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2012년]] 11월 13일날에 'ま행 편견'에[* [[https://m.kin.naver.com/mobile/qna/detail.nhn?d1id=11&dirId=11080401&docId=440780287&qb=44G+7ZaJIOqzoOycoOyWtCDtl6TsnbTslYgg7Iuc64yA&enc=utf8§ion=kin.qna&rank=3&search_sort=3&spq=0|#]] ] 대한[[https://namu.wiki/w/%EC%9D%BC%EB%B3%B8%EC%96%B4?rev=160|문제의 글귀]]가 확실한 출처가 보이질 않아서 웃음땅이 골머리를 앓게 되었다.[* 사실은 완전히 틀렸을것으로 보인다.] 그 예시로 == 반박 == 증거 1: [[バ]]행의 탁음은 고대 일본어에서는 [[マ]]행으로 대체되었다. [[http://ocra.sakura.ne.jp/001.html|#]] 증거 2: 귀하의 반론은 다음과 같습니다. * ま행으로 시작하는 고유어가 헤이안 이전에 이미 존재했다는 증거는 충분하다. * ま행 앞에 [[う]]가 붙는다는 음운 대응의 [[법칙]]이 있다는 가설은 가능하다.[* 귀하의 반론은 타당합니다.] ま행으로 시작하는 고유어는 '''헤이안 이전에도 존재했다는 증거'''는 다음과 같습니다. * 고대 일본어 어휘집인 『万葉集』에는 ま행으로 시작하는 고유어(和語)가 100개 이상 포함되어 있습니다. * 고대 일본어의 음운 체계상 ま행으로 시작하는 어휘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ま행 앞에 う가 붙는다는 음운 대응의 법칙이 있다는 가설은 다음과 같은 근거를 바탕으로 할 수 있습니다. * ま행으로 시작하는 고유어 중 일부는 う가 붙은 형태로 존재합니다. 이러한 근거를 바탕으로 볼 때, ま행 앞에 う가 붙는다는 음운 대응의 법칙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가설]]은 아직까지 검증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ま행으로 시작하는 고유어가 헤이안 이후에 성립했다--는 주장을 완벽하게 반박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합니다.[* 혹시 귀하께서 211.33.101.115의 글에 대한 다른 의견이나 반론이 있으시다면 말씀해 주십시오.] 증거 3: [[고사기]]나 [[일본서기]] (헤이안 이전 시대 서책) 등에서 ま행 일본 고유어 많이 나올텐데요? むれる나, みず나, 숫자 3과 6도 있고, 고사기에 美豆多麻流 余佐美能伊氣能 (水溜まる 依綱(よさみ)の池の) 라는 표현이 있지요.[* 고사기는 '''헤이안 이전 시대'''에 쓰인 글이고] == 결론 == 이로 미뤄보아 211.33.101.115가 부르짖던 'ま행 성립'은 허무맹랑한 거짓말이였다는 것을 우리는 이제야 알았을 것이다. 다만 [[な]]행으로 시작하는 고유어(和語)는 [[아스카 시대]]에 [[성립]]했다는 증거로는 [[http://ocra.sakura.ne.jp/187.html|여기에서]] 찾아볼수 있고, [* 본인은 끄떡도 않겠지만] 일부 사람에 따라서 [[중국어]]와, [[한국어]]에서 나왔다는 편견이 갑작스레 생길수도 있을것이다. [[분류:나무위키 범용 관리 문서]] [[분류:201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