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In the Court of the Crimson King)] ||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fff '''21st Century Schizoid Man의 주요 수상'''}}}}}}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기타 월드 선정 100대 기타 솔로 명곡)]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 항목=1960년대 최고의 노래, 순위=104)]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663)] ---- [Include(틀:Rate Your Music,항목=전체 싱글 차트,순위=12)] }}} || ||<-2><#d1738d> {{{+1 {{{#ffffff '''21st Century Schizoid Ma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7OvW8Z7kiws, height=250)]}}} || || '''싱글 발매일''' ||[[1976년]] 1월 || || '''싱글 A면''' ||[[Epitaph(킹 크림슨)|Epitaph]] || || ''' 앨범 발매일''' ||[[1969년]] [[10월 10일]] || || '''녹음일''' ||[[1969년]] 8월 1일, 20 - 21일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1738d; font-size: .9em" [[In the Court of the Crimson King|{{{#ffffff '''In the Court of the Crimson King'''}}}]]}}} || || '''장르''' ||[[프로그레시브 록]], [[재즈 록]], [[하드 록]] || || '''재생 시간''' ||7:23 || || '''작사''' ||피터 신필드 || || '''작곡''' ||[[로버트 프립]], 마이클 자일스, 그렉 레이크, 이언 맥도날드 || || '''프로듀서''' ||[[킹 크림슨]] || || '''레이블''' ||[[아일랜드 레코드|[[파일:아일랜드 레코드 logo.png|width=40]]]] || [목차][clearfix] == 개요 == [[1969년]] 발매된 [[킹 크림슨]]의 데뷔 앨범 [[In the Court of the Crimson King]]의 수록곡. == 상세 == 킹 크림슨의 상징과도 같은 노래이며, 동시에 프로그레시브 록 최고의 명곡 중 하나로 꼽힌다. 특유의 강렬한 사운드와 전개로 인하여 헤비 메탈과 프로그레시브 메탈의 프로토타입격 되는 곡이자 [[인더스트리얼]]의 어법에도 어느 정도 영향을 끼친 노래로 인정받는다. 킹 크림슨의 곡 중에서도 [[하드 록]]의 분위기가 가장 짙은 곡으로, [[프리 재즈]]의 영향을 짙게 받은 곡이다. 인상적인 기타 리프와 그렉 레이크의 이펙터가 걸린 보컬로 시작하여 중간의 혼란스러운 기타 솔로와 드럼 솔로로 분위기를 고조시킨 이후로 다시 초반부의 기타 리프와 그렉 레이크의 보컬 부분으로 돌아가는 특이한 구성을 하고 있다. 특히 곡 중간의 즉흥 연주 부분은 'Mirrors'라는 제목으로 잘 알려져 있다. 곡의 가사는 피터 신필드가 작사하였으며, 당시의 [[베트남 전쟁]]을 비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고 추측된다. 중간에 [[네이팜탄]]을 언급하는 것이 그 증거. 로버트 프립은 라이브에서 이 곡은 "[[반어법|우리 모두가 알고 사랑하는 미국의 정치적 인물]]"인 [[스피로 애그뉴]]에게 헌정하는 곡이라 밝힌 적도 있다. 이 곡은 [[카니예 웨스트]]의 정규 5집 [[My Beautiful Dark Twisted Fantasy]]의 수록곡 [[POWER(카니예 웨스트)|POWER]]에 샘플링 되었다. 훅의 끝부분에 나오는 '21st Century Schizoid Man'하는 목소리가 바로 이 곡에서 나온 것. 그런데 칸예는 로버트 프립에게는 일언반구도 없이 무단으로 이 곡을 샘플링했고, 당연히 로버트 프립에게는 저작권료 한 푼도 돌아가지 못했다.[* 이는 킹 크림슨의 빡센 저작권 관리도 어느정도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인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칸예가 무단 샘플링을 한 것이 정당화되는 것은 전혀 아니다. 게다가 칸예는 이 곡 이전에도 무단 샘플링으로 논란을 빚은 적이 몇 번 있었다.] 이 문제 때문에 로버트 프립은 완전은퇴까지 고려했을 정도였다고 한다. == 가사 == || ---- {{{+2 {{{#ffffff '''21st Century Schizoid Man'''}}}}}} ---- Cat's foot, iron claw 고양이의 발, 강철 발톱 Neuro-surgeons scream for more 신경외과 의사들은 편집증으로 오염된 문 앞에서 At paranoia's poison door 더 많은 것을 외친다 Twenty-first century schizoid man 21세기의 정신분열증 환자 Blood rack, barbed wire 피로 물든 고문대, 철조망 Politicians' funeral pyre 정치인들의 화장용 장작더미 Innocents raped with napalm fire 네이팜탄으로 강간당한 무고한 사람들 Twenty-first century schizoid man 21세기의 정신분열증 환자 ---- ''(색소폰 솔로)'' ---- Death seed, blind man's greed 죽음의 씨앗, 맹인의 탐욕 Poets' starving, children bleed 시인의 굶주림, 피흘리는 아이들 Nothing he's got he really needs 정말 필요한 걸 아무 것도 가지지 못한 자 Twenty-first century schizoid man 21세기의 정신분열증 환자 ---- || == 참여자 == * 그렉 레이크 - 베이스, 리드 보컬 * 이안 맥도날드 - 알토 색소폰 * [[로버트 프립]] - 일렉트릭 기타 * 마이클 자일스 - 드럼 * 피터 신필드 - 가사 [[분류:1969년 노래]][[분류:1976년 싱글]][[분류:프로그레시브 록]][[분류:재즈 록]][[분류:프로토 메탈]][[분류:킹 크림슨]][[분류:In the Court of the Crimson 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