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건사고)] ||<-3><#000> {{{+1 '''2023년 마스퉁 폭탄 테러'''}}}[br]2023 Mastung bombing || ||<-2> '''발생일''' || [[2023년]] [[9월 29일]][* 현지 시간] || ||<-2><|2> ''' 발생 위치'''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29°48′00″N 66°51′00″E)]}}}|| || [[파키스탄]] [[발루치스탄]] [[마스퉁]] || ||<-2> '''유형''' || '''[[폭탄 테러]]''' || ||<-2> '''원인''' || 불명 || ||<|2> '''인명피해''' || '''사망''' || {{{#fff '''52명 이상'''}}} || || '''부상''' || {{{#fff '''50명 ~ 70명'''}}} || ||<-2> '''재산 피해''' || '''불명'''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3년]] [[9월 29일]] [[파키스탄]] [[발루치스탄]]의 [[마스퉁]]에서 일어난 자살 폭탄 테러. [[이슬람]]의 선지자 [[무함마드]]의 탄신일을 기리는 [[마울리드]] 행사가 진행되던 중 마디나 모스크로의 행렬을 목표로 벌인 테러다. == 상세 == 경찰 관계자는 마울리드 행사가 진행되던 중 행렬에 참가한 이들을 향한 테러라고 밝혔고 당시 부경찰서장이었던 나와즈 가쉬코리의 차량 인근에서 테러가 자행되었는데 부경찰서장과 인근의 또 다른 경찰이 이 테러로 인해 사망했다. == 반응 == 테러가 발생한 직후 정부에서는 곧바로 비상사태를 선언했고 구조팀이 배치되었다. 심각한 부상을 입은 인원들은 [[퀘타]]의 병원으로 이송되었다. [[안와르 울 하크 카카르]] 임시 총리는 해당 테러를 비난했고 피해자들에게 위로를 전했으며 [[아리프 알비]] 대통령과 [[사르프라즈 부그티]] 내무부장관도 이 테러를 비난했다. 국제적으로는 [[미국]], [[프랑스]], [[영국]], [[튀르키예]],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아랍에미리트]], [[이라크]], [[이집트]]가 이 테러를 비난했다. == 가해자 == 이 테러의 배후를 자칭하는 세력이 나서지 않아 수사에 들어갔으며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와 연관이 있었을 거라고 파키스탄 평화 연구소에서는 발표했다. [[파키스탄 탈레반]]은 해당 공격이 자신들의 소행이 아니라고 밝혔다. [[분류:2023년 테러]][[분류:파키스탄의 사건 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