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2022년 센트럴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목차] == 개요 == 9월 25일 야쿠르트가 디엔에이를 꺾고, 주니치가 요미우리를 제압하면서 센트럴 리그는 1위가 도쿄 야쿠르트, 2위가 요코하마 디엔에이로 결정되었고 3, 4, 5위가 모두 0.5게임 차라는 대혼전이 나왔다. 9월 29일~30일 히로시마가 2연패함으로써 B클래스를 확정지었다. 그리고 10월 1일 요미우리가 DeNA에게 짐으로써 B클래스를 확정지었다. 10월 1일 기준 3위의 경우의 수를 보면 * 한신 : 잔여경기 1 (vs 야쿠르트) / 남은 경기 승리& ~~히로시마 최하 1패~~ or '''히로시마 최하 1패&요미우리 최하 1패''' '''({{{#0000ff 진출}}})''' * 요미우리 : ~~잔여경기 2 (vs De) / 남은 경기 전승& 한신이 야쿠르트에게 패배.~~'''({{{#ff0000 탈락}}})''' * 히로시마 : ~~잔여경기 1 (주니치) / 남은 경기 전승& 요미우리가 최하 1패를 함.~~'''({{{#ff0000 탈락}}})''' 여기서 3위를 따내면 요코하마 스타디움으로 향한다. 그리고 한신이 포스트시즌에 진출하게 되었다. == 경기 목록 == === 9월 29~30일 야쿠르트 vs 히로시마 === ||<-30>
[[일본프로야구|[[파일:NPB 로고.svg|width=50]]]] '''2022.09.29(木) 18:00 | [[마쓰다 줌줌 스타디움 히로시마]]''' || || '''TEAM''' || '''SP'''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엠블럼.svg|width=25]]]]''' || [[이시카와 마사노리]] || 0 || 0 || 0 || 0 || 1 || 1 || 3 || 0 || 0 ||<#ffd700> '''5''' || 9 || 0 || || '''[[히로시마 도요 카프|[[파일:히로시마 도요 카프 엠블럼.svg|width=25]]]]''' || [[모리시타 마사토]] || 0 || 2 || 2 || 0 || 0 || 0 || 0 || 0 || 0 ||<#dcdcdc> '''4''' || 9 || 1 || ||<-30> '''{{{#blue 勝 : 키자와 나오후미}}}''' | '''{{{#red 敗 : 닉 터리}}}''' | '''{{{#green S : 스캇 맥거프}}}''' || ---- ||
<-30>
[[일본프로야구|[[파일:NPB 로고.svg|width=50]]]] '''2022.09.30(金) 18:00 | [[마쓰다 줌줌 스타디움 히로시마]]''' || || '''TEAM''' || '''SP'''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엠블럼.svg|width=25]]]]''' || [[야마시타 히카루]] || 0 || 0 || 3 || 0 || 0 || 2 || 0 || 0 || 0 ||<#ffd700> '''5''' || 9 || 0 || || '''[[히로시마 도요 카프|[[파일:히로시마 도요 카프 엠블럼.svg|width=25]]]]''' || [[쿠리 아렌]] || 0 || 0 || 0 || 0 || 0 || 0 || 0 || 0 || 1 ||<#dcdcdc> '''1''' || 6 || 1 || ||<-30> '''{{{#blue 勝 : 야마시타 히카루}}}''' | '''{{{#red 敗 : 쿠리 아렌}}}''' | '''{{{#green S :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히로시마 도요 카프/2022년/9월, 문단=12)] 이로써 히로시마의 3위 가능성은 소멸하고 말았다.[* 사실, [[사사오카 신지]] 감독이 B클래스 확정도 아닌데 투수 기용이나 선발 예고 등에서 시즌 끝난 것 마냥 굴었기 때문에, 카프가 가장 좋은 조건에도 불구하고 무기력하게 패배하고 말았다.] 설령 요미우리가 1승 1패를 하더라도 한신의 승률을 넘지 못하기 때문이다.[* 사실 히로시마는 요미우리에게 12승 13패로 근소 열세이기에 동률이 나온다면 무조건 가을야구 탈락이다.] 그리고 이로 인해 한신은 9부 능선을 넘게 되었다. === 10월 1일 요미우리 vs DeNA === ||
<-30>
[[일본프로야구|[[파일:NPB 로고.svg|width=50]]]] '''2022.10.01(土) 17:00 | [[요코하마 스타디움]]''' || || '''TEAM''' || '''SP'''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요미우리 자이언츠|[[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엠블럼.svg|width=25]]]]''' || [[토고 쇼세이]] || 0 || 0 || 0 || 0 || 0 || 0 || 0 || 0 || 0 ||<#dcdcdc> '''0''' || 3 || 0 ||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파일: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엠블럼.svg|width=25]]]]''' || [[이마나가 쇼타]] || 1 || 0 || 0 || 0 || 0 || 0 || 0 || 0 || 0 ||<#ffd700> '''1''' || 5 || 0 || ||<-30> '''{{{#blue 勝 : 이마나가 쇼타}}}''' | '''{{{#red 敗 : 토고 쇼세이}}}''' | '''{{{#green S : 야마사키 야스아키}}}''' || 선발 토고가 좋지 않은 상태에서도 5이닝을 1실점으로 막고 신인 [[오우타 타이세이]]가 8회말 무사만루를 무실점으로 막아내며 분전했고 9회초 [[야마사키 야스아키]] 상대로 무사 1, 2루라는 절호의 찬스까지 잡았지만 [[추격쥐|끝내 단 한 점이 나오지 않으면서]] 요미우리는 B클래스가 확정되었다. 한신이 내일 패하고, 요미우리가 이기더라도 68승 3무 72패로 동률이지만, [[승자승 원칙|상대전적에서 14승 1무 10패로 한신이 앞서기 때문이다.]] 이로써 한신은 [[어부지리|고시엔에 가만히 앉아서 가을 야구를 확정하고 라이벌 팀이 망하는 기쁨을 누리게 되었다.]] === 10월 2일 경기 === ||
<-30>
[[일본프로야구|[[파일:NPB 로고.svg|width=50]]]] '''2022.10.02(日) 14:00 | [[한신 고시엔 구장]]''' || || '''TEAM''' || '''SP'''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R''' || '''H''' || '''E''' ||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엠블럼.svg|width=25]]]]''' || [[사이 스니드]] || 0 || 0 || 0 || 0 || 0 || 0 || 0 || 0 || 3 || 0 || 0 || 0 ||<#dcdcdc> '''3''' || 11 || 0 || || '''[[한신 타이거스|[[파일:한신 타이거스 엠블럼.svg|width=25]]]]''' || [[니시 준야]] || 0 || 0 || 0 || 0 || 0 || 1 || 0 || 0 || 2 || 0 || 0 || 0 ||<#dcdcdc> '''3''' || 8 || 1 || ||<-30> '''{{{#blue 勝 : -}}}''' | '''{{{#red 敗 : -}}}''' | '''{{{#green S : -}}}''' || 한신은 야쿠르트와 무재배를 함으로써 포스트시즌 진출을 확인사살했다. ---- ||
<-30>
[[일본프로야구|[[파일:NPB 로고.svg|width=50]]]] '''2022.10.02(日) 14:00 | [[요코하마 스타디움]]''' || || '''TEAM''' || '''SP'''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요미우리 자이언츠|[[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엠블럼.svg|width=25]]]]''' || [[스가노 토모유키]] || 1 || 0 || 2 || 0 || 0 || 0 || 0 || 0 || 0 ||<#ffd700> '''3''' || 5 || 1 ||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파일: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엠블럼.svg|width=25]]]]''' || [[하마구치 하루히로]] || 0 || 0 || 0 || 0 || 0 || 0 || 1 || 0 || 1 ||<#dcdcdc> '''2''' || 12 || 0 || ||<-30> '''{{{#blue 勝 : 스가노 토모유키}}}''' | '''{{{#red 敗 : 하마구치 하루히로}}}''' | '''{{{#green S : 오타 타이세이}}}''' || 요미우리가 요코하마를 꺾었지만, 한신이 무를 캠으로써 의미가 없게 되었고, 4위가 되었다. ---- ||
<-30>
[[일본프로야구|[[파일:NPB 로고.svg|width=50]]]] '''2022.10.02(日) 14:00 | [[마쓰다 줌줌 스타디움 히로시마]]''' || || '''TEAM''' || '''SP'''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주니치 드래곤즈|[[파일:주니치 드래곤즈 엠블럼.svg|width=25]]]]''' || [[네오 아키라]] || 0 || 0 || 0 || 0 || 0 || 2 || 0 || 0 || 1 ||<#ffd700> '''3''' || 13 || 0 || || '''[[히로시마 도요 카프|[[파일:히로시마 도요 카프 엠블럼.svg|width=25]]]]''' || [[모리 쇼헤이]] || 0 || 0 || 0 || 0 || 0 || 0 || 0 || 0 || 0 ||<#dcdcdc> '''0''' || 3 || 0 || ||<-30> '''{{{#blue 勝 : 야나기 유야}}}''' | '''{{{#red 敗 : 모리우라 다이스케}}}''' | '''{{{#green S : 라이델 마르티네스}}}''' || 히로시마는 주니치에게도 졌고 결국 5위가 되었다. == 총평 == 시즌 막판까지 향방을 알 수 없었던 3위 싸움이었지만 예상과는 조금 다르게 한신이 잘 버텨내고 경쟁자들이 스스로 무너지면서 다소 싱겁게 진출팀이 결정되었다. * [[한신 타이거즈]](3위, CS 진출) : 극적으로 CS 진출을 달성한 한신은 잔여경기 소화에 들어간 야쿠르트를 상대로 2승을 거두며 한숨을 돌리긴 했으나 그럼에도 최종전을 반드시 이기고 다른 팀들의 결과를 지켜봐야 하는 불안한 상황에 놓여 있었다. 하지만 경쟁자들이 스스로 무너져 내린 덕분에 최종전을 빡세게 준비할 필요도 없이 요코하마로 가는 티켓을 끊게 되었다. 참고로 작년엔 주니치가 자신들에게 고춧가루를 뿌려서 야쿠르트와 승차없이 2위로 우승에 실패했는데, 이번엔 주니치가 요미우리에게 고춧가루를 뿌림으로써 수혜자가 되었다. 그리고 한신은 요코하마를 상대로 업셋을 했으나, 야쿠르트에게 부전패 포함 스윕패를 당함으로써 아쉽게 일본시리즈에 진출하지 못했다. * [[요미우리 자이언츠]](4위, 탈락) : 요미우리는 2경기를 모두 이겨도 한신의 최종전 결과에 명운을 맡겨야 하는 상황이었지만[* 위에서 언급하듯이 요미우리의 대 한신 전적이 열세였기 때문이다. 즉 요미우리가 2승하고, 한신이 1승 혹은 요미우리가 1승 1무, 한신이 1무하면 요미우리가 열세였단 뜻이다.] 2연전 첫 경기부터 패하며 허망하게 탈락. 마지막 희망이라도 가져 볼 겨를도 없이 2022시즌을 B클래스로 마치게 되었다. 2연전 1경기에서 투수들은 단 1점만 내주며 분전했으나 자랑이던 타선이 요코하마 투수진에 철저하게 틀어막히며 영봉패의 수모를 당했다. 요미우리는 이로써 2017시즌 이래 5시즌 만에 B클래스를 한번 더 찍는 굴욕을 맛보았다. 공교롭게도 그때의 순위도 4위였다. * [[히로시마 도요 카프]](5위, 탈락) : 3자 동률만 만들어도[* 히로시마가 2승 1패, 요미우리아 1승 1패, 한신이 1패를 하면 68승 3무 72패 3자 동률이 나왔다.] 진출을 결정짓는 유리한 입장이었고[* 3자 동률일 경우 상대전적을 따져봐야 한다. 먼저 한신은 요미우리에게 14승 1무 10패로 우세지만 히로시마에게 9승 2무 14패로 열세고 히로시마는 요미우리에게 12승 13패로 근소 열세이다. 즉 상대전적 종합 승패마진을 합산해보면 히로시마가 +4, 한신이 -1, 요미우리가 -3이 되므로 상대전적 종합 우세인 히로시마가 3위가 된다.], 경기 일정 상으로도 가능성이 꽤 높은 팀이었지만 [[사사오카 신지]] 감독을 비롯한 지도부의 엉성한 경기 운영과 선수 기용으로 인해 반드시 이겨야 할 경기들을 놓치고 말았고 그것이 결국 패착이 되어 가장 먼저 경쟁에서 탈락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4년 연속으로 B클래스가 확정되었다. 이 경기가 결국 사사오카 체제가 막을 내리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고 이후 얼마 안 가 사임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한신 타이거스)] [include(틀:요미우리 자이언츠)] [include(틀:히로시마 도요 카프)] == 관련 문서 == * [[KBO 리그/2022년/10월/10~11일]] * [[어부지리]] * [[10.2 결전]] [[분류:일본프로야구/개별 문서가 있는 경기]][[분류:한신 타이거스]][[분류:요미우리 자이언츠]][[분류:히로시마 도요 카프/202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