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GOT7의 첫 번째 팬미팅, rd1=365+)] [include(틀:대한민국의 편의점)] ||<-2> {{{#fff {{{+1 '''365플러스'''}}}[br]365PLUS}}} || ||<-2> [[파일:365plus_bi_edited.gif|width=70%]] || || {{{#fff '''분야'''}}} ||[[편의점]] || || {{{#fff '''설립'''}}} ||[[2011년]] [[11월 22일]] || || {{{#fff '''해산'''}}} ||[[2022년]] [[1월 1일]] || || {{{#fff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fff '''모기업'''}}} ||[[홈플러스|[[파일:홈플러스 로고.svg|width=100]]]] || || {{{#fff '''링크'''}}} ||[[https://web.archive.org/web/20160611000146/http://365plus.homeplus.co.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웹 아카이브]][* 당시 도메인은 [[http://365plus.homeplus.co.kr/]]였으며 2017년부터는 홈플러스 회사소개 페이지로 리다이렉트 되었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external/www.ksdaily.co.kr/57455_14328_542.jpg]] || [[홈플러스]]에서 운영했던 [[슈퍼마켓]]형 [[할인점|할인매장]] 겸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의 로컬[[편의점]] 체인. [[2011년]]에 1호점이 생기면서 시작되었지만 [[2014년]]부터 본격적으로 매장 수를 늘려가고 있다. 기존에 이미 [[GS25]], [[CU]], [[세븐일레븐/한국|세븐일레븐]]이 있는 데다가 [[신세계(기업)|신세계]]가 [[이마트24|위드미]]를 인수하며 등판한 편의점 업계에서 열심히 피를 튀기고 있다. 아직 점포가 많이 없기 때문에 일부 지역(주로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서부에 몰려있다[* 참고로 [[서수원칠보체육관]]을 갈 경우, 이 부근으로 진입하는 시점에 있는 해당 편의점이 먹을 것을 사갈 수 있는 최후의 보루임을 알아둘 것.].)[* 한때 지방에는 [[대전광역시]],[[천안시]],부산아시아드점 총 3곳 있었으며, [[전라도]]와 [[충청북도]],[[강원도]]에는 아예 없다. ][* 특히 전국에서 인구대비 편의점 수가 가장 많은 [[제주특별자치도]]에 매장이 없다.]에서는 생각보다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그래도 아직 확장 중에 있기 때문에 앞으로의 전망을 더 지켜봐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얼마 전에는 양평동 한신아파트를 비롯해 주유소에까지 편의점을 열었다. 그러나, 정왕역 인근 점포는 폐업했다. [[2021년]] [[10월]] 기준 14개의 점포를 운영중. [[홈플러스|본진]]의 [[이마트|라이벌]] 때문인지 [[이마트24]]와 묘하게 비교되고 있다. 열심히 점포 수를 늘려 가는 것도 있고... 현재 알려진 점포 중에 대표적인 곳에는 [[서울 7호선]] [[신풍역]][* 대부분 입지가 좋지 않은 곳에 있으나 이 지점은 신풍역 지상 출구 근방에 있다.], [[인천 지하철 1호선]] [[간석오거리역]]. 택배는 과거 [[세븐일레븐/한국|세븐일레븐]][* 운영사를 [[롯데택배]]로 바꾸었다.]에서 해오던 [[한진택배]]에서 운영한다. 그러나 [[테스코]] [[영국]] 본사의 '''[[분식회계]] 파동'''으로 사모펀드인 [[MBK파트너스]]에 [[홈플러스]]를 매각하기로 하면서 어떻게 될 지 모르게 됐다. 실제 이 시기에 폐업하거나 타 브랜드로 대거 전환되는 등 사세가 급속히 위축되었다. 결국은 2016년 380개의 점포수를 찍었다가 2021년 49개에서 11개로 점포수가 쪼그라들면서 사업 철수 수순을 밟고 있다. [[http://naver.me/GTgWngxQ|#]] 그리고 2022년이 되면서 남아있던 11개도 타 브랜드로 변경되었거나 폐업하였다. [[경기도]] [[안성시]] 금산동에 있던 [[https://kko.to/bDwvwVuIp1|365플러스 안성금산점]]. 현재는 [[CU]]로 브랜드가 변경되었다. 하지만 아직 카카오맵에서는 유일하게 365플러스 편의점으로 등록이 되어있다. 나머지 지점들은 모두 변경되었는데 왜 아직 365플러스로 등록되어 있는지는 불명. == 특징 == === [[홈플러스]]와의 연계 === 태생이 태생이다보니 [[홈플러스]]의 PB상품들이 비슷한 가격에 들어왔다. [[테스코]] 상표 붙어있는 물건들도 꾸준히 들어왔다. 이게 전부 본진이랑 홈플러스 익스프레스와 같은 물류를 사용해서 그랬던것이다. ==== 멤버쉽 및 할인 ==== [[홈플러스]]와 똑같이 패밀리카드를 사용했고, 적립률도 일반 패밀리카드는 0.5%, [[OK캐쉬백]] 탑재 패밀리카드는 0.45%(패밀리카드) + 0.05%([[OK캐쉬백]])로 [[홈플러스]]와 똑같았다. 다른 편의점 체인들처럼 매장에 카드를 비치[* 모두 [[OK캐쉬백]]이 탑재되어 있었다.]해서 한 장씩 가져가 등록할 수 있었고, 카드를 등록한 뒤엔 휴대폰 번호로도 적립 가능했다.[* 단, 패밀리카드만 가능한 일이고, [[OK캐쉬백]]은 휴대폰 번호로 적립할 수 없다. [[OK캐쉬백]]이 탑재된 패밀리카드를 등록한 경우에는 휴대폰 번호로 패밀리카드 포인트와 [[OK캐쉬백]]이 함께 적립되었다.] [[OK캐쉬백]]의 경우에는 5천점 이상 있을 경우 구매 금액의 최대 15%까지만 사용할 수 있는 등 조건이 까다로웠으며, [[홈플러스|본진]]의 쥐꼬리만한 적립률도 그대로 가져왔다. 패밀리카드와 [[OK캐쉬백]]이 '''끝이다'''. 통신사 제휴 같은 건 없다. 홈플러스에 자체적으로 발행한 빨간색 신한카드를 이용하여 적립, 결제하게 되면 제휴 적립율과 외부에서 긁을 때의 적립율이 이중으로 적용되었다. 체크카드 기준으로, 홈플러스 포인트가 구매액의 1.1% 적립되는 것 이었다. === 다양한 물건과 싼 가격 === PB상품을 들여오면서 450원짜리 라면을 들여놓기도 하였지만, PB가 아니더라도 다른 편의점 체인에 비해 1~200원 정도 더 싼 물건이 많았다. [[홈플러스]]와 물류를 공유하다보니 취급하는 물건도 [[편의점]]이 맞나 싶을 정도로 다양했다. PB 딱지 붙고 나오는 밀가루나 식초, 워셔액(...)이나 락스 외에도, [[국수]] 소면이라든가 부침가루(...)같은, '[[편의점]]에서 과연 찾는 사람이 있는 건가' 싶은 생필품도 갖춰 놓는 곳이 많았다. 심지어 2017년 8월말 현재 생물 꽃게마저 팔고 있다. 신선식품 코너에도 쌈채소라던가 [[버섯]], [[당근]]이나 [[애호박]] 같은 야채도 취급하고, [[귤]]이나 [[복숭아]], [[사과]]처럼 시즌별 과일도 봉지 또는 박스로 들어온다. 날[[계란]], [[두부]], [[콩나물]]에 심지어는 '''[[연어]]'''나 '''언양식 소[[불고기]]''', '''냉동 [[삼겹살]]'''까지 팔았다. 바나나 같은 경우에는 기간 한정 없이 1개 500원에 파는 중. 이렇게 신선식품이나 생활 잡화 비중이 많다 보니 [[CU|편]][[세븐일레븐/한국|의]][[GS25|점]] [[미니스톱/한국|업]][[이마트24|계]][[스토리웨이|에서도]] '''[[편의점]]이 아니고 홈플러스 익스프레스가 24시간 영업하면서 규제 피해가려고 하는 게 아닌가''' 하는 시선을 보이고 있었다. ==== 기간 한정 행사 ==== 편의점업계 후발주자답게 기간한정 행사를 매우 후한 묶음가격에 열어버렸다. 그냥 다른 편의점들처럼 수입 [[맥주]] 네 캔에 만원 행사나 1+1, 2+1 행사나 컵라면을 사면 뭘 싸게 준다거나 하는 행사라면 다른 편의점에서도 흔하지만.... [[Lay's|레이즈]] 감자칩을 '''PB상품도 아닌 주제에 1+1'''를 하거나 '''PB상품이 아닌 [[오뚜기]], 삼양 제조 라면 5봉지 묶음을 2000원에 팔거나''' 펩시나 트레비 1.2L짜리를 '''2000원에 1+1하다가 안팔리니까 그냥 1000원에 파는''' 이게 [[편의점]]인지 [[할인마트]]인지 모를 행사를 계속해서 기획하고 있다. 과자의 경우도 천원 균일가 행사를 많이 해서 열심히 PB상품들을 팀킬 중. 대형마트가 규제를 맞고 의무휴업을 하는 매달 둘째, 넷째주 주말에는 대형마트에서 흔히 취급하는 두부나 콩나물 같은 부식류를 초특가 행사로 풀어버렸는데, 간혹 가다 보면 홈플러스보다 '''더 싸다'''. 이 때문에 규제 피하려고 편의점 열었느냐는 곱지 않은 시선이 계속되기도 하였다. [[라면]]과 [[김치]], [[라면]]과 [[햇반]]처럼 함께 자주 팔리는 물건은 짝 상품, 꿍 상품이라고 정해놓아서 짝꿍...이라고 해서 500원 할인해주는 행사를 하고 있는데, 무슨 편의점에서 [[퀘스트]]를 하느냐, [[보물찾기]] 아니냐 하는 소리를 듣고 있었다. == 여담 == * 원래 '[[홈플러스]]365'라는 이름이었지만 [[SSM]]으로 오인하는 경우가 많았는지 개칭했다. 본래 '위드미'라는 이름의 신세계 계열 편의점이 [[이마트24]]로 이름을 바꾼 것과는 결이 다르다. * 타 편의점과 달리 신선 식품 바코드에 유통 기한이 입력되어 있지 않아 유통 기한이 지나도 [[POS기]]에서 잘 찍힌다. 유통기한이 특정 시간에 맞춰져 있어서 [[편돌이]]들이 폐기를 하지만 혹시나 깜빡할 수 있으니 삼각김밥이나 도시락을 사는 사람이라면 유통 기한을 잘 살펴보도록 하자.[* 이제는 철수해서 다 옛말이다.] [[분류:홈플러스]][[분류:한국의 편의점]][[분류:한국의 없어진 기업]][[분류:2011년 기업]][[분류:2022년 해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