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해상병기/독일의 잠수함 계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Sbsribs.jpg|width=100%]]|| || {{{#white '''특수전 훈련 중인 206급 잠수함'''}}} || ||[[파일:external/www.the-blueprints.com/dkm-u-boat-type-206a-submarine.png|width=100%]]|| [목차] == 개요 == ||[youtube(nZ6y0AUFIEs)]|| ||
{{{#white '''1975년 독일 해군의 206급 잠수함'''}}}[* 영상 출처: [[독일 연방군]] 공식 유튜브] || 206급 잠수함은 [[독일]]의 [[재래식 잠수함]]으로, [[205급 잠수함]]의 설계를 기반으로 개발된 후속 함종이다. [[냉전]]기 전시에 [[발트해]]에서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수송선단을 공격할 목적으로 건조 되었다. 206급 잠수함은 비자기성 강철을 선체에 적용한 첫 잠수함이다. [[201급 잠수함]]에서부터 시도되었던 비자기성 선체를 드디어 206급에서 성공시켰다. 덕분에 자기[[기뢰]]에 접촉 될 확률과 [[MAD#s-5|자기탐지기]]에 탐지될 확률이 줄어들었다. == 제원 == ||||<:> '''{{{#FFFFFF {{{+1 206급 잠수함}}}[br]Type 206 Submarine}}}''' || || '''건조''' ||독일 HDW사[* Howaldtswerke-Deutsche Werft사. 유서깊은 독일의 잠수함 건조 회사이다. 대표 제품이 [[209급 잠수함]]. 현재는 [[티센크루프]] 산하의 [[티센크루프 마린 시스템즈]]에 인수되었다.][br]노르드시베르크 || || '''운용''' ||[[독일 해군]], [[콜롬비아군#s-3.2|콜롬비아 해군]] || || '''이전 함급''' ||[[205급 잠수정]] || || '''다음 함급''' ||[[212급 잠수함]] || || '''건조 수량''' ||18척 || || '''운용 수량''' ||2척 || || '''퇴역 수량''' ||16척 || || '''수상배수량''' ||450톤 || || '''수중배수량''' ||498톤 || || '''전장''' ||48.6m || || '''전폭''' ||4.6m || || '''흘수선''' ||4.5m || || '''추진 방식''' ||디젤-전기 추진 || || '''추진 체계''' ||[[MTU(기업)|MTU]] 12V 493 4기통 600마력 디젤엔진 2기[br]아세아 브라운 보베리제 발전기 2기[br]SSW 1,100kW급 전동모터 1기 || || '''속력''' ||수상 최고 10노트(19km/h)[br]수중 최고 17노트(31km/h) || || '''항속거리''' ||5노트(9.3km/h) 항행 시 수상 최대 4,500해리(8,300km)[br]4노트(7.4km/h)로 항행 시 수중 최대 228해리(422km) || || '''실험심도''' ||200m 이상 || || '''승조원''' ||23명 || ||<-2> '''센서 및 전투 정보 체계''' || || '''함수 소나''' ||STN 아틀라스 DBQS-21(CSU83) 함수 소나 || || '''거리 측정 소나''' ||Thomson-CSF DUUX 2 수동 거리 측정 소나 || || '''액티브 핑 탐지기''' ||Safare VELOX 소나 인터셉터 || || '''항해 소나''' ||EDO-900 기뢰탐색 및 항해소나 || || '''항해 레이더''' ||Thomson-CSF Calypso II 보조 및 항해 레이더 || || '''[[전자전|ESM]]''' ||Thomson-CSF DR-2000U ESM 장비 || || '''무장''' ||어뢰발사관 8문 || == 계획 단계 == 1962년부터 1968년까지 10척의 [[205급 잠수함]]이 비자기성 강철로 건조되었으나, 함체 피로도의 증가로 인해 [[201급 잠수함]]에서 나타났던 금이 또 나타났다. 그래서 이러한 결점을 보완할 신형의 비자기성 금속 개발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그렇게 개발된 오스테나이트계(austenitic) 비자기성 강(鋼)은 이전의 비자기성 금속보다 강도가 높았고 우수한 탄성을 지녔다. 이 금속으로 건조된 잠수함들은 운용자 입장의 [[독일 해군]]에게 좋은 평가를 받았고, 드디어 비자기성 선체에 대한 열망이 해결되게 되었다. ~~201급부터 시작해서 드디어..~~ 이후 IKL이 1964~65년 2년 동안 206급을 설계했고 1969년 6월 7일 HDW사 킬 조선소와 노르드시베르크 엠덴 조선소에 독일 해군용으로 총 8척이 주문되었다. == 현대화 개수 == 이후 206급은 [[서독]] 해군용으로 총 18척이 건조되었는데, [[독일 재통일|동서독 통일]] 전후로 12척이 개수를 거쳐 206A급으로 개량되었고 이외 6척은 퇴역시켰다. 이후 [[독일 해군]]은 [[212급 잠수함]]이 취역함에 따라 206A급도 점차 퇴역시키기 시작했다. 2010년 6월, 독일 국방부는 남아있는 6척의 206A급을 연말까지 전량 퇴역시킬 것으로 발표했고, 그 해 모두 퇴역했다. 그렇기에 현재 독일 해군에서 운용 중인 206급은 없다. 현대화 작업은 1987년 중순에 시작하여 1992년 2월에 마무리되었고, 엠덴 조선소가 주도했다. 현대화는 STN 아틀라스제 DBQS-21D 함수[[음파탐지기|소나]] 장착, 기존 [[잠망경]]을 신형 잠망경으로 교체, 무기관제체계 교체 등이 주요 작업이었고, ESM 체계도 교체되었고 [[GPS|위성항법장치]]는 새로이 추가되었다. 추진 체계 구성도 완전히 갈아엎었다고 한다. 그리고 거주성도 개수작업 하면서 개선시켰다고 한다. == 파생형 == 파생형으로 [[이스라엘 해군]]용으로 건조된 갈급 잠수정이 있다.[* 다만 Gal급 잠수함은 [[독일]] HDW가 아닌 [[영국]] Vickers 조선소가 면허생산하여 [[이스라엘]]에 수출하였다. 전체적으로 206급 잠수함에 비해 크게 다를 건 없지만, [[이스라엘 해군]]의 요구 사항을 반영하여 세일 형상 등이 일부 변경되었다.] 1976년에 취역했으며, 현재는 이스라엘 해군용의 [[209급 잠수함]]인 [[돌핀급 잠수함]]이 취역함에 따라 퇴역했다. 2006년에 1척은 스크랩되었고 2척은 HDW사로 되돌려져 중고품 구매자를 물색하다가 ~~인터내셔널 [[중고나라]]~~ 그중 1척은 다시 이스라엘로 돌아와 클랜데스틴 이민 박물관에 전시되었다. == 수출 == 퇴역 후 대다수의 206급들은 스크랩 처리 되었는데, 지나가던 [[콜롬비아]]가 잠수함 전력을 증강한다고 4척을 구매해갔다(...). 그것도 [[1990년대]], [[2000년대]]도 아닌 '''[[2012년]]에'''. 2척은 운용하고 2척은 부품용으로 들여왔다고 한다. 애초에 [[남미]] 쪽은 분쟁이 덜 하니 206급 정도로도 충분할 듯... == 함선 목록 == 추가 예정 == 여담 == * U-21의 퇴역 후 이야기가 참 파란만장하다. 퇴역 후 [[인도네시아]]에 팔려갈 준비를 하다가, 인도네시아의 도입계획이 취소되자 스크랩될 예정이었으나, HDW사가 킬 조선소에 자사 박물관을 만들 계획이 있어서 스크랩을 지연시키고 있었다. 그런데 박물관 건립 계획이 취소되어서(...) 다시 스크랩되나...했더니 에커른페르되시(市)에 기증되었다고 한다. 관광지 겸 기술 박물관으로써 퇴역 후 제2의 인생(...)을 충실히 보냈으나 얼마 안 가 지역 내 정치적 문제로 인해 스크랩되어 파괴되었다. ~~스크랩 될 놈은 결국 스크랩된다는 얘기다.~~ * U-13/14/19/20도 [[인도네시아]]에 팔려갈 예정이었으나 위에 언급된 대로 취소되었다. == 관련 문서 == * [[잠수함]] * [[독일 해군]]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독일 함선)] [include(틀:현대전/이스라엘 함선)] [include(틀:현대전/콜롬비아 함선)] [include(틀:해상병기 둘러보기)] [[분류:잠수함]][[분류:해상 병기/현대전]][[분류:독일 연방군/군함]][[분류:이스라엘군/군함]][[분류:1969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