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건사고)] [include(틀:지진)] [include(틀:대한민국 주요 지진)] ||<-3> '''{{{+3 2023년 경주 지진}}}''' ||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_3_20231130045524.png|width=100%]]}}}|| || '''발생'''[br]^^(UTC+9)^^ ||<-2> [[2023년]] [[11월 30일]] 04시 55분 24초 || ||<|4> '''진앙''' ||<-2> [[경상북도]] [[경주시]] 동남동쪽 19㎞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35.79%2C129.42&zoom=8, 너비=100%, 높이=240px)]}}}|| ||<-2> [[경상북도]] [[경주시]] [[문무대왕면]] 입천리 산 26 || ||<-2> 35.79°N 129.42°E || || '''진원의 깊이''' ||<-2>12㎞ || || '''단층 운동''' ||<-2>[[단층#s-3.2|주향이동단층]] || || '''최대 지반가속도''' ||<-2>양북관측소(YGBA) PGA: 1.563%g || || [[규모(지진)|'''{{{#fff 규모}}}''']] ||<-2>M,,L,, 4.0,,,(± 0.2),,, / M,,w,, 3.6[* 분석신뢰도 89.3%] || ||<|4> [[진도(지진)|'''{{{#fff 진도}}}''']] ||<#FFC000> '''Ⅴ''' ||[[경상북도]] [[경주시]] || ||<#FF0> '''Ⅳ''' ||[[울산광역시]] [[북구(울산광역시)|북구]],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포항)|남구]] || ||<#92d050> '''Ⅲ''' ||[[부산광역시]] 일부[* 북구, 강서구], [[울산광역시]] 대부분[* 중구, 남구, 동구, 울주군], [[경상남도]] 북동부[* 밀양시, 양산시, 거창군, 합천군], [[경상북도]] 남동부[* 포항시북구, 영천시, 경산시, 청도군] || ||<#a0e6ff> '''Ⅱ''' ||[[부산광역시]] 대부분[* 중구, 서구, 동구, 영도구, 부산진구, 동래구, 남구, 해운대구, 사하구, 금정구, 연제구, 수영구, 사상구, 기장군],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서구(대전광역시)|서구]], [[전라북도]] [[무주군]], [[충청북도]] [[영동군]], [[경상북도]] 대부분[* 김천시, 안동시, 의성군, 청송군, 영양군, 영덕군, 고령군, 성주군, 칠곡군, 예천군, 봉화군], [[경상남도]] 대부분[* 창원시, 통영시, 김해시, 거제시, 의령군, 함안군, 창녕군, 산청군, 함양군], [[강원특별자치도]] 남부[* 태백시, 삼척시, 영월군, 정선군] || || '''기상청[br]상세정보''' ||<-2>[[https://www.weather.go.kr/w/XML/INTENSITY/i_3_20231130045524.html|지진 상세정보]][br][[https://www.weather.go.kr/w/XML/INTENSITY/report_20231130045524.pdf|지진분석서]] || || '''속보기록''' ||<-2>{{{#!wiki style="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B97; color: #4CB8FC; text-align: center" [[지진속보 및 지진조기경보|{{{#ffffff '''지진속보'''}}}]]}}}[[2023년]] [[11월 30일]] 04시 55분 31초[br]규모: '''4.3'''[br]최대진도 : '''V''' || || '''여진''' ||<-2>7회[br]최대 여진: 규모 1.5 || || '''유감신고[* 지진을 감지한 것을 신고한 것]''' ||<-2>112건[* 경북 49건, 울산 41건, 대구 10건, 부산 8건, 충남, 전북, 창원 각 1건]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ulG1duFvEW0)]}}}|| ||<#3d5f7e> {{{#fff '''2023년 11월 30일 새벽 5시경에 방송된 KBS 뉴스특보'''}}}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3년]] [[11월 30일]], [[새벽]] 4시 55분경 [[경상북도]] [[경주시]] 동남동쪽 19㎞ 지역에서 발생한 지진이다. 새벽 5시 5분경 위기경보 '경계'를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11290|발령]]하고 [[재난안전관리본부|중대본]] 1단계를 가동했다. == [[긴급재난문자]] == || {{{+1 ⚠️ '''[[지진속보 및 지진조기경보#s-3|{{{#000,#fff 긴급재난문자}}}]]'''}}}[br][[기상청|[[파일:기상청_국_좌우.svg|width=75px]]]] || || [기상청] 11월 30일 04:55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19㎞ 지역 규모4.3 지진발생/낙하물 주의, 국민재난안전포털 행동요령에 따라 대응, 여진주의[* [[파일:1000012536.jpg|width=200]]] || || {{{+1 ⚠️ '''[[지진속보 및 지진조기경보#s-3|{{{#000,#fff 안전안내문자}}}]]'''}}}[br][[기상청|[[파일:기상청_국_좌우.svg|width=75px]]]] || || [기상청] 11월 30일 04:55 경북 경주시 지역에서 발생한 규모 4.3 지진은 상세분석을 통해 규모 4.0으로 조정됨 || || {{{+1 ⚠️ '''[[지진속보 및 지진조기경보#s-3|{{{#000,#fff 안전안내문자}}}]]'''}}}[br][[경상북도|[[파일:경상북도 휘장.svg|width=75px]]]] || || [경북도청] 금일 04:55경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19㎞ 지역에서 규모 4.0의 지진으로 인한 건물붕괴, 대형화재 등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처음으로 발송된 기상청 [[지진속보 및 지진조기경보|지진속보]] 관련 [[재난문자방송|재난문자]]가 지진 최초 관측 5초 만에 발송되었다. [[2023년 동해 해역 군발지진/5월 15일|2023년 동해 해역 지진]]의 기록인 6초를 다시 한 번 갱신하며 역대 최단 시간에 발표된 지진속보가 되었다. 또한 [[2016년 경주 지진]]과 [[2017년 포항 지진]] 후 지진계가 많이 설치된 경주 지역에서 지진이 발생하여 지진 최초 관측에도 2초밖에 걸리지 않았다. 즉, 지진 발생부터 지진속보 발표까지 걸린 시간이 총 7초였다. 이는 일본의 [[긴급지진속보]] 수준의 기록이다. == 지진 활동 == 이번 [[지진]]이 발생한 진앙 인근 약 2km 지역은 과거부터 지진 활동이 활발했던 지역으로 2003년과 2004년에 규모 2.8, 2014년에는 규모 3.5의 지진이 발생했다. 그 후에도 규모 1.0 ~ 2.0의 지진이 지속적으로 발생했다. 다음은 기상청에서 공식 발표한 지진 활동 내역이다. ||<-2> {{{#ffffff 발생일시[br]^^(UTC+9)^^}}} || {{{#ffffff 진앙}}} || {{{#ffffff 규모}}} || {{{#ffffff 최대[br]진도}}} || {{{#ffffff 비고}}} || || 2003년 01월 13일 || 22시 03분 00초 ||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17㎞ 지역 || 2.8 || '''Ⅱ''' || || || 10월 17일 || 11시 55분 00초 ||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17㎞ 지역 || 2.0 || '''Ⅰ''' || || || 2004년 04월 30일 || 23시 43분 00초 ||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17㎞ 지역 || 2.8 || '''Ⅱ''' || || || 2014년 09월 23일 || 15시 27분 00초 ||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18㎞ 지역 || 3.5 || '''Ⅳ''' || || || 2015년 02월 04일 || 00시 26분 00초 ||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20㎞ 지역 || 0.5 || '''Ⅰ''' || || ||<|2> 11월 13일 || 20시 04분 00초 ||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19㎞ 지역 || 2.6 || '''Ⅰ''' || || || 20시 15분 00초 ||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17㎞ 지역 || 1.4 || '''Ⅰ''' || || ||<|2> 2017년 01월 07일 || 05시 47분 00초 ||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17㎞ 지역 || 1.1 || '''Ⅰ''' || || || 05시 57분 00초 ||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17㎞ 지역 || 1.1 || '''Ⅰ''' || || ||<|2> 01월 09일 || 20시 15분 00초 || 경북 경주시 동쪽 17㎞ 지역 || 1.3 || '''Ⅰ''' || || || 20시 22분 00초 ||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20㎞ 지역 || 1.0 || '''Ⅰ''' || || ||<|2> 04월 23일 || 19시 16분 00초 ||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17㎞ 지역 || 0.7 || '''Ⅰ''' || || || 22시 19분 00초 ||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17㎞ 지역 || 0.7 || '''Ⅰ''' || || ||<|3> 04월 24일 || 06시 28분 00초 ||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17㎞ 지역 || 1.0 || '''Ⅰ''' || || || 07시 02분 00초 ||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17㎞ 지역 || 0.7 || '''Ⅰ''' || || || 07시 03분 00초 ||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17㎞ 지역 || 0.8 || '''Ⅰ''' || || || 08월 19일 || 05시 21분 00초 ||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18㎞ 지역 || 0.7 || '''Ⅰ''' || || || 12월 19일 || 13시 34분 00초 ||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20㎞ 지역 || 2.1 || '''Ⅰ''' || || || 2018년 06월 21일 || 21시 56분 00초 ||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18㎞ 지역 || 1.0 || '''Ⅰ''' || || || 11월 27일 || 16시 17분 00초 ||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18㎞ 지역 || 1.7 || '''Ⅰ''' || || || 2020년 09월 26일 || 16시 22분 00초 ||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20㎞ 지역 || 1.6 || '''Ⅰ''' || || || 2021년 08월 19일 || 12시 59분 00초 ||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18㎞ 지역 || 1.5 || '''Ⅰ''' || || || 08월 26일 || 23시 55분 00초 ||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19㎞ 지역 || 1.2 || '''Ⅰ''' || || || 09월 05일 || 13시 01분 00초 ||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19㎞ 지역 || 1.9 || '''Ⅰ''' || || || 09월 06일 || 18시 42분 00초 ||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19㎞ 지역 || 1.8 || '''Ⅰ''' || || || 09월 08일 || 02시 11분 00초 ||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19㎞ 지역 || 1.4 || '''Ⅰ''' || || || 09월 15일 || 19시 09분 00초 ||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19㎞ 지역 || 1.9 || '''Ⅰ''' || || || 09월 17일 || 18시 10분 00초 ||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19㎞ 지역 || 1.7 || '''Ⅰ''' || || || 09월 22일 || 23시 59분 00초 ||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19㎞ 지역 || 1.0 || '''Ⅰ''' || || || 10월 01일 || 18시 15분 00초 ||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17㎞ 지역 || 1.0 || '''Ⅰ''' || || || 10월 19일 || 00시 09분 00초 ||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17㎞ 지역 || 1.1 || '''Ⅰ''' || || || 12월 19일 || 02시 48분 00초 ||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18㎞ 지역 || 1.7 || '''Ⅰ''' || || || 12월 17일 || 10시 55분 00초 ||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17㎞ 지역 || 1.6 || '''Ⅰ''' || || ||<|2> 2023년 09월 20일 || 05시 01분 00초 ||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18㎞ 지역 || 1.1 || '''Ⅰ''' || || || 20시 49분 00초 ||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19㎞ 지역 || 1.7 || '''Ⅰ''' || || ||<|2> 09월 21일 || 06시 59분 00초 ||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20㎞ 지역 || 1.8 || '''Ⅰ''' || || || 23시 05분 00초 ||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18㎞ 지역 || 1.8 || '''Ⅰ''' || || ||<|2> 09월 23일 || 15시 47분 00초 ||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18㎞ 지역 || 1.6 || '''Ⅰ''' || || || 23시 09분 00초 ||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18㎞ 지역 || 1.5 || '''Ⅰ''' || || ||<|8> 11월 30일 || 04시 55분 00초 ||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19㎞ 지역 || 4.0 || '''Ⅴ''' || 최대지진 || || 04시 59분 00초 ||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18㎞ 지역 || 1.3 || '''Ⅰ''' || || || 05시 00분 00초 ||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18㎞ 지역 || 1.5 || '''Ⅰ''' || || || 05시 03분 00초 ||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20㎞ 지역 || 0.8 || '''Ⅰ''' || || || 05시 11분 00초 ||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18㎞ 지역 || 0.9 || '''Ⅰ''' || || || 05시 17분 00초 ||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18㎞ 지역 || 1.2 || '''Ⅰ''' || || || 06시 04분 00초 ||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18㎞ 지역 || 1.0 || '''Ⅰ''' || || || 07시 21분 00초 ||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19㎞ 지역 || 1.3 || '''Ⅰ''' || || == 피해 == 경북 59건, 울산 45건, 대구 15건, 부산 8건, 충남, 전북, 창원 각 1건으로 총 132건의 지진 유감 신고가 접수됐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3113036047|#1]]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023113009074559109|#2]] [[https://imnews.imbc.com/replay/2023/nwdesk/article/6548835_36199.html|#3]] 진앙지 인근의 마을은 벽면에 금이 가는 피해가 발생했다.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동]]에서 긴급재난문자 알림 소리에 60대 남성이 놀라 일어나다 침대에서 선 채로 떨어지는 바람에 얼굴을 다쳐 인근 병원에 이송되는 일이 [[https://www.chosun.com/national/regional/yeongnam/2023/11/30/2YVEOXOB6NFPVP5SPSIW3ITVJM/|발생]]했다. == 기타 == * [[2022년 괴산 지진]] 후 약 1년 만에 내륙에서 규모 4 이상의 [[지진]]이 발생했다. * [[2016년 경주 지진|2016년의 지진]] 후 7년 만에 경주 지역에서 규모 4 이상의 지진이 발생했다. 앞서 발생한 경주 지진과 진앙지가 21㎞ 떨어져 있으며, 2016년의 지진은 양산단층 인근의 내남단층에서 발생하였으나 이번 지진은 [[https://ko.wikipedia.org/wiki/%EC%97%B0%EC%9D%BC%EA%B5%AC%EC%A1%B0%EC%84%A0|연일구조선]] 동쪽의 와읍분지에 위치한 제3기 경계단층[[https://ko.wikipedia.org/wiki/2023%EB%85%84_%EA%B2%BD%EC%A3%BC_%EC%A7%80%EC%A7%84#2023%EB%85%84_%EA%B2%BD%EC%A3%BC_%EC%A7%80%EC%A7%84%EC%9D%98_%EC%A7%80%EC%A7%88%EA%B5%AC%EC%A1%B0|#1]][[https://ko.wikipedia.org/wiki/%EC%99%80%EC%9D%8D_%EB%B6%84%EC%A7%80|#2]]에서 발생하였다는 차이점이 있다. * 발생한 시간이 [[새벽]] 시간이어서 ~~특유의 그 시끄러운~~ [[재난문자방송|긴급재난문자]] 알림음을 듣고 잠에서 깬 사람들이 많았다. SNS상에서는 아무 관계 없는 자신의 지역까지 왜 보냈냐며 따지며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108026?sid=102|논란]]이 일었다. 예전 [[2016년 경주 지진]], [[2018년 포항 지진]] 당시에는 긴급재난문자를 보내지 않아서 비판이 많았는데 이제는 보낸다고 비판을 하다 보니 일각에서는 [[안전불감증]]이 심해진거 같다는 우려도 나왔다. 긴급재난문자 발송 기준은 한국에서 [[지진]]의 규모 4 이상일 시 전국에 발송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휴대폰 설정에 들어가 긴급재난문자 알림을 해제할 수 있으나, '''긴급재난문자는 위급한 상황에 오다 보니 자신의 안전을 위해서라도 끄지 않는 것이 좋다.'''[* 단, 규모 6 이상의 지진 발생 시 발송되는 위급재난문자는 해제할 수 없다.] * 경주를 비롯해 경북·경남 주민들은 [[새벽]] 내내 여진 공포감에 뜬눈으로 밤을 지샜다.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에도 새벽에 진동을 느낀 후 잠을 이루지 못했다는 시민들이 속출했다. [[2016년 경주 지진|2016년 경주]]·[[2017년 포항 지진|2017년 포항 일대에서 발생한 대규모 지진]]의 공포[* [[2018년 포항 지진]] 때와 [[새벽|비슷한 시각]]에 일어나 그 지진도 떠올리는 사람들이 있다.]가 소환됐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경주대학교]], [[위덕대학교]], [[한동대학교]] 등 인근 대학교의 [[에브리타임]]이 [[https://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277659|일시 정지]]되기도 했다. 몇몇 대학에서는 지진을 우려하는 학생들과 호들갑을 떤다는 학생들 사이에 분란이 일어나는 글도 올라오며 눈살이 찌푸려지는 일도 일어났다. 경주는 지진에 대해 충분히 걱정할 수 있는 도시인 만큼 지나친 [[안전불감증]]도 위험하다. * 문무대왕면 입천리 주민들의 증언에 의하면 며칠 전부터 [[까마귀]] 떼의 움직임이 남달랐다고 한다. [[https://www.news1.kr/articles/?5247280|#]] 그러나 과학적으로 입증된 증거는 전혀 없다. * 위와 비슷하게 오전 5~6시에 경주 지진 네이버 제보 오픈톡에서 [[지진운]]을 봤다는 말과 함께 지진운 사진이 많이 올라왔지만 지진운 현상 역시 과학적으로 입증되지 않았다. * 지진이 일어난 시간이 공교롭게도 [[화면조정시간|지상파의 편성표가 바뀌는]] 새벽 4시 55분이라 지진속보가 처음 TV에 출력되었을 때 지상파 채널들에는 애국가가 나오고 있었다. 애국가가 나온 뒤 재난 주관 방송 채널인 KBS 1TV는 방송 개시 선언과 재난 대비 공익광고만 간략히 내보내고 원래 새벽 5시 편성인 [[생활의 발견#KBS TV 프로그램|재방송 프로그램]]을 긴급 취소한 뒤에 [[KBS 뉴스광장|뉴스광장]]을 위해 대기하고 있던 최문종 아나운서가 뉴스특보를 진행해 재난문자뿐만 아니라 재난방송도 상당히 신속히 이루어졌다. == 둘러보기 == ||<-5><#3d5f7e> {{{#fff '''별도의 문서가 존재하는 한반도 지진'''}}} || || [[2023년 어랑 해역 지진]] || {{{+1 →}}} || '''2023년 경주 지진''' || {{{+1 →}}} || - || [include(틀:지진/2023년)] [[분류:2023년 지진]][[분류:지진/대한민국]][[분류:경주시의 사건사고]][[분류:나무위키 지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