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세계의 중장거리 지대공 미사일)] ||<-2>
{{{#White '''{{{+3 2К12 «Куб»}}}'''[br]2K12 "KUB"[br]''SA-6 Gainful''}}} || ||<-2> [[파일:2K12 KUB-1.jpg|width=100%]] || || 종류 ||중거리 지대공 미사일 || || 기획 ||1958 ~ 1967 || || 설계 ||NIIP/Vympe (발사체 설계)[br]MMZ (차대 설계) || || 제조 ||UMP (발사체, 탄두 )[br]MZiK (이동, 조립, 발사장비) || || 생산 기간 ||1968 ~ 1985 || || 운용 기간 ||1967 ~ || || 파생형 ||2K12E Kvadrat, 2K12M3, 2K12M4 || [목차] [clearfix] == 개요 == 2К12 «Куб»(KUB) Kub는 [[큐브]]를 뜻한다. NATO명: SA-6 Gainful [[소련]]에서 1958년 개발을 시작해 60년에 배치한 지대공 미사일로 초기형은 20km 사거리를 가지고 있다. 첫 실험은 1963년 [[Il-28]] [[폭격기]]에 대해 격추 성공했으며, 이후 1S91, 속칭 "'스트레이트 플러쉬"'라고 불리우는 [[레이더]] 차량을 개량해 탐색거리 75km, 사거리 47km로 늘어났다. 운용국은 소련, 이집트, 시리아, 폴란드, 유고슬라비아, 중국 등이며, 조선인민군 방공군도 장비하고 있다. 대한민국도 2K12 쿠브 레이더 1기를 적성장비 연구용으로 도입했다.[[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arm&no=1321102&page=1&search_pos=&s_type=search_name&s_keyword=GRU|#]] [[파일:1S91.jpg]] 스트레이트 플러쉬 세미 액티브 레이더, G/H 밴드를 사용하는 레이더의 특성상 스텔스기인 [[F-117]]을 탐지해내기도 하였다. == 제원 == ||발사 중량: 630 kg|| ||길이: 5.8 m|| ||날개폭: 1.2 m|| ||속도: 마하 2|| ||사거리: 25 km|| ||비행 고도: 8,000 m|| ||탄두: 59 kg|| ||유도: 반능동 레이더 || ||발사: 플랫폼 차량|| == 실전 == >'''악마의 세 손가락''' >---- >[[욤 키푸르 전쟁]] 당시 [[이스라엘 공군]] 조종사들이 붙인 별명 [[파일:attachment/제4차 중동전쟁/sa-6.jpg]] 4차 중동전쟁 당시 시나이 반도에 전개된 2К12 «Куб» [[제4차 중동전쟁]] 당시 이집트군이 구식 [[S-75]]와 병행하여 사용하였는데, [[이스라엘군]]의 [[F-4 팬텀 II]]에는 구식 S-75의 레이더에 반응하는 [[RWR]]을 장비하고 있었으나, 하필 신형의 스트레이트 플러쉬 레이더에 반응하지 않아 많은 수가 격추당했다. A-4 스카이호크 공격기를 포함, 개전 7일만에 무려, 100여대가 넘는 전술기를 잃어버렸다. 당시 서방 국가들은 해당 대공 시스템에 크게 경악했으며, 미 공군은 자체적으로 해당 방공망을 상대할 시의 미군의 피해를 시뮬레이팅 한 결과 '''일주일만에 [[미 공군]] 전력의 [[반토막|절반이 없어진다는]]''' 충격적인 보고를 내놓았다. 북한과 한참 서슬퍼런 군비경쟁을 벌이고 있던 한국 사회도 큰 충격에 빠졌고, 더군다나 동북아시아 최초 F-4 팬텀 운용국이라는 자부심이 있었기에 그 충격은 더더욱 컸다.[* 당시 북한은 소련으로부터 막대한 군사원조를 받고 있었고 이는 즉, '''북한도 2K12 쿠브 시스템을 운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반증이었기 때문이다.''' 실제로도 북한은 해당 시스템을 도입했다.] 이후 이스라엘 공군과 미 공군을 비롯한 세계 각 공군은 [[SEAD]] 전술을 치밀하게 연구했고, [[이스라엘-레바논 전쟁#s-3.3|1982년 레바논 전쟁]] 당시 베카 계곡에 전개된 [[시리아군]]의 2K12 쿠브 미사일 시스템들을 이스라엘 공군이 전자전으로 무력화시켜 복수를 했다. 나중에 [[이란-이라크 전쟁]]과 [[걸프전]] 당시 이라크군의 주력 지대공 미사일 시스템으로 운용되더니 1995년 [[유고슬라비아 내전]]때 유고슬라비아군이 미군의 [[F-16]] 전투기를 격추시키고,[* 나중에 이 일화를 각색한 것이 영화 [[에너미 라인스]]이다.] 심지어 근성으로 레이더차량과 포대를 옮기고 재방열하는 노력을 여러차례 반복해서 스텔스기인 [[F-117]]을 추적하여 [[S-125]]로 하여금 격추시키는 성과를 올린다.[* 그런데 당시 F-117을 격추한 방법은 체코에서 만든 스텔스기 대응하는 레이더인 베라 레이더를 이용했다는 이야기도 있고 아니면 유고슬라비아 자체에서 개량하여 S-125에 장착한 열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추적해서 격추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어느 것이 팩트인지는 불분명] == 매체에서의 등장 == === [[워게임: 레드 드래곤]] ===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동독/Fla-Kom_KUB-M.png]] 동독, 체코 등의 공산진영의 대공미사일로 등장한다. 성능은 [[부크 미사일 시스템]]보다는 살짝 딸리는 편. === [[도미네이션즈]] === 용병으로 등장한다. 지대공 미사일로 건물을 공격하는 괴랄함을 보여준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K12 Kub(도미네이션즈))] === [[콜 오브 듀티: 모바일]] === 배틀로얄 모드 고립지대 지도 곳곳에 2K12 KUB로 추정되는 차량들이 배치되어 있다. 탑승이나 사용은 불가능. === [[DCS World]] === 주요 지대공 미사일 전력 중 하나로 등장한다. 별도의 레이더를 먼저 파괴해 버리면 발사대 자체만으로는 아무것도 조준할 수 없는 장님이 된다는 특성 때문에 [[A-10]]과 같은 [[SEAD]]가 불가능한 기체들도 환경에 따라 그럭저럭 수월하게 상대할 수 있다. [[분류:대공 미사일]][[분류:지상 병기/냉전]][[분류:지상 병기/현대전]][[분류:소련군/장비]][[분류:폴란드군/미사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