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23년 철도사고]][[분류:대한민국의 철도사고]][[분류:안산시의 사건사고]] [include(틀:사건사고)] ||<-5> '''{{{#white 철도사고 요약도}}}''' || ||<-5> [[파일:상록수단전.jpg|width=100%]] || ||<-2> '''발생일''' ||<-3> [[2023년]] [[7월 11일]] 17시 38분경 || ||<-2> '''유형''' ||<-3> 단전사고 || ||<-2> '''원인''' ||<-3> 기관사의 EGCS 취급 후 복귀과정에서 전차선과 집전장치 융착으로 전차선 단전 || ||<-2> '''발생 위치''' ||<-3>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상록수로 61 [br][[수도권 전철 4호선]] [[상록수역]] 상행선 || || '''기타''' ||<-2> 약 2시간 5분 [[안산선]] 구간 운행중단[br][[금정역]]~[[오이도역]] 구간 지연 || ||<-2> '''운영기관''' ||<-3> [[한국철도공사]] || ||<|3> '''사고열차'''[br] || '''열차번호''' || S4648 || || '''열차종별''' || 전동열차 || || '''차량''' ||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3년]] [[7월 11일]] [[상록수역]]에서 일어난 단전 사고. == 원인 == [[파일:IMG_4625.jpg |width=80%]] 원인은 바로 [[서울교통공사]]측 승무원의 기기 오취급으로 인한 전차선 단전이었다. 기관사의 EGCS 취급[* '''비상접지스위치.''' 전동열차가 직류구간에서 비상접지스위치(EGCS)가 동작되면 동작여부 확인이 쉽지 않아 교류구간에 진입히면서 EGS가 동작되어 전차선 단전 사고가 발생하기 매우 쉬워진다.] 후 복귀 과정에서 [[전차선]]과 집전장치 융착으로 전차선이 끊어진 것으로 추정된다는 답변이 나왔다. == 피해 == 하필이면 가장 혼잡한 퇴근 시간대에 일어난 데다 [[호우]]까지 겹쳐 고객들은 엄청난 불편을 감수하여야 하였다. [[수인·분당선]]을 이용할 수 있는 [[사리역]]으로 가기 위하여 [[안산 버스 80]]과 [[안산 버스 52]]가 말 그대로 '''미어 터지기'''도 하였을 정도로 혼잡하였다.[[상록수역]]앞 정류장에는 사람이 너무 많아 정류장 안으로 비를 피하지 못한 승객들이 비에 젖기도 할 정도로 버스로 수요가 분산되었고 서울로 가는 '''그나마''' 빠른 방법인 [[수도권 전철 1호선]]을 이용하기 위해서 [[사리역]]-[[수원역]] 구간은 안그래도 혼잡 시간대 이용객이 집중되고 1호선 지연까지 합쳐져서 [[수원역]]의 1호선 승강장은 인산인해를 이루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