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건사고)] [include(틀:지진)] ||<-3> {{{#fff {{{+1 '''2023년 가지안테프 지진'''[br]2023 Gaziantep-Kahramanmaraş depremleri[br]زلزال غازي عنتاب 2023}}}}}} || ||<-3><:>[include(틀:지도, 장소=37.174\, 37.032&zoom=5, 너비=100%, 높이=240px, )]1차 강진 진앙 위치 || ||<|2> '''{{{#fff 발생}}}''' || '''{{{#fff 1차}}}''' ||2023-02-06 04:17:35^^(UTC+3)^^ || || '''{{{#fff 2차}}}''' ||2023-02-06 13:24:49^^(UTC+3)^^ || ||<|2> '''{{{#fff 진앙}}}''' || '''{{{#fff 1차}}}''' ||[include(틀:국기, 국명=튀르키예)] [[가지안테프]] 서북서쪽 37km 지역[* 37.174°N 37.032°E(USGS), 37.1123°N 37.1195°E(KOERI)] || || '''{{{#fff 2차}}}''' ||[include(틀:국기, 국명=튀르키예)] 에키뇌주 남남동쪽 4km 지역[* 38.024°N 37.203°E] || ||<|2> '''{{{#fff 진원의 깊이}}}''' || '''{{{#fff 1차}}}''' ||5.0km[*KOERI 튀르키예 칸딜리 지진분석연구소 분석(KANDILLI OBSERVATORY AND EARTHQUAKE RESEARCH INSTITUTE)] / 17.9km[*USGS 미국 지질조사국 분석(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 || '''{{{#fff 2차}}}''' ||10.0km[*USGS ] / 5.0km[*KOERI]|| ||<|2> [[리히터 규모|'''{{{#fff 규모}}}''']] || '''{{{#fff 1차}}}''' ||'''M,,ww,, 7.8'''[*USGS] / '''M,,ws,, 7.7'''[*KOERI] || || '''{{{#fff 2차}}}''' ||'''M,,ww,, 7.5'''[*USGS ] / '''M,,ws,, 7.6'''[*KOERI] || ||<|2> [[진도(지진)|'''{{{#fff 최대 진도}}}''']] || '''{{{#fff 1차}}}''' ||{{{#4c2600,#fff '''IX'''}}}[*USGS], '''X'''[*KOERI] || || '''{{{#fff 2차}}}''' ||{{{#4c2600,#fff '''IX'''}}}[*USGS], {{{#4c2600,#fff '''IX'''}}}[*KOERI] || ||<-2> [[지진#s-1.2|{{{#fff 해일 경보/주의보}}}]] ||해일예보 발효[* [include(틀:국기, 국명=알바니아)], [include(틀:국기, 국명=크로아티아)], [include(틀:국기, 국명=키프로스)], [include(틀:국기, 국명=북키프로스)], [include(틀:국기, 국명=이집트)], [include(틀:국기, 국명=그리스)], [include(틀:국기, 국명=이스라엘)], [include(틀:국기, 국명=이탈리아)], [include(틀:국기, 국명=레바논)], [include(틀:국기, 국명=리비아)], [include(틀:국기, 국명=몰타)], [include(틀:국기, 국명=몬테네그로)], [include(틀:국기, 국명=팔레스타인)], [include(틀:국기, 국명=시리아)], [include(틀:국기, 국명=튀니지)], [include(틀:국기, 국명=튀르키예)],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include(틀:국기, 국명=스페인)], [include(틀:국기, 국명=모나코)], [include(틀:국기, 국명=모로코)], [include(틀:국기, 국명=슬로베니아)]] [br]관측 최고 해일 높이: [include(틀:국기, 국명=북키프로스)] 17cm || ||<|6><-2> {{{#fff 피해상황[br]^^(2023. 02. 07. 현재)^^}}} ||사망자 '''3,500명 이상'''[*예측치 최소 5,200명 ~ 최대 2만명 이상] || ||실종자 조사 중 || ||부상자 11,733여명 이상[*추정 ][* 튀르키예 9,733명 이상, 시리아 1,800명 이상] || ||이재민 조사 중 || ||건물 4,200채 이상 파괴 || ||피해총액 조사 중||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20230206_204748.jpg]] 현지시각 2023년 2월 6일 오전 4시 17분 36초에 [[튀르키예]]에서 발생한 모멘트 규모 '''7.7'''의 대지진이다. == 상세 == 현지 시각으로 2023년 2월 6일 새벽 4시 17분 36초에 [[튀르키예]] [[가지안테프]] 도에서 모멘트 규모 7.7의 강진이 발생하였다.[* 튀르키예 KOERI의 분석. 이하의 지진 규모들은 USGS에서 발표한 지진 규모를 적어 놓은 것이다.] 이번 지진은 [[1939년]] 12월 27일에 [[튀르키예]] [[에르진잔]]에서 발생한 지진과 동급으로, 튀르키예 공화국 성립 이후 발생한 역대 지진 중 가장 강한 지진이다. 주향이동단층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단층면 파열 방향이 [[대한민국]]에서 주로 발생하는 지진과 유사하다. 가지안테프 지역은 아나톨리아판, 아프리카판, 아라비아판 3개가 겹치고 심지어 북쪽의 유라시아판도 포함하면 4개의 판이 겹치는 곳이다. 가지안테프 시의 위치가 딱 그 중점에 위치하여 예로부터 지진의 위험이 높은 곳이었다.[* 이 아나톨리아판 단층선으로 인해 가지안테프시의 발전이 아주 고대때부터 이루어졌고, 중동, 소아시아가 옛날부터 부흥했는데, 단층선이 있다는 말은 수많은 천연광맥이 있다는 말이고, 거기엔 [[공작석]]이 다량있다는 말이다. 고대 아나톨리아의 [[청동기]] 문명이 발전한 이유는 이 지역에서 채굴되는 공작석을 녹이면 구리를 추출할수 있기 때문이었고 이와 인접한 [[미노스 문명]]은 북아프리카 전역에 그 구리를 팔아서 차익을 챙기는 해상무역 국가로써 번영했다. 이렇게 여러판의 중점이 되는 지역으로 유명한 다른 지역이 [[후지산]]으로 후지산은 유라시아판, 필리핀판, 태평양판, 북아메리카판이 만난다.] 그러나 지진 전문가들도 이런 경우는 없었다고 말할 정도로 다른 지진과는 달리 동시다발적으로 피해가 형성됐으며 그동안 지진의 위험은 있었지만 이 정도로 대규모 지진이 발생하지 않은 동아나톨리아 [[단층]]에서 처음 발생한 대형 지진이라는 점에 주목받고 있다. 1차 강진 이후 규모 7.5의 2차 강진이 발생하여 피해가 더해졌으며 [[레바논]], [[키프로스]], [[이란]], [[이라크]], [[이스라엘]], [[이집트]] 등에서도 진동이 감지되었을 정도로 큰 규모의 지진이다.[* 뉴스 모음 [[https://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2113713|#1]] [[https://imnews.imbc.com/replay/2023/nwdesk/article/6452512_36199.html|#2]] [[https://imnews.imbc.com/replay/2023/nwdesk/article/6452515_36199.html|#3]] [[https://imnews.imbc.com/replay/2023/nwdesk/article/6452516_36199.html|#4]] [[https://imnews.imbc.com/replay/2023/nwdesk/article/6452517_36199.html|#5]] [[https://imnews.imbc.com/replay/2023/nwdesk/article/6452518_36199.html|#6]] [[https://imnews.imbc.com/replay/2023/nwdesk/article/6452519_36199.html|#7]]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070013|#8]]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070014|#9]]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070095|#10]]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7598822|#11]]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7598823|#12]]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7598824|#13]]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7598826|#14]]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7598827|#15]]] 1차 강진에 미국 지질조사국이 PAGER LEVEL을 RED로 공지했다. 이는 사망자 1천 명 또는 재산 피해 1억 달러(약 1200억 원) 이상이 예상되는 단계이다. [[https://earthquake.usgs.gov/earthquakes/eventpage/us6000jllz/executive|미국 지질조사국 신속정보]][* 중간에 "Shake Map" 항목 아래 PAGER 경보가 있다.] == 여진 == * 4시 26분을 기준으로 규모 5.6, 4시 28분경 규모 6.7 등의 여진이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다. * 오후 7시 24분, 에키뇌주에서 규모 '''7.5'''의 강한 여진이 발생했다.[* 2011년 발생한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동일본 대지진]]의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여진|최대 여진]]이 규모 7.6이었음을 감안하면 여진의 규모를 짐작할 수 있다.] [[https://earthquake.usgs.gov/earthquakes/eventpage/us6000jlqa/executive|USGS 지진 정보]] * 규모 4.0 이상 여진 목록 [[http://www.koeri.boun.edu.tr/sismo/2/latest-earthquakes/rapid-intensity-maps/|KOERI 진도 정보]] [[http://www.koeri.boun.edu.tr/scripts/lasteq.asp|KOERI 최근 지진 분석 정보]] || 순번 || 일시(UTC) || 규모 || 진도[* USGS Shakemap(없는 경우 KOERI rapid intensity maps) 기준] || 비고 || || 1 || 2023-02-06 01:17:35 || {{{#a52a2a '''M 7.8'''}}} ||<#4c2600> {{{#fff '''Ⅸ'''}}} ||<#000> {{{#fff '''1차 강진'''}}} || || 2 || 2023-02-06 01:26:49 || M 5.6 ||<#a32777> {{{#fff '''Ⅶ'''}}} ||<|29> - || || 3 || 2023-02-06 01:28:15 || '''M 6.7''' ||<#632523> {{{#fff '''Ⅷ'''}}} || || 4 || 2023-02-06 01:36:28 || M 5.6 ||<#a32777> {{{#fff '''Ⅶ'''}}} || || 5 || 2023-02-06 01:58:23 || M 5.1 ||<|2><#f00> {{{#fff '''Ⅵ'''}}} || || 6 || 2023-02-06 02:01:45 || M 4.8 || || 7 || 2023-02-06 02:03:36 || M 5.5 ||<#a32777> {{{#fff '''Ⅶ'''}}} || || 8 || 2023-02-06 02:17:40 || M 4.8 ||<#ffc000> Ⅴ || || 9 || 2023-02-06 02:23:14 || M 5.2 ||<#ff0> Ⅳ || || 10 || 2023-02-06 02:54:00 || M 4.6 ||<#ffc000> Ⅴ || || 11 || 2023-02-06 03:04:45 || M 4.7 ||<|2><#f00> {{{#fff '''Ⅵ'''}}} || || 12 || 2023-02-06 03:12:12 || M 4.5 || || 13 || 2023-02-06 03:28:46 || M 4.4 ||<#ffc000> Ⅴ || || 14 || 2023-02-06 03:45:48 || M 4.8 ||<#f00> {{{#fff '''Ⅵ'''}}} || || 15 || 2023-02-06 04:04:23 || M 4.3 ||<|2><#ff0> Ⅳ || || 16 || 2023-02-06 04:14:19 || M 4.4 || || 17 || 2023-02-06 04:16:49 || M 4.5 ||<#ffc000> V || || 18 || 2023-02-06 04:18:46 || M 5.0 ||<#f00> {{{#fff '''Ⅵ'''}}} || || 19 || 2023-02-06 04:39:47 || M 4.3 ||<|2><#ff0> Ⅳ || || 20 || 2023-02-06 04:47:57 || M 4.4 || || 21 || 2023-02-06 05:01:51 || M 4.6 ||<#ffc000> V || || 22 || 2023-02-06 05:22:50 || M 4.4 || || || 23 || 2023-02-06 05:31:23 || M 4.4 || || || 24 || 2023-02-06 05:36:33 || M 4.6 ||<#ffc000> V || || 25 || 2023-02-06 05:55:51 || M 4.5 ||<#ffc000> V || || 26 || 2023-02-06 06:26:10 || M 4.6 ||<#92d050> Ⅲ || || 27 || 2023-02-06 06:26:29 || M 4.6 || || || 28 || 2023-02-06 06:54:57 || M 4.8 ||<#92d050> Ⅲ || || 29 || 2023-02-06 07:08:31 || M 4.6 ||<#92d050> Ⅲ || || 30 || 2023-02-06 08:01:46 || M 4.5 ||<#92d050> Ⅲ || || 31 || 2023-02-06 08:52:37 || M 4.8 ||<#ff0> Ⅳ || || 32 || 2023-02-06 08:58:35 || M 4.5 || || || 33 || 2023-02-06 09:23:45 || M 4.6 ||<#ff0> Ⅳ || || 34 || 2023-02-06 09:36:16 || M 4.3 ||<#ff0> Ⅳ || || 35 || 2023-02-06 10:24:19 || {{{#a52a2a '''M 7.5'''}}} ||<#4c2600> {{{#fff '''Ⅸ'''}}} ||<#000> {{{#fff '''2차 강진'''}}} || || 36 || 2023-02-06 10:26:48 || M 6.0 ||<#f00> {{{#fff '''Ⅵ'''}}} || || 37 || 2023-02-06 10:35:58 || M 5.8 ||<|2><#a32777> {{{#fff '''Ⅶ'''}}} ||<|16> - || || 38 || 2023-02-06 10:51:30 || M 5.7 || || 39 || 2023-02-06 11:01:34 || M 5.0 ||<#ffc000> V || || 40 || 2023-02-06 11:05:35 || M 5.2 ||<|2><#ff0> Ⅳ || || 41 || 2023-02-06 11:11:41 || M 4.9 || || 42 || 2023-02-06 11:39:41 || M 4.8 || || || 43 || 2023-02-06 11:58:36 || M 4.8 ||<#ff0> Ⅳ || || 44 || 2023-02-06 12:02:11 || '''M 6.0''' ||<#a32777> {{{#fff '''Ⅶ'''}}} || || 45 || 2023-02-06 12:13:47 || M 4.8 ||<|3><#ff0> Ⅳ || || 46 || 2023-02-06 12:34:43 || M 4.9 || || 47 || 2023-02-06 12:36:36 || M 4.7 || || 48 || 2023-02-06 13:00:13 || M 4.5 || || 49 || 2023-02-06 13:07:44 || M 5.0 ||<#ff0> Ⅳ || || 50 || 2023-02-06 13:11:56 || M 4.7 || || || 51 || 2023-02-06 13:17:41 || M 4.9 ||<#ff0> Ⅳ || || 52 || 2023-02-06 13:39:11 || M 5.1 ||<#ff0> Ⅳ || || 53 || 2023-02-06 13:44:51 || M 5.0 ||<#92d050> Ⅲ || || 54 || 2023-02-06 14:04:50 || M 4.4 || || || 55 || 2023-02-06 14:10:11 || M 4.5 || || || 56 || 2023-02-06 14:17:18 || M 4.4 || || || 57 || 2023-02-06 14:27:43 || M 4.5 || || || 58 || 2023-02-06 14:29:58 || M 4.7 || || || 59 || 2023-02-06 14:41:57 || M 4.4 || || || 60 || 2023-02-06 14:51:16 || M 4.4 || || || 61 || 2023-02-06 14:57:47 || M 4.5 || || || 62 || 2023-02-06 15:14:34 || M 5.3 || || || 63 || 2022-02-06 15:33:32 || M 5.2 || || || 64 || 2023-02-06 16:06:43 || M 4.3 || || || 65 || 2023-02-06 16:26:15 || M 4.6 || || || 66 || 2023-02-06 16:26:39 || M 4.8 || || || 67 || 2023-02-06 16:32:11 || M 4.9 || || || 68 || 2023-02-06 16:43:29 || M 5.0 || || || 69 || 2023-02-06 16:55:37 || M 4.5 || || || 70 || 2023-02-06 17:11:47 || M 4.3 || || || 71 || 2023-02-06 17:22:01 || M 4.1 || || || 72 || 2023-02-06 17:26:24 || M 4.7 || || || 73 || 2023-02-06 17:31:33 || M 4.5 || || || 74 || 2023-02-06 17:46:49 || M 4.4 || || || 75 || 2023-02-06 18:02:45 || M 4.4 || || || 76 || 2023-02-06 18:03:54 || M 5.3 || || || 77 || 2023-02-06 19:15:47 || M 4.4 || || || 78 || 2023-02-06 19:30:59 || M 4.4 || || || 79 || 2023-02-06 19:35:50 || M 4.3 || || || 80 || 2023-02-06 19:40:16 || M 4.6 || || || 81 || 2023-02-06 19:49:40 || M 4.3 || || || 82 || 2023-02-06 20:05:35 || M 4.7 || || || 83 || 2023-02-06 20:14:12 || M 4.2 || || || 84 || 2023-02-06 20:37:52 || M 5.3 || || || 85 || 2023-02-06 20:44:00 || M 5.0 || || || 86 || 2023-02-06 20:53:24 || M 4.9 || || || 87 || 2023-02-06 21:02:03 || M 4.4 || || || 88 || 2023-02-06 21:15:17 || M 4.8 || || == 피해 == === [[튀르키예]] === * 2월 6일 저녁,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대통령은 튀르키예에서만 912명이 숨지고 5,383명이 부상당하고 2,818채의 건물이 무너진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740946|#]] * '''[[가지안테프]]'''와 '''[[하타이]]([[이스칸데룬]], [[안타키아]])''', '''[[말라티아]]''', '''[[카라만마라쉬]]''', [[아드야만]], [[산리우르파]], [[킬리스]], [[아다나]], [[디야르바크르]], [[오스마니예]], [[카이세리]] 등에서 피해가 보고되었다. * 최소 1,541명이 사망하고 9,733명이 부상당했으며 3,471채의 건물이 파괴되었다고 한다. * 이번 지진으로 [[동로마 제국]] 시기 건설된 유적인 '''[[가지안테프#s-7.1|가지안테프 성]]이 파괴'''되었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inglebungle1472&no=711876|#]][* 다만 가지안테프 성은 이미 예전에 한번 무너졌던 것을 재건한 것이긴 하다.] * [[첼시 FC]],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등에서 활약했던 가나의 축구선수 [[크리스찬 아추]](現 [[하타이스포르]] 소속)가 머물던 건물이 무너지며 잔해 속에 파묻혀 실종되었으나, 현지 시각 오후 11시경 구조되었다. [[https://www.theguardian.com/football/2023/feb/06/christian-atsu-turkey-earthquakes-hatayspor-newcastle-chelsea|#]] * 규모 3.8 이상의 여진이 끊임없이 이어지고 곳곳에서 건물이 붕괴되고 있다.[* 영상 모음 [[https://twitter.com/cnnturk/status/1622553253454946305|#1]] [[https://twitter.com/amitsahujourno/status/1622548757542998017|#2]] [[https://twitter.com/haskologlu/status/1622573080382939140|#3]] [[https://twitter.com/cnnturk/status/1622563167883722753|#4]] [[https://twitter.com/Faytuks/status/1622658875093659648|#5]] [[https://twitter.com/haskologlu/status/1622663532847239168|#6]] [[https://twitter.com/kirmasti_tekfur/status/1622564681641562112|#7]] [[https://twitter.com/ewinhelin/status/1622486826756751362|#8]] [[https://twitter.com/meliodasima/status/1622612051817373698|#9]]] 또한 대규모 정전, 영상 3도의 추운 날씨, 눈, 비, 강풍 등의 악천후에 통신망이 끊기고 교통망도 손상된 곳이 많아 구조 및 수습 작업 자체가 어려운 상황이다. 이러한 악조건에 매몰자 뿐만 아니라 집을 잃은 사람들의 건강도 걱정된다. * 튀르키예 전역의 학교에 일주일 간 휴교령이 내려졌다. [[https://twitter.com/HaberReport/status/1622597084862902273|#]] * 에르도안 대통령은 1주일간의 [[국가애도기간]]을 선포했다. 그리고 "12일 일요일 해가 질 때까지 전국과 해외 공관에서 조기가 계양될 것"이라고 밝혔다. [[https://www.yna.co.kr/view/AKR20230207005700108|#]] === [[시리아]] === * [[AFP]] 통신에 따르면 시리아에서도 최소 560명이 사망했다고 현지 당국이 발표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740946|#]] * 최소 810명이 사망하고 1,800명이 부상당했다고 한다. * [[알레포]]와 [[라타키아]]에서 다수의 건물 붕괴가 발생했다.[[https://twitter.com/AFPphoto/status/1622521893185105922|#]] [[이들리브]]도 지진의 영향권 내에 있었다. * 사상자가 발생한 북서부는 10년 넘는 내전으로 고향을 잃은 피난민들이 밀집한 지역인데다 강추위, 눈, 폭풍우 등 악천후까지 겹쳐 구조 작업에 난항을 겪고 있다. 오랜 내전으로 건물들이 손상돼 있었다는 점도 피해를 키웠다. [[https://imnews.imbc.com/replay/2023/nwdesk/article/6452515_36199.html|#1]] [[https://imnews.imbc.com/replay/2023/nwdesk/article/6452516_36199.html|#2]]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070014|#3]] === [[레바논]] === * [[베이루트]]에서 진동이 느껴졌고, 폭풍우와 지진이 겹쳐 도시가 침수되었다.[[https://twitter.com/MohamdEch/status/1622480818181382144|#]] === [[재외국민]] === * [[대한민국]] [[외교부]]가 2023년 2월 6일 오후 2시까지 보고된 [[한국인]] 인명피해가 없다고 밝혔다.[[https://www.msn.com/ko-kr/news/other/%EC%99%B8%EA%B5%90%EB%B6%80-%ED%8A%80%EB%A5%B4%ED%82%A4%EC%98%88-%EA%B0%95%EC%A7%84%EC%97%90-%EC%9A%B0%EB%A6%AC-%EA%B5%AD%EB%AF%BC-%EC%82%AC%EC%83%81%EC%9E%90-%EC%97%86%EC%96%B4/ar-AA179n1x?ocid=msedgdhp&pc=U531&cvid=c1f0094d39d940b5a541ca8412b6b974|#]] == 반응 == * [[미국]] [[백악관]]은 성명을 통해 "미국은 오늘 튀르키예와 시리아에서 발생한 파괴적 지진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한다. 우리는 필요한 모든 지원을 제공할 준비가 돼 있다"고 전했다. [[https://newsis.com/view/?id=NISX20230206_0002182577|#1]] [[https://www.whitehouse.gov/briefing-room/statements-releases/2023/02/05/statement-from-national-security-advisor-jake-sullivan-on-the-earthquake-in-turkiye-and-syria/|#2]] * [[대한민국 대통령실]]은 언론 공지를 통해 "[[윤석열]] 대통령은 이란과 튀르키예에서 연이어 발생한 재난에 대해 인도적 차원에서 적극적 지원 방안을 마련하도록 국가안보실과 외교부에 지시했다"고 밝혔다. [[https://newsis.com/view/?id=NISX20230206_0002183087|#]] * [[외교부|대한민국 외교부]]는 대변인 성명을 통해 "지진으로 피해를 입은 수많은 희생자들과 유가족들에게 깊은 위로와 애도의 뜻을 표한다"고 밝혔다. [[https://www.mofa.go.kr/www/brd/m_4080/view.do?seq=373318|#]] * [[러시아 정부]]는 지진이 발생한 튀르키예와 시리아 현지 구조 활동을 위해 군용수송기 [[Il-76]] 2대를 보낼 준비를 끝냈다고 밝혔다. [[https://www.yna.co.kr/view/AKR20230206140800096|#]] * [[바샤르 알아사드]] 시리아 대통령은 긴급대책회의에서 피해 수습에 필요한 모든 조치를 하라고 지시했다. * 튀르키예 내무장관은 10개 피해 지역에 구조대와 보급 비행기를 급파하는 동시에 최고 단계인 4단계 경보를 발령했다. *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은 TV 연설에서 현재까지 약 45개국이 지원을 제안했다고 밝혔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3020620351937093|#]] * [[일론 머스크]]가 [[스타링크]]를 사용할 것을 제안했지만 터키의 위성 서비스인 Türksat로도 충분하다고 판단하여 거부하였다. [[https://www.bloomberght.com/musk-in-starlink-teklifine-tesekkur-turksat-in-kapasitesi-yeterli-2324734-amp|#]] * 튀르키예와 시리아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원 약속이 잇따르고 있다.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asiapacific/1078563.html|#]] * [[유럽연합]](EU)은 피해 지역에 긴급구호팀을 급파하기로 했으며 일부 인력은 현지로 출발했다. 인도적 지원·위기관리 담당 유럽연합 집행위원은 트위터를 통해 “오늘 오전 튀르키예 지진 발생에 따라 유럽연합의 시민보호 메커니즘을 가동했다. 유럽연합의 긴급대응조정센터(ERCC)에서 유럽에서 (피해 지역으로) 구호팀을 파견하기 위해 조율 중이다. 네덜란드와 루마니아에서 각각 구호팀이 이미 출발했다”고 말했다. 프랑스24의 보도에 따르면 EU 회원국 중 적어도 9개국[* [[프랑스]], [[그리스]], [[불가리아]], [[루마니아]], [[체코]], [[크로아티아]], [[폴란드]], [[몰타]], [[네덜란드]]]의 구조대 10팀이 튀르키예의 현장에 도착했다.[[https://twitter.com/DaveKeating/status/1622585148377116672|#]] *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사무총장은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 등과 연락을 하고 있으며, 나토 동맹들이 지원을 논의 중”이라고 전했다. 대변인 역시 트위터를 통해 “나토 동맹인 튀르키예가 오늘 오전 발생한 지진 참사에 대한 국제사회 지원을 요청했다”며 동맹들이 연대를 표명하고 지원을 동원 중이라고 밝혔다. * [[울프 크리스테르손]] [[스웨덴 총리]]는 트위터를 통해 튀르키예·시리아 지진 참사에 애도를 표하면서 “튀르키예의 파트너이자 유럽연합 의장국으로서 지원을 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 [[이츠하크 헤르초그]] [[이스라엘 대통령]]은 에르도안 대통령에게 희생자 발생에 대한 애도의 뜻을 전하고 “모든 동원 가능한 방식으로 지원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전했다. *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는 트위터에 “튀르키예~시리아 국경에서 일어난 지진과 관련된 소식을 충격과 함께 쫓고 있다. 독일은 유족들과 슬픔을 함께하며 당연히 지원을 보낼 것”이라고 말했다. 외교장관도 “튀르키예와 시리아에서 전해진 끔찍한 소식에 잠에서 깼다. 이 끔찍한 지진의 희생자들과, 그들을 걱정하는 유족, 친구, 이웃과 함께 걱정하고 있다. 이웃 국가들과 신속히 지원을 보내겠다”고 말했다. *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트위터를 통해 구조대를 파견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혔다. * [[키리아코스 미초타키스]] [[그리스 총리]]는 트위터를 통해 튀르키예·시리아 지진 피해자 유족들에게 애도를 표한 뒤 “그리스는 자원을 동원해 즉시 지원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트위터에 “튀르키예 지진으로 수백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데 대해 충격받았다. 희생자 유족들에게 애도를 표하며 부상자들의 빠른 회복을 기원한다. 우크라이나는 친절한 튀르키예 국민들과 가까이 있다. 필요한 모든 것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단 구조대등을 지원할경우 현장에서 '''러시아''' 구조대와 충돌이 불가피하다.] * [[일본 정부]]는 경찰, 소방, 외무성 등으로 구성된 국제 긴급 구조대 18명을 2월 6일 23시 하네다발 비행기로 선발대를 파견했으며 최종적으로 75명 정도를 파견하기로 결정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지진/2023년)] [각주] [[분류:2023년 지진]][[분류:튀르키예의 사건 사고]][[분류:시리아의 사건사고]][[분류:나무위키 지진 프로젝트]][[분류:튀르키예-시리아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