 퇴역병들이 정착해서 세운 도시가 현재의 콰르탕고가 되었다고 한다. 이는 콰르탕고의 옛 지명이 콰투오르(quattuor, [[라틴어]]로 4를 의미한다)인 것에서 비롯된 가설이다. 안달루시아에서 출토된 기원전 1세기 ~ 서기 1세기경에 세워진 비문에는 이들이 토목 공사를 수행했다는 내용이 많이 실려 있다. 41년 또는 43년, [[클라우디우스 1세]] 황제는 4군단을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 속주의 중심 도시인 모군티아쿰(현재 독일의 [[마인츠]])로 이전시켰다. 이는 [[클라우디우스의 브리타니아 침공]]에 동원된 [[14군단 게미나]]를 대체하기 위한 조치였다. 4군단은 최근 창설된 22군단 프리미게니아와 요새를 공유했다. 22군단은 요새의 좌측면에 배치되었고, 4군단은 우측면에 배치되었다. 68년 갈리아 루그두넨시스 총독 [[가이우스 율리우스 빈덱스]]가 [[네로]] 황제의 폭정을 규탄하며 반란을 일으켰다. 이에 라인 강 상류 방면 로마군 사령관 [[루키우스 베르기니우스 루푸스]]가 반란군 토벌에 나섰는데, 4군단 역시 루푸스를 따라갔다. 반란이 성공적으로 진압되고 빈덱스가 자결한 뒤, 4군단을 비롯한 라인 전선 로마군 장병들은 루푸스에게 황제가 되어달라고 요구했다. 그러나 루푸스는 끝까지 거부했고, 군단병들은 어쩔 수 없이 받아들였다. 그러면서도 더 이상 네로를 위해 싸우지 않겠다는 뜻을 공공연히 드러냈다. 그 사이 네로는 궁지에 몰린 끝에 자살했고, [[갈바]]가 새 황제에 올랐다. == [[네 황제의 해]] 시기 == 갈바는 루푸스를 잠재적인 정적으로 여기고 해임시킨 뒤 방탕하고 탐욕스럽기로 유명한 [[비텔리우스]]와 늙고 장애가 있는 호르도니우스 플라쿠스를 라인 군단 지휘관으로 선임했다. 그러나 69년 1월 갈바에게 불만을 품은 군단병들이 비텔리우스를 받들어 반란을 일으키면서, 갈바의 이 선택은 자충수가 되고 말았다. 4군단은 비텔리우스를 제일 먼저 황제로 추대했고, 대다수 장병들은 비텔리우스를 따라 이탈리아로 진격해 1차 베드리아쿰 전투에서 갈바를 시해하고 제위에 올랐던 [[마르쿠스 살비우스 오토]]를 격파하고 비텔리우스가 로마에 입성하는 데 일조했다. 비텔리우스는 4군단 장병 일부를 [[프라이토리아니]]에 선임하는 것으로 보답했다. 그러나 69년 10월, 4군단은 [[베스파시아누스]]를 황제로 내세운 도나우 전선군과의 2차 베드리아쿰 전투에서 패배했다. 살아남은 장병들은 로마에서 끝까지 항전했지만, 그 해 12월 로마에서 벌어진 시가전에서 궤멸되었다. 한편,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속주에서는 로마가 내전으로 정신 없는 틈을 타 독립을 꾀한 바타비족이 [[바타비아 반란]]을 일으켰다. 4군단은 이 반란 기간 동안 바타비족과 이에 호응한 게르만인들의 침략을 번번이 격퇴해 모군티아쿰을 사수했다. 그러나 베스파시아누스는 이들이 비텔리우스를 절대적으로 지지했다는 점 때문에 신뢰할 수 없다고 여기고 70년에 해산시키고, 4군단 플라비아 펠릭스를 창설했다. [[분류:율리우스 카이사르]][[분류:로마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