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비욘세)] ||<-3><#dee1ce> [[비욘세|{{{#151438 {{{-2 '''비욘세'''}}}}}}]]{{{#151438 {{{-2 '''의'''}}}}}} [[비욘세/음반 목록|{{{#151438 {{{-2 '''주요 앨범'''}}}}}}]] || || {{{#8c8c8c ←}}} ||<|2><#dee1ce> {{{#151438 {{{-1 '''정규 4집'''}}}[br]{{{+1 ''' ''4'' '''}}}[br]{{{-1 (2011)}}}}}} || {{{#8c8c8c →}}} || || {{{#8c8c8c {{{-2 정규 3집}}}}}} [br][[I Am... Sasha Fierce|{{{#4D4D4D {{{-1 ''' ''I Am...[br] Sasha Fierce'' '''}}}}}}]][br]{{{#8c8c8c {{{-2 (2008)}}}}}} || {{{#8c8c8c {{{-2 정규 5집}}}}}}[br][[BEYONCÉ|{{{#DCAEC7 {{{-1 ''' ''BEYONCÉ'' '''}}}}}}]][br]{{{#8c8c8c {{{-2 (2013)}}}}}} || ||<-2><:> {{{+2 {{{#000000 '''4'''}}}}}} ||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비욘세 4 .jpg|width=100%]]}}}|| || '''발매일''' || 2011년 6월 24일 || || '''장르''' || [[컨템퍼러리 R&B|R&B]], [[팝 음악|팝]] || || '''프로듀서''' || [[비욘세]], [[디플로]], [[베이비페이스]], [[OneRepublic|라이언 테더]], [[The-Dream|더 드림]] || || '''레이블''' || [[파일:parkwood logo_gold.png|width=60]], [[컬럼비아 레코드|[[파일:컬럼비아 레코드 로고.svg|width=1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비욘세]]의 네 번째 정규 앨범이다. 앨범 제목인 4는 비욘세가 제일 좋아하는 숫자이자 그녀에게 행운의 숫자이다. 이 앨범의 영감은 사랑이다. 아버지 매튜 놀즈와 결별한 후 처음으로 만든 앨범이며 앨범형 아티스트로 변모를 시도한 앨범이기도 하다. == 발매와 홍보 == 전작인 [[I Am... Sasha Fierce]]의 대성공 이후 비욘세는 휴식을 선언했다. 무려 3년만에 리드 싱글 Run the world를 2011년 4월 21일에 공개하며 컴백하였다. [[오프라 윈프리|오프라 윈프리 쇼]]의 마지막 공연과 [[빌보드 뮤직 어워드]]에서 펼친 공연은 전세계적으로 큰 찬사를 받으며 곡을 널리 알렸다. 이후 두 번째 싱글로는 대중적인 곡인 Best Thing I Never Had를 발매했다. 앨범 발매 한 달 전 전 곡이 유출되는 악재가 발생하였다. 이 후 여러 토크쇼를 통해 싱글들을 홍보하다 2011년 6월 24일 앨범을 발표하였다. 영국의 초대형 락 페스티벌인 [[글래스톤베리]]에서 흑인 여가수 최초로 헤드라이너를 맡으며 공연을 하였다. 이 공연은 큰 호평을 받았다. 이후 2011년 8월 28일 [[VMA]]에서 [[Love On Top]]을 공연하며 첫째 딸 블루아이비의 임신을 발표하며 앨범 활동을 빠르게 접었다. 2011년 10월 4일에 Countdown이 세 번째 싱글로, [[Love On Top]]이 2011년 12월 7일 마지막 싱글로 발표되었다. 출산 후 2013년 [[슈퍼볼]] 하프타임쇼에서 헤드라이너로 공연 하였으며 2013년 미세스 카터스 투어 쇼를 통해 4의 수록곡을 공연하였다.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음악), album=4, artist=Beyoncé, critic=73, user=7.8)] ||
<#FFFFFF><:> [[피치포크/연대별 최고의 앨범|[[파일:피치포크 로고.svg|width=70]]]] ||<#FFFFFF,#1F2023> [[피치포크/연대별 최고의 앨범|{{{#000,#fff '''피치포크 선정 2010년대 최고의 앨범'''}}}]][br]{{{+5 '''31위'''}}} || [include(틀:Rock NYC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순위=69)] [include(틀:BuzzFeed 선정 147대 명반)] 평론가들에게 전반적으로 복고적인 R&B와 팝 사운드를 잘 섞었다며 호평을 받았으며 [[피치포크]]에서도 8.0점을 주며 호평을 하였다. 메타크리틱에서도 73점을 기록하였다. 팝 역사에 남을 앨범인 아델의 21이 동기간에 76점을 받은걸 보면 큰 호평을 받았다는걸 알 수 있다. 하지만 트랙배치가 따로 놀아서 유기성이 떨어진다는 지적과 I was here과 같은 곡은 그 당시 비욘세가 부르기에 너무 이르다는 지적 또한 있었다. [[그래미 어워드]]에서는 [[Love On Top]]이 최우수 정통 R&B 퍼포먼스상을 받으며 이 앨범에서 유일하게 수상하였다. == 성적 == ||<#FFFFFF><:><-5>
{{{+1 [[빌보드 200]] {{{#B2A529 ''' 역대 1위 앨범 ''' }}} }}} || ||<#FFE400><:> The light of the sun ||<#FFE400><:> {{{+1 → }}} ||<#FFE400><:> '''[[4]] ''' ||<#FFE400><:> {{{+1 → }}} ||<#FFE400><:> [[4]] || ||<#FFFFFF><:><-5> {{{+1 [[빌보드 200]] {{{#B2A529 ''' 역대 1위 앨범 ''' }}} }}} || ||<#FFE400><:> [[4]]||<#FFE400><:> {{{+1 → }}} ||<#FFE400><:> '''[[4]] ''' ||<#FFE400><:> {{{+1 → }}} ||<#FFE400><:> Red river blue || 앨범 발매 '''한달 전 전 곡 유출'''과 '''부진한 싱글 성적'''에도 불구하고 미국 초동 31만장을 기록하며 미국에서 순수총판 160만장 '''전세계적으로 320만장'''을 판매하며 '''성공하였다'''. 실험적인 사운드인 런 더 월드가 리드 싱글임에도 29위를 기록하였으며 다른 싱글들도 큰 반응을 못 일으키며 기록상 [[빌보드 핫 100]]에서는 가장 실패한 비욘세의 앨범이다. 하지만 유명세 높은 BBMA 공연과 미세스 카터쇼 오프닝 공연의 영향으로는 런 더 월드는 스포티파이에서 3.5억의 스트리밍을 기록하며 2011년 히트싱글들 보다 높은 스트리밍을 보이며 재평가를 받고있다. 2번째 싱글인 Best thing i never had는 빌보드 핫 100 피크 16위로 나름 괜찮은 성적을 냈으며 [[빌보드 연말 차트]]에도 86위로 진입하였다. 대중들에게 큰 호평을 받았던 [[Love On Top]]을 팬들은 빨리 싱글컷 하길 원했지만 결국 발매 6개월이 지난 12월에 싱글컷하며 20위라는 성적을 기록했다. 하지만 대중들이 꾸준히 찾아들어 스트리밍 3.6억을 달성하며 코첼라 공연 엔딩에서도 halo 대신에 부르는 등 명실상부 비욘세의 대표 곡 중 하나가 되었다. 부진한 차트기록과 달리 싱글들의 디지털 세일즈는 런 더 월드가 382만 건, Best thing i never had는 461만, [[Love On Top]]은 467만 건을 기록하며 '''준수한 판매량을 기록'''하였다. 스포티파이 앨범 총 스트리밍은 '''16억'''으로 2011년 앨범치고는 상당히 높은 기록이다. 2011년에 흥행에 대성공한 [[레이디 가가]]의 [[Born This Way]] 앨범이 약 8억 스트리밍, 메가히트곡과 여러 히트곡을 탄생시킨 [[리아나]]의 [[Talk That Talk]]이 14억 스트리밍 인 것을 보면 '''4가 스트리밍에서 성공했음을 알 수 있다'''. == 트랙 리스트 == ||||<-2><:>{{{#black '''4''' }}}|||| ||<:>트랙||<:>곡명|| ||<:>1 ||<:> [[Love On Top]] || ||<:>2 ||<:> Party || ||<:>3 ||<:> Schoolin life || ||<:>4 ||<:> Countdown || ||<:>5 ||<:> I miss you || ||<:>6 ||<:> Dance for you || ||<:>7 ||<:> I care || ||<:>8 ||<:> Rather die young || ||<:>9 ||<:> 1+1 || ||<:>10 ||<:> End of Time || ||<:>11 ||<:> Run the world || ||<:>12 ||<:> Best thing i never had || ||<:>13 ||<:> Start over || ||<:>14 ||<:> I was here || == 뮤직비디오 및 라이브 == === [[Love On Top]] === [youtube(Ob7vObnFUJc)] === Party(Feat. [[안드레 3000|Andre 3000]]) === [youtube(XWCwc1_sYMY)] === Countdown === [youtube(2XY3AvVgDns)] === Dance for you === [youtube(PGc9n6BiWXA)] === I care === [youtube(nnReaaJwloI)] === 1+1 === [youtube(KaasJ44O5lI)] === End of Time === [youtube(OJBfv9CHlcw)] === Run the world (Girls) === [youtube(VBmMU_iwe6U)] === Best thing i never had === [youtube(FHp2KgyQUFk)] === I was here === [youtube(VFB2evm8Wdo)] [[분류:비욘세]][[분류:빌보드 1위 앨범]][[분류:오피셜 차트 1위 앨범]][[분류:2011년 음반]][[분류:미국의 R&B 음반]][[분류:컨템퍼러리 R&B]][[분류:The-Dream]][[분류:제목이 숫자인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