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2010년에 일어난 포격 사건, rd1=연평도 포격전)] [include(틀:사건사고)] [include(틀:북한 관련 뉴스/2024년)] [include(틀:북방한계선 관련 사건사고)] ||<-3> {{{+1 '''2024년 연평도 해역 포격 사건'''}}} || ||<-2> '''발생일시''' ||[[2024년]] [[1월 5일]] ~ [[1월 7일]] || ||<|2><-2> '''발생장소'''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연평도]] 북쪽 북방한계선 일대 해역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37.746555 125.653129&zoom=13, 타입=satellite, 높이=200,너비=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A4DBCM6yDCs)]}}} || ||<-3> {{{-1 '''▲ SBS 8시 뉴스 보도'''}}} [br] {{{-2 (2024년 1월 5일)}}} || [[북한]]이 NLL 북방(북한 해역) 일대 영역에 2024년 1월 5일부터 1월 7일까지 해안포를 포격한 사건. [[합동참모본부]]는 1월 5일 오후 1시 30분 긴급 브리핑을 통해 북한이 [[백령도]] 북쪽 장산곶 일대와 [[연평도]] 북쪽 [[등산곶]] 일대에서 09시부터 11시까지 200여발 이상의 사격을 실시하였고 서해 [[북방한계선]] 완충구역에 탄착되었다고 발표하였다. 포탄이 [[NLL]] 이북에 착탄했기 때문에 당연하게도 이로 인한 대한민국 국군 및 국민 피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합동참모본부는 1월 6일 16시부터 17시까지 북한군이 연평도 북서부에서 60여 발 사격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당시 이뤄진 북한 사격과 관련해 대한민국 국군의 대응 사격은 없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https://www.ytn.co.kr/_ln/0101_202401061932280781|#]] 합동참모본부는 1월 7일 16시경부터 17시 10분경까지 북한군이 연평도 북방에서 90여 발 이상의 포병사격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우리 군의 대응 사격은 없었으며, 현재까지 파악된 우리 측 피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https://www.newsis.com/view/?id=NISX20240107_0002583736|#]] 김여정은 담화문을 통해 대한이 북한의 포격이라 주장하는건 사실 폭약을 터트린 것으로 대한의 실력을 알기 위한 지략이었다며 대한의 국방부를 믿고 사는 대한인이 불쌍하다며 조롱했다. 이후 증거랍시고 한가한 논밭에 폭약을 묻고 터트리는 북한군을 담은 영상을 공개했다. 그러나 합참은 탄 궤적과 착탄을 확인했다고 반박하면서 폭약 폭파는 포탄 발포 사이에 있던 일이라며 우리의 감지능력을 보고 놀라 저런 무리수를 두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 대응 == 북한이 해상사격을 시작한 뒤 약 6시간 만에 [[해병대 6여단|해병 6여단]][* 백령도 소재]과 [[해병대 연평부대|연평부대]][* 연평도 소재]는 이날 오후 3시부터 [[K-9 자주포]] 등을 동원해 해상 사격훈련을 실시했다. 군은 북한 도발에 상응하는 NLL 남방 해상지역에 가상표적을 설정하여 사격훈련을 실시했으며 북한이 발사한 200발의 '''2배'''인 400여발의 실탄을 쏟아부으면서 강경 대응에 나섰다. 대한민국 국군이 2018년 9·19 남북군사합의 체결 이후 서북도서에서 대응사격을 실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며 [[신원식]] 국방부장관은 이날 “북한이 일방적으로 9・19군사합의 전면적 파기를 선언한 이후 오늘 오전에 적대행위 금지구역 내 포병사격을 재개한 것은 한반도 평화를 위협하고 긴장을 고조시키는 도발 행위”라며 “이러한 북한의 무모한 도발 행위에 대해 우리 군은 즉・강・끝 원칙에 따라 적이 다시는 도발할 엄두를 내지 못하도록 완전히 초토화하겠다는 응징태세를 갖춰 강력한 힘에 의한 평화를 뒷받침해야 한다”고 했다. [[https://www.chosun.com/politics/diplomacy-defense/2024/01/05/RGQMUV2L6BHYTKEWOF4QLJ7ED4/|#]] 연평도 포격과 별개로 같은 날 북한이 [[경의선]] 일대에 지뢰를 매설하는 모습이 포착되었다.[[https://www.youtube.com/watch?v=HQaGF0A4E34|#]] == 여파 == * 1월 5일 오후에 예정되어 있던 인천 ~ 백령 항로 여객선들이 통제되었으며 옹진군 연평면사무소는 오후 12시 2분과 30분 2차례에 걸쳐 주민들에게 대피령[* 주민 대부분은 큰 동요를 하지 않았지만 일부는 북한의 포 사격이 끝나고 뒤늦게 대피령이 내려졌다고 지적했다.]을 내려 오후 2시 기준 주민 2,100명 중 400여 명이 대피소 8곳으로 나눠 대피했다. 4,800명이 사는 백령도에서는 대피 인원을 집계했다. 북한의 사격에 대한 대응으로 [[대한민국 해병대|해병대]]에서는 15시 이후 훈련을 북한에 고지했다. [[https://v.daum.net/v/20240105150739301|#1]] [[https://v.daum.net/v/20240105131750033|#2]] || {{{+1 ⚠️ '''[[안전안내문자#s-4.3|{{{#000,#fff 안전안내문자}}}]]'''}}}[br][[인천광역시|[[파일:인천광역시 로고타입.svg|width=75px]]]] || ||{{{#!wiki style="text-align:center" [실제상황]우리군 오늘15:00경 해상 사격훈련 실시예정, 주민들께서는 사격훈련 진행동안 인근 대피호로 안전하게 대피바라며 야외활동을 자제 바랍니다.[인천광역시]}}} ---- {{{#!wiki style="text-align:center" 2024-01-05 14:05 인천광역시 옹진군 백령면, 대청면, 연평면에만 송출된 안전안내문자}}} || || {{{+1 ⚠️ '''[[재난문자방송#s-4.1|{{{#000,#fff 위급재난문자}}}]]'''}}}[br][[옹진군|[[파일:옹진군(인천광역시) CI.svg|width=75px]]]] || ||{{{#!wiki style="text-align:center" 북한 측 현재 포성 청취되고 있습니다. 연평부대에서 대응 중이니 주민께서는 야외활동에 주의 당부드립니다.[옹진군]}}} ---- {{{#!wiki style="text-align:center" 2024-01-07 16:43 인천광역시 옹진군 연평면에만 [[http://m.kyeongin.com/view.php?key=20240107024412149|송출]]된 위급재난문자}}} || == 관련 문서 == * [[연평도 포격전]] * [[연평도]] == 둘러보기 == [include(틀:윤석열 정부)] [include(틀:북한의 역사)] [include(틀:김정은)] [include(틀:군 사건사고/한국)] [[분류:연평도]][[분류:북한/대남 도발]][[분류:옹진군의 사건사고]][[분류:윤석열 정부/사건사고/2024년]][[분류:김정은 시대]][[분류:2024년/사건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