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30MM'이라는 약칭을 사용하는 반다이 스피리츠의 프라모델, rd1=30 MINUTES MISSIONS)] [목차] == 탄환의 분류 == === 용도 === 30 mm 구경 탄종은 주로 [[탄띠]](링크) 방식으로 급탄하는 [[기관포]]에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 탄띠를 탄통에 적재한 상태로 사용한다.[* 드물게 [[탄창#s-4.1.10|링크탄]] 대신하여 박스형 [[탄창|탄알집]]에 삽탄하여 사용하거나 단발로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30 mm부터는 동구권과 서구권을 가리지 않고 [[화포|포]]로 취급한다.[* 동구권 기준 기관포: 30 mm이상. 그 이하는 기관총으로 분류. / 서방 기준 기관포: 20mm 이상, 그 이하는 기관총으로 분류. 물론 각 국가별로도 기준이 상이하나 30 mm부터는 포로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포탄을 장시간 지속사격이 가능하다는 특성상 특히 대보병 화력이 막대하다. 고폭탄 계열 탄을 사용할 경우에는 내부에 충전된 작약 덕분에 고속 [[유탄발사기]]도 하지 못하는 수준의 강력한 화력지원이 가능해진다. 물론 대차량 화력 또한 막대하다. 1선급 장갑차 수준이 되어야 어느 정도 생존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준. 물론 차량의 전투불능은 각오해야 한다.[* 전면 30mm 방호가 가능한 보병전투차 계열도 '일단 방어는 가능하다' 정도지 근거리에서 계속 얻어맞으면 버티기가 힘들다. 특히 근거리에서는 적 장갑차를 맞추는게 아니라 일부러 바로 앞의 땅에 빗맞춰서 탄이 위로 도탄되는걸 이용해 적 장갑차 하부나 그 반대편의 하차보병들을 공격하는 테크닉도 있어서 더욱 위협적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aJ4Auwi7_FA|해당 동영상 25초부터]]] 포탄에 따라 다르겠지만 일반적인 30 mm 고폭탄은 4~5m의 유효살상반경을 가지고 있고 연속해서 발사하기 때문에 지역[[제압]]이 가능한 수준이다. === 탄종 === ==== 30×29 mm ==== [[AGS-17]], [[AGS-30]] 등 동구권, 공산권에서 쓰이는 고속유탄발사기용 [[유탄]]이며 [[OTs-69]]의 유탄발사기용 유탄이기도 하다. [[러시아]]나 [[우크라이나]]는 [[40 mm]] 유탄으로 넘어가고 있다. ==== 30×90 mm RB ====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의 [[MK 108]] 기관포에 쓰인 탄환. 지금보다 훨씬 작은 당시 전투기([[Fw190]], [[Bf109]], [[Bf110]], [[Me262]]등)에 우겨 넣으려다 보니 반동이 매우 작아야 했고, 덕분에 장약을 상당량 줄여서 거의 유탄 비슷하게 생긴 기관포탄이 완성되었다. ==== 30×113 mm ==== 2차대전 이후 영국의 [[ADEN]] 항공용 기관포와 프랑스의 [[DEFA]] 550시리즈 항공용 기관포 용으로 개발된 기관포탄으로 30mm급 탄약 중에선 비교적 경량 소형의 탄이면서도 포구초속 800m/s로 준수한 위력을 가진 탄종이다. 반동이 적어 [[AH-64|AH-64 아파치]]의 고정무장인 [[M230 체인건]]에 사용된다. ==== 30×150 mm B ==== [[라팔]] 전투기의 고정무장인 [[GIAT 30]] M791 [[리볼버 기관포]]용 탄. ==== [[30×165 mm]] ==== 소련제 기관포탄으로 소련군 및 러시아군에서 장갑차, 공격헬기 등 다양한 분야에 쓰인다. [[BMP-2]], [[BMD-2]], [[BMD-3]], [[Mi-28]]및 [[Ka-52]]등에 장착되는 2A42 기관포와 [[BMD-4]], [[BMP-3]]등에 장착되는 2A72 기관포 등에 사용된다. ==== 30×170 mm ==== 스위스 [[오리콘]]사(社)의 물건으로, 국군에서는 [[K-30 비호]], 30mm 에머슨 2연장 기관포(구형 [[참수리급 고속정]] 함포)에 사용되며, 영국군에서는 [[FV721 폭스]], [[FV107 시미터]], [[FV510 워리어]] 정찰장갑차/경전차/보병전투차의 주포로 쓰이는 클립식 기관포인 [[L21A1 RARDEN]] 기관포의 탄약으로 쓰인다. ==== [[30×173 mm]] ==== 그 유명한 [[A-10]]이 주력으로 사용하는 기관포탄. 국군에서는 [[SGE-30 골키퍼]] 등에 사용. 문서 참조. ==== 30×184mm B ==== [[제2차 세계 대전]] 도중 항공기의 대전차 무장으로 [[독일]]에서 개발한 포탄. [[MK 101]], [[MK 103]] 등 기관포에서 발사하는데, 반동이 당시 수준엔 충격적이어서 실제로 이 무장을 탑재한 항공기는 거의 없었다. 일단 [[Do335]]와 [[Hs 129]], 그리고 일부 지상공격용 [[Fw190]]이 사용. [[텅스텐]]으로 제작된 [[철갑탄]]의 경우 [[KV-1]]전차 포탑의 측면 장갑까지는 관통이 가능했고, 작약을 억지로 밀어넣은 [[미넨게쇼스]]탄은 명중 단 1~2발만으로도 그 크고 튼튼한 연합군 폭격기를 갈기갈기 찢어 악명이 높았다. ==== 30×230 mm ==== 구소련제 함포용 기관포 탄약. 현재는 30×165 mm로 통일되고 있다. ==== 30×250 mm Caseless ==== [[라인메탈]]의 RMK30 무반동 기관포용으로 개발된 탄환. == 관련 문서 == * [[각종 탄약, 포탄 구경 일람]] [[분류:30m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