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23년 지진]][[분류:지진/대한민국]][[분류:강화군의 사건사고]][[분류:나무위키 지진 프로젝트]]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 ManiacalSwelteringBraveCurve, 합의사항1=문서 등재)] [include(틀:사건사고)] [include(틀:지진)] [include(틀:대한민국 주요 지진)] {{{#!wiki style="word-break: keep-all" ||<-3> {{{+1 '''2023년 강화 지진'''}}} ||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 강화 지진 진도 상세정보.png|width=100%]]}}}|| || '''발생'''[br]{{{-2 (UTC+9)}}} ||<-2> [[2023년]] [[1월 9일]] 01시 28분 15초{{{#!html ​}}}(UTC+9) || ||<|4> '''진앙''' ||<-2> 인천 강화군 서쪽 25km 해역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37.763 126.2015&zoom=8, 높이=240px)]}}}|| ||<-2>KMA: 인천 강화군 서쪽 25km 해역[* [[인천광역시]] [[강화군]] [[삼산면]] 서검리 일대][br]USGS: 인천 강화군 서쪽 25.2km 해역|| ||<-2>KMA: 37.74°N 126.20°E[br]USGS: 37.786°N 126.203°E || || '''진원의 깊이''' ||<-2>'''19km''' || || [[리히터 규모|{{{#fff '''규모'''}}}]] ||<-2>M,,L,, 3.7[* 최초 4.0으로 재난문자가 발송되었으나 수정되었다.] / M,,w,, 3.5[* [[https://www.weather.go.kr/w/XML/INTENSITY/report_20230109012815.pdf|기상청 강화도 지역 지진 규모 3.7 지진 분석 보고서, 1 페이지 및 5 페이지]]][* 분석신뢰도 53.9%] || || '''최대 지반 가속도''' ||<-2>교동관측소(GODA) PGA : 0.668%g[* [[https://www.weather.go.kr/w/XML/INTENSITY/report_20230109012815.pdf|기상청 강화도 지역 지진 규모 3.7 지진 분석 보고서, 1 페이지 및 5 페이지]]] || ||<|3> '''진도''' ||<#FF0> '''Ⅳ''' || [[인천광역시|인천]] [[강화군]] 일대 || ||<#92d050> '''Ⅲ''' || [[인천광역시|인천]] 서부[* 옹진군, 동구, 서구, 중구], [[경기도|경기]] 북부 [* 김포시, 파주시], [[황해남도|황남]] 동부[* 연안, 배천], [[개성시|개성]] 서부[* 개풍] || ||<#a0e6ff> '''Ⅱ''' || [[인천광역시|인천]] 남부[* 남동구, 연수구, 부평구, 계양구, 미추홀구], [[경기도|경기]] 서부 [* 고양, 과천, 광명, 군포, 부천, 성남, 수원, 시흥, 안산, 안양, 양주, 연천, 용인, 의왕, 화성], [[서울특별시|서울]] 서부[* 서대문구, 마포구, 은평구, 강서구, 양천구, 영등포구 등], [[황해남도|황남]] 동부[* 청단, 강령, 옹진, 벽성, 태탄, 신천, 재령, 신원, 봉천], [[황해북도|황북]] 서부[* 금천, 평산, 린산, 은파, 서흥], [[개성시|개성]] 동부[* 판문, 장풍, 직할지역] || || '''기상청 상세정보''' ||<-2>[[https://www.weather.go.kr/w/XML/INTENSITY/i_3_20230109012815.html|지진 상세정보]][br][[https://www.weather.go.kr/w/XML/INTENSITY/report_20230109012815.pdf|지진분석서]] || ||<|2> '''지진 신속정보''' ||<-2><#000B97> [[지진속보 및 지진조기경보|{{{#fff '''지진속보'''}}}]] || ||<-2>발령시간: 2023년 1월 09일 1시 28분 [br]추정규모: 4.0[br]최대예상진도 : '''IV''' || || '''여진''' ||<-2>1회[br]최대 여진: 규모 1.2 || || '''재산피해''' ||<-2>없음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t1WlW3iYs7o)]}}}|| ||<#3d5f7e> {{{#fff '''규모가 3.7로 하향된 시점에 방송된 KBS 뉴스특보'''}}}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강화도 지진.jpg]] [[2023년]] [[1월 9일]] [[인천광역시]] [[강화군]]에 오전 1시 28분에 발생한 [[지진]]이다. [[괴산 지진]] 이후 약 2개월 반만에 일어났다. || {{{+1 ⚠️ '''[[지진속보 및 지진조기경보#s-3|{{{#000,#fff 긴급재난문자}}}]]'''}}}[br][[행정안전부|[[파일:행정안전부 MI_가로.svg|width=75px]]]] || || 01월09일01:28 인천 강화군 서쪽 25km 해역 규모4.0 지진발생/낙하물로부터 몸 보호, 진동 멈춘 후 야외 대피하며 여진주의 || == 원인 == 이 지진을 일으킨 단층은 북북동-남남서 또는 동남동-서북서 방향의 주향이동단층으로 분석됐다. 그리고 지진 모멘트로 측정한 모멘트 규모는 3.5로 분석되었다. 또한 정확한 원인 분석까지는 시일이 어느 정도 소요될 것으로 보이나, 북한 일대를 지나는 [[예성강]]단층이 원인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한다.[[https://youtu.be/pIIFPicODtY|#]] == 여담 == * 지진속보가 지진 최초관측 9초만에 발표되어, 지진속보와 지진조기경보를 통틀어 처음으로 10초이내 발표에 성공했다. * 한국에서 발생한 규모 4.0 미만의 지진이었기에 당초 [[나무위키]]의 규정으로는 신규 문서 작성이 불가능했으나 긴급재난문자가 발송됐으며 수도권 인근에서 발생했다는 시급성 등을 고려해 규정이 개정되었다.[[https://namu.wiki/thread/BitterBrightSqualidArt|#]] * [[서울특별시]]에서도 진동이 감지되었는데, 기상청 진동영향 자료에서는 서울 서부 또한 진도 II 영향 범위로 표시되었다. 미약하게나마 [[강원도]] [[춘천시]]에서도 진동을 느꼈다는 사람도 있다. *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 지역 중 하나인 [[인천광역시|인천]] [[강화군]]과 [[북한]] [[황해남도]] 사이의 해역에서 발생한 지진이라 [[수도직하지진]]에 대한 우려와 초기에 4.0 규모로 지진속보가 발표 됨으로 인해 KBS 뉴스특보가 편성[* KBS는 통상적으로 [[https://www.weather.go.kr/HELP/html/help_eqk002.jsp|지진에 대한 긴급재난문자 통보 기준]]을 참고해서, 규모 2.9 이하의 지진은 아예 보도를 하지 않거나 하더라도 정규뉴스 시간에 단신으로 전하고, 규모 3.0 ~ 3.9까지의 지진은 기상청 지진속보 발령 즉시 경보자막을 띄우지만, 상세내용은 발생시각과 가까운 시간에 편성된 정규뉴스에서 다루며, '''규모 4.0 이상부터 뉴스특보를 편성한다.''' 자세한 예시는 [[지진조기경보]] 문서 참고]되는 등 통상적인 규모 3의 지진치고는 언론의 높은 주목을 받았다. * 진원지 일대로는 그간 지진 기록이 특별히 존재하진 않았으나 규모 1점대 초반 정도의 미약한 지진은 몇 번 있었다. 또한 1707년 경 강화도 일대에서 규모 5.8의 지진이 발생했던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 한밤중인 '''오전 1시'''에 긴급재난문자가 발송되는 바람에 많은 사람들이 시끄러운 알림 소리를 듣고 화들짝 놀라 깨어났으며, 당시 뉴스 속보 댓글이나 인터넷 커뮤니티 등지에서도 대부분 같은 반응을 보였다. 심지어 발생 당일이 '''[[월요병|월요일]]'''이라, ‘출근해야 하는데 잠 다 깨서 큰일났다’는 반응도 많았다. * 인터넷 방송인 겸 작곡가 [[이승빈(음악가)|이승빈]]이 지진 당시 트위치 라이브 스트리밍 중이었는데, 재난문자를 받자마자 황급히 책상 밑으로 숨는 모습이 언론을 통해 보도되기도 했다. [[https://youtu.be/DCD1VW9X6Lk|원본]], [[https://youtu.be/gln2nOUUbL0|SBS]] == 둘러보기 == ||<-5>
{{{#ffffff '''별도의 문서가 존재하는 한반도 지진''' }}} || || [[2022년 괴산 지진]] || {{{+1 → }}} || '''2023년 강화 지진''' || {{{+1 → }}} || [[2023년 동해 해역 군발지진/5월 15일|2023년 동해 해역 군발지진(5월 15일)]] || [include(틀:지진/202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