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G20)] [include(틀:역대 G20 정상회의)] ||
<-3>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right, #EE1931, #f1465a, #f68c98, #EE1931);" {{{#white {{{+1 '''2022 G20 발리 정상회의 '''}}}[br]{{{-1 '''2022 G20 Bali summit'''}}}}}}}}}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20_2022_logo.svg.png|width=100%]]}}}|| ||<-3><:> || || {{{#white '''일시'''}}} ||<-2>[[2022년]] [[11월 15일]] ~ [[11월 16일]] || || {{{#white '''장소'''}}} ||<-2>[[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8%]] [[인도네시아]] [[발리]] || || {{{#white '''주최'''}}} ||<-2>[[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8%]] [[인도네시아]] || ||<|30> {{{#white '''참석자'''}}} ||<-2>[[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8%]] [[인도네시아|인도네시아 대통령]] '''[[조코 위도도]]'''|| ||<-2>[[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8%]] [[대한민국 대통령]] '''[[윤석열]]'''|| ||<-2>[[파일:미국 국기.svg|width=8%]] [[미국 대통령]] '''[[조 바이든]]'''|| ||<-2>[[파일:중국 국기.svg|width=8%]] [[중국 주석]] '''[[시진핑]]'''|| ||<-2>[[파일:일본 국기.svg|width=8%]] [[일본 총리]] '''[[기시다 후미오]]'''|| ||<-2>[[파일:독일 국기.svg|width=8%]] [[독일 총리]] '''[[올라프 숄츠]]'''|| ||<-2>[[파일:영국 국기.svg|width=8%]] [[영국 총리]] '''[[리시 수낙]]'''|| ||<-2>[[파일:인도 국기.svg|width=8%]] [[인도 총리]] '''[[나렌드라 모디]]''' || ||<-2>[[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8%]] [[프랑스 대통령]] '''[[에마뉘엘 마크롱]]'''|| ||<-2>[[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8%]] [[캐나다 총리]] '''[[쥐스탱 트뤼도]]'''|| ||<-2>[[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8%]] [[러시아]] 외무부 장관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을 대신하여 참석했다.[[https://www.yahoo.com/news/putin-skipping-g20-221724613.html|#]]]|| ||<-2>[[파일:호주 국기.svg|width=8%]] [[호주 총리]] '''[[앤서니 앨버니지]]'''|| ||<-2>[[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8%]] [[브라질]] 외부무 장관 '''[[브라질|카를루스 알베르투 프랑사]]'''[* [[자이르 보우소나루]] 대통령 대신 참석하였다. 회담 한 달 전이 [[2022년 브라질 대통령 선거]]였다.]|| ||<-2>[[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8%]] [[멕시코]] 외무부 장관 '''[[멕시코|마르셀로 에브라르드]]'''[* [[안드레스 마누엘 로페스 오브라도르|안드레스 오브라도르]] 대통령은 매년 외무부 장관을 본인 대신 참석시키고 있다.]|| ||<-2>[[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8%]]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 '''[[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우드]]'''[* [[사우디아라비아 국왕]]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살만 빈 알사우드]]'''(86세)를 대신해 참가했다. 살만 빈 알사우드 국왕은 [[2020년]] 사우디에서 개최했던 G20 정상회의만 참석하고 이외의 모든 G20에는 빈 살만 왕세자를 대신 참석시키고 있다.]|| ||<-2>[[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8%]] [[튀르키예 대통령]]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레제프 에르도안]]'''|| ||<-2>[[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8%]] [[아르헨티나 대통령]] '''[[알베르토 페르난데스]]'''|| ||<-2>[[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8%]] [[남아공|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 '''[[시릴 라마포사]]'''|| ||<-2>[[파일:유럽 연합 깃발.svg|width=8%]] [[유럽연합|유럽이사회 의장]] '''[[샤를 미셸]]'''|| ||<-2>[[파일:유럽 연합 깃발.svg|width=8%]] [[유럽연합|유럽위원회 위원장]]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2>[[파일:캄보디아 국기.svg|width=8%]] [[훈 센|캄보디아 수상]] '''[[훈 센]]''' {{{-2 (초청)}}}[* 코로나19 감염으로 귀국하여 회담에 불참했다.]|| ||<-2>[[파일:피지 국기.svg|width=8%]] [[피지 공화국|피지 특사]] '''[[피지|이노케 쿠부아볼라]]''' {{{-2 (초청)}}}[* 전 장관으로, 프랭크 바이니마라마 총리 대신 참석하였다. 회담 한 달 후가 총선이었다.]|| ||<-2>[[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8%]] [[마르크 뤼터|네덜란드 총리]] '''[[마르크 뤼터]]''' {{{-2 (초청)}}}|| ||<-2>[[파일:싱가포르 국기.svg|width=8%]] [[리셴룽|싱가포르 총리]] '''[[리셴룽]]''' {{{-2 (초청)}}}|| ||<-2>[[파일:르완다 국기.svg|width=8%]] [[폴 카가메|르완다 대통령]] '''[[폴 카가메]]''' {{{-2 (초청)}}}|| ||<-2>[[파일:세네갈 국기.svg|width=8%]] [[대통령|세네갈 대통령]] '''[[세네갈|마키 살]]''' {{{-2 (초청)}}}|| ||<-2>[[파일:수리남 국기.svg|width=8%]] [[대통령|수리남 대통령]] '''[[수리남|찬 산토키]]''' {{{-2 (초청)}}}|| ||<-2>[[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8%]] [[우크라이나 대통령]]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2 (초청)}}}[* 화상으로 참여]|| ||<-2>[[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8%]] [[아랍에미리트|아랍에미리트연합국 대통령]]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나얀]]''' {{{-2 (초청)}}}|| ||<-2>[[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8%]] [[스페인 총리]] '''[[페드로 산체스]]''' {{{-2 (초청)}}}|| || {{{#white '''결과'''}}} ||<-2> - || || {{{#white '''외부링크'''}}} ||<-2>[[https://www.g20.org/|[[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https://twitter.com/g20org?t=5VdRuJzCoCBcL26ePmWVJQ&s=09|[[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0&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20&theme=dark]]]] | [[https://instagram.com/g20org?utm_medium=copy_link|[[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https://youtube.com/c/G20Ital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m.facebook.com/g20org|[[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2년 11월 15일부터 11월 16일까지 진행될 [[G20]] 정상회의다.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다. == 의제 ==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2022년]] G20 정상회의의 의제는 '''사실상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하나'''다. 이 때문에 인도네시아 조코 위도도 대통령은 G20 초청국으로 [[우크라이나]]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섭외해 왔다. 자연히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G20 정상회의에 불참했다. == 참가자 == == 준비 == == 회담 과정 == == 윤석열 대통령 일정 == == 기타 == 2022년 11월 9일 대통령실은 [[MBC 취재진 대통령 전용기 탑승 불허 논란|MBC의 대통령실 출입기자에게 "이번 순방에 MBC 기자들의 대통령전용기 탑승을 허용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통보했다]]. [[대통령실]]의 이같은 조치는 과거 방송이 불러온 파장과 이에 따른 불편한 관계를 고스란히 드러냈다는 평가가 나온다. 앞선 지난 9월 미국 순방에서 윤 대통령이 '글로벌펀드 제7차 재정공약회의' 행사장에서 한 "[[윤석열 미국 순방 중 욕설 논란|국회에서 이ㅇㅇ들이 승인 안 해주면 ㅇㅇㅇ 쪽팔려서 어떡하나"라는 발언을 MBC가 먼저 앞에 부분은 '이XX'로, 뒤에 부분은 '바이든'으로 자막을 달아 보도한 것]]이 왜곡 보도이며, [[윤석열 욕설 해명 논란|바이든이 아니라 날리면]]이라며 대통령실이 정정보도를 요청했으나, MBC 측은 이를 거부한 바 있다. 그러자 [[윤석열 욕설 파동 이후 언론탄압 논란]]과 [[국민의힘 MBC 고발 사건]]이 일어났는데, 이 사건의 연장선상에서 [[MBC 취재진 대통령 전용기 탑승 불허 논란]]이 터진 것. 이에 MBC는 별도 입장을 내고 "언론 취재를 명백히 제약하는 행위"라고 반발했다. MBC는 전용기 동행 취재를 실제로 불허할 경우 별도 여객기 티켓을 확보해 윤 대통령의 동남아 순방 일정[* 이 순방은 아세안 국가들과의 정상회담과 2022 정상회의 참석을 위한 것이다.]을 취재할 방침이었으며, 실제로 아시아나항공을 이용하여 캄보디아로 출국했다. 또한 [[윤석열 정부 정상회담 취재제한 논란|순방 중에 있었던 정상회담을 공동취재단에 공개하지 않았고]], 발리에 도착하기 전에 [[윤석열 특정 기자 대통령 전용기 면담 논란|대통령이 출입기자 2명만 따로 만나서]] 논란이 일었다. [[분류:G20]][[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