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한국시니어바둑리그)] ||<-2>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2023쏘팔코사놀레전드리그_로고.png|width=250]] || ||<#016332> {{{#fff '''{{{+1 2023 쏘팔코사놀 레전드리그}}}'''}}} ||}}} || || {{{#fff '''주최, 주관'''}}} ||[[한국기원|재단법인 한국기원]] || || {{{#fff '''주관방송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5em" [[바둑TV|[[파일:바둑TV 로고.svg|width=60]]]]}}} || || {{{#fff '''재정 후원'''}}} ||[[문화체육관광부|[[파일:문화체육관광부_국_좌우.svg|width=120&theme=light]][[파일:문화체육관광부 흰색 MI.svg|width=120&theme=dark]]]],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5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5em" [[국민체육진흥공단|[[파일:국민체육진흥공단 로고.svg|width=90]]]]}}} || || {{{#fff '''타이틀스폰서'''}}} ||인포벨(쏘팔코사놀) || || {{{#fff '''대회기간'''}}} ||정규리그 : [[2023년]] [[8월 14일]] ~ [[11월 14일]] 포스트시즌 : [[2023년]] || || {{{#fff '''전기 우승팀'''}}} ||고양시 ([[한국시니어바둑리그/2022시즌|2022시즌]]) || || {{{#fff '''참가팀'''}}} ||[[고양시]], [[영천시|스타영천]], [[KH에너지]], [[의정부시|의정부 행복특별시]][BR][[퓨리움|용인 퓨리움]], [[의성군|의성마늘]], [[문경시|yes문경]], [[칠곡황금물류]] || || {{{#fff '''대국규정'''}}} ||제한시간 각자 30분, 40초 초읽기 5회[br]계가 : 한국룰 [[덤(바둑)|덤]] 6.5집 || ||<-2> {{{#!folding [ 대회 결과 ] ||<-2> {{{+1 {{{#fff '''우승'''}}}}}} || ||<-2> || || {{{#fff '''정규리그 우승'''}}} || || || {{{#fff '''MVP'''}}} || || || {{{#fff '''다승왕'''}}} || || }}}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3년 개막하는 [[한국시니어바둑리그]]의 2023 시즌 문서. 시니어바둑리그의 8번째 시즌으로 이번 시즌 부터 시니어바둑리그가 리그 명칭을 ''''레전드리그\''''로 바꿔서 진행한다. 또한 리그 타이틀 스폰서도 [[쏘팔코사놀 최고 기사 결정전]]을 후원하고 있는 인포벨의 '쏘팔코사놀'이 맡게됐다. == 참가팀 == ||<-4> '''{{{#FFF 2023 쏘팔코사놀 레전드리그 참가 구단}}}''' || ||<-2> '''팀명''' || '''연고지''' || '''감독''' || || [[파일:2023고양시.png|width=50]] ||<#2683b5> 경기 '''고양시'''[br]{{{-2 (전기 정규+PS 통합 우승)}}} || 경기 고양시 || 한철균 || || [[파일:2022KH에너지.png|width=50]] ||<#d0333a> 부산 '''KH에너지'''[br]{{{-2 (전기 정규 3위, 최종 준우승)}}} || 부산광역시 || 김성래 || || [[파일:2022스타영천.png|width=50]] ||<#99cb52> 경북 '''스타영천'''[br]{{{-2 (전기 정규 2위, 최종 3위)}}} || 경북 영천시 || 윤종섭 || || [[파일:2022의정부행복특별시.png|width=50]] ||<#a72b85> 경기 '''의정부 행복특별시'''[br]{{{-2 (전기 정규리그 7위)}}} || 경기 의정부시 || 이형로 || || [[파일:2023용인퓨리움.png|width=50]] ||<#37ab49> 경기 '''용인 퓨리움'''[br]{{{-2 (신생팀)}}} || 경기 용인시 || 윤영민 || || [[파일:2023의성마늘.png|width=50]] ||<#693892> 경북 '''의성마늘'''[br]{{{-2 (신생팀)}}} || 경북 의성군 || 하호정 || || [[파일:2023문경시.png|width=50]] ||<#fba547> 경북 '''Yes 문경'''[br]{{{-2 (신생팀)}}} || 경북 문경시 || 양상국 || || [[파일:2023칠곡황금물류.png|width=50]] ||<#686267> 경북 '''칠곡황금물류'''[br]{{{-2 (신생팀)}}} || 경북 칠곡군 || 정수현 || * 이번 시즌은 팀들의 대폭적인 변화가 큰 시즌이 됐다. '데이터스트림즈', '구전녹용'이 빠지면서 서울 연고지 팀이 사라졌으며, 통영 디피랑, 부천 판타지아도 빠지게 됐다. * 신생팀으로 4개 팀이 들어왔다. 신생팀은 '용인 퓨리움', '의성마늘', 'Yes 문경', '칠곡황금물류'가 들어왔다. 이번 시즌은 경기도 지역 연고팀 3팀(고양시, 의정부 행복특별시, 용인 퓨리움)과 경상북도 지역 연고팀 4개팀(스타 영천, Yes 문경, 의성마늘, 칠곡황금물류), 그리고 부산 1팀(KH에너지)으로 참가팀이 구성됐다. == 시작하기 전에 == * 이번 시즌은 기존과 마찬가지로 8개팀 14라운드 더블 풀리그로 3판 다승제 방식으로 정규리그를 진행하고 포스트시즌도 역시 종전과 동일하게 상위 4개팀 스텝레더로 진행한다. * 이번 시즌에는 외국인 선수 제도가 도입되었으며 이로 인해 지난 시즌까지 전반기 지명제, 후반기 오더제로 진행했던 것을 '''모든 경기를 자율 오더제로 진행한다.'''[* 시니어리그 규정에는 외국인 선수를 모두 뽑지 않은 경우엔 전반기 지명제, 후반기 오더제로 정규시즌을 운영하나 외국인 선수 출전시 자율오더제로 전 경기를 진행하도록 하는 예외 규정이 있는데 이번 시즌은 외국인 선수가 도입이 됨에 따라 전면 자율오더제를 실시하는 예외 규정이 적용되었다. 이는 포스트시즌도 마찬가지.] * 이번 시즌은 8월 11일 개막식을 가진 후 8월 14일 부터 정규리그 일정에 돌입한다. == 선수단 구성 및 대진 순번 == * 드래프트 순서 : {{{#a72b85 의정부 행복특별시}}} → {{{#99cb52 스타 영천}}} → {{{#693892 의성마늘}}} → {{{#2683b5 고양시}}} → {{{#37ab49 용인 퓨리움}}} → {{{#d0333a 부산 KH 에너지}}} → {{{#fba547 Yes 문경}}} → {{{#686267 칠곡황금물류}}} (1지명과 후보선수는 드래프트 순서, 2지명과 3지명은 드래프트 역순으로 지명.)[* 드래프트 순서는 먼저 신생팀 4팀(의성마늘, 용인 퓨리움, Yes 문경, 칠곡황금물류)과 보호지명을 포기한 KH에너지와 의정부 행복특별시 팀이 순번을 정하는 순서를 추첨한 후 순번을 정했고 나머지 팀(스타영천, 고양시)의 드래프트 순서는 추첨으로 자동 결정했다.] ||<-6> '''{{{#FFF 2023 쏘팔코사놀 레전드리그 선수 지명}}}''' || || '''팀명''' || '''대진순번''' || '''1지명''' || '''2지명''' || '''3지명''' || '''4지명''' || ||<#2683b5> '''고양시''' || 1 || 김영삼[br](지역) || 박승문 || 정대상 || 김철중 || ||<#fba547> '''Yes[br]문경''' || 2 || 김찬우 || 김일환 || 강훈 || 나카네[br]나오유키 || ||<#37ab49> '''용인[br]퓨리움''' || 3 || 최규병 || 서능욱 || 이영신 || 이기섭 || ||<#693892> '''의성마늘''' || 4 || 권효진 || 오규철 || 이지현 || 백성호 || ||<#a72b85> '''의정부[br]행복특별시''' || 5 || 유창혁 || 김동엽 || 조대현 || 차민수 || ||<#99cb52> '''스타영천''' || 6 || 서봉수 || 김종수[br](보호) || 김동면[br](지역) || 황원준 || ||<#686267> '''칠곡[br]황금물류''' || 7 || 이상훈 || 윤현석 || 김기헌 || 김종준 || ||<#d0333a> '''KH에너지''' || 8 || 김수장 || 안관욱 || 장수영 || 요다[br]노리모토 || * 이번 시즌 지역 연고 지명 선수로 지정된 선수는 김영삼({{{#2683b5 고양}}})과 김동면({{{#99cb52 영천}}})이다. {{{#5683b5 고양시}}} 지역 연고 선수로 지정된 김영삼 九단은 지난 시즌까지 시니어리그 해설을 맡았으나 2023년에 시니어리그 참가 자격 요건[* 2023년 시즌은 남자기사는 1974년생부터 시니어리그 참가가 가능하다.]이 되면서 시니어리그 선수로 데뷔하게됐다. 김영삼 九단은 경기 고양시 출신이다. {{{#99cb52 스타영천}}} 지역 연고 선수로 지정된 경북 김천 출신 김동면 九단은 지역 연고 지명 3년차를 맞이한다. * 팀 당 한 명을 지정할 수 있는 보호 선수의 경우 이번 시즌엔 {{{#99cb52 스타영천}}}만 보호 지명을 행사했으며 김종수 선수가 2지명으로 보호 지정됐다. * 드래프트 결과 {{{#a72b85 의정부}}}가 전체 1번으로 지난 시즌까지 데이터스트림즈 주장을 맡았던 유창혁을 지명했으며[* 참고로 의정부는 1~3지명이 지난 시즌 데이터스트림즈에서 뛰었던 멤버들이 그대로 팀을 옮겼다.] 지난 시즌 구전녹용 주장이었던 권효진은 {{{#693892 의성마늘}}} 팀으로 옮기게 됐다. 지난 시즌 영천의 주장이었던 이상훈은 {{{#686267 칠곡황금물류}}}, 통영 주장이었던 김수장은 {{{#d0333a KH에너지}}}의 주장을 맡게됐다. 지난 시즌까지 KH에너지 주장을 맡았던 서봉수는 {{{#99cb52 영천}}}으로 팀을 옮기게 됐다. * 이번 시즌은 외국인 선수제도가 실시되어 2019년 삼척에서 뛰었던 루이나이웨이 이후 처음으로 외국인 선수가 시니어리그에 모습을 보이게 됐다. {{{#d0333a KH에너지}}}는 '''[[요다 노리모토]]'''룰 외국인 선수로 지명했으며, {{{#fba547 Yes 문경}}}은 나카네 나오유키를 지명했는데 나카네 나오유키는 일본에서 활동 중인 김현정 四단[* 여자바둑리그 '부안 새만금 잼버리' [[김효정(바둑 기사)|김효정]] 감독의 언니다.]의 남편이다. * {{{#2683b5 고양시}}}의 김영삼, {{{#686267 칠곡황금물류}}}의 윤현석, {{{#d0333a KH에너지}}}의 요다 노리모토, {{{#fba547 Yes 문경}}}의 나카네 나오유키는 이번 시즌을 통해 데뷔 시즌을 맞이한다. == 대회 진행 == [include(틀:2023 쏘팔코사놀 레전드리그)] === 정규리그 순위 === ||<-8>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2023쏘팔코사놀레전드리그_로고.png|width=60]]||[[2023 쏘팔코사놀 레전드리그|{{{#fff '''2023 쏘팔코사놀 레전드리그[br]{{{+1 정규리그 순위}}}'''}}}]] ||}}} || || '''순위''' || '''팀명''' || '''경기''' || '''승''' || '''무''' || '''패''' || '''개인승''' || '''비고''' || || 1 ||<#2683b5> {{{#FFF '''고양시'''}}} || 0 || 0 || 0 || 0 || 0 || || || 2 ||<#d0333a> {{{#FFF '''KH에너지'''}}} || 0 || 0 || 0 || 0 || 0 || || || 3 ||<#99cb52> {{{#FFF '''스타영천'''}}} || 0 || 0 || 0 || 0 || 0 || || || 4 ||<#a72b85> {{{#FFF '''의정부 행복특별시'''}}} || 0 || 0 || 0 || 0 || 0 || || || 5 ||<#37ab49> {{{#FFF '''용인 퓨리움'''}}} || 0 || 0 || 0 || 0 || 0 || || || 6 ||<#693892> {{{#FFF '''의성마늘'''}}} || 0 || 0 || 0 || 0 || 0 || || || 7 ||<#fba547> {{{#FFF '''Yes 문경'''}}} || 0 || 0 || 0 || 0 || 0 || || || 8 ||<#686267> {{{#FFF '''칠곡황금물류'''}}} || 0 || 0 || 0 || 0 || 0 || || ||<-8> {{{#ff9,#b29a00 노란색}}} : 챔피언결정전 직행, {{{#97ecab,#006118 초록색}}} : 플레이오프 진출, {{{#adf,#2b5797 파란색}}} : 준플레이오프 진출 || === 포스트시즌 === === 전체 경기 일람 === == 대회 결과 == == 여담 == * 이번 시즌은 해산된 팀이 4팀이나 되다보니 선수단 이동이 매우 큰 시즌이 됐는데 특히 전기 우승팀인 {{{#2683b5 고양시}}}는 '''우승 멤버 전원이 해체됐다.''' 이 중 지난 시즌 MVP 김승준 선수는 불참을 한 것으로 보이며 김찬우는 {{{#fba547 문경}}}의 1지명이 됐고, 백성호는 {{{#693892 의성마늘}}} 4지명, 이영신은 {{{#37ab49 용인 퓨리움}}}의 3지명으로 이번 시즌을 뛰게 됐다. * {{{#693892 의성마늘}}}과 {{{#37ab49 용인 퓨리움}}}의 경우 여자 기사인 하호정과 윤영민을 감독으로 각각 선임해 시니어리그 최초의 여성 감독이 탄생했다. 특히 {{{#693892 의성마늘}}} 하호정 감독은 지난 시즌엔 남편인 이상훈(大)과 마찬가지로 선수로 뛰었으나 이번 시즌은 선수가 아닌 감독을 맡아서 남편이 속한 팀과 적으로 만나게 된다. [[분류:한국시니어바둑리그]][[분류:나무위키 바둑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