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소행성]][[분류:2022년/사건사고]][[분류:노르웨이의 사건 사고]][[분류:아이슬란드의 사건 사고]][[분류:덴마크의 사건 사고]] ||<:><-2> '''{{{#white 2022 EB,,5,,}}}'''|| || '''관측사진''' || [[파일:ds9_10.png|width=205]] || ||<:> '''구분'''||[[아폴로(소행성)|아폴로]] 소행성군 · [[근지구천체]] || ||<:> '''크기'''||2~3m|| ||<:> '''궤도 장반경'''||2.830 천문단위(AU)|| ||<:> '''원일점'''||4.772 천문단위(AU)|| ||<:> '''근일점'''||0.888 천문단위(AU)|| ||<:> '''궤도경사각'''||10.422°|| ||<:> '''이심률'''||0.68634|| ||<:> '''승교점 경도'''||350.992°|| ||<:> '''근점 편각'''||222.416°|| ||<:> '''평균 근점 이각'''||353.615°|| ||<:> '''공전주기'''||1738.68일(4.76년)|| ||<:> '''절대 등급'''||31.59|| ||
[[파일:2022eb5.png|width=100%]] || || '''{{{#white 충돌 이전 2022 EB,,5,,의 궤도}}}''' || [목차] == 개요 == {{{+1 2022 EB,,5,, / Sar2593[* 정식으로 명명되기 이전 임시로 붙여졌던 이름이다.]}}} [[2022년]] [[3월 11일]] 21시 22분 UTC에 지구의 대기와 충돌한 아폴로 소행성군 [[근지구천체]]로 그 크기는 2~3m였다. == 발견과 대응 == 2022 EB,,5,,는 지구와 충돌하기 약 2시간 전인 3월 11일 19시 24분 UTC에 [[헝가리]] [[부다페스트]]에 위치한 피스케슈테퇴이 천문대(Piszkéstetői Obszervatórium)에서 천문학자 크리스티안 샤르네츠키의 관측 도중 발견되었다. 이는 지구에 충돌하기 이전에 발견되어 충돌을 예측한 소행성으로는 5번째인 것이다.[* 2022 EB,,5,, 이전에 발견되어 지구에 충돌한 다른 소행성으로는 2008 TC3, [[2014 AA]], 2018 LA, 2019 MO가 있다.] 피스케슈테퇴이 천문대는 [[국제천문연맹]](IAU) 소행성센터(MPC)에 관측 사실을 곧바로 통보하였고, MPC는 이를 지구근접천체 추가 관측 목록에 등재하였다. MPC 목록과 연계돼 있는 NASA의 '스카우트'(Scout)가 긴급하게 궤도를 계산한 결과 지구와의 충돌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밝혀졌고, 수 차례의 추가 관측을 통해 구체적인 충돌 지점은 [[노르웨이]]령의 화산섬인 얀마옌(Jan Mayen)섬으로 특정되었다.[[https://www.yna.co.kr/view/AKR20220316065500009?input=1195m|#]] 그러나 명백한 충돌 가능성에도 지구위협천체(PHO)의 목록에는 등재되지 못했는데, PHO에 들기 위해서는 절대등급이 +22보다 밝아야 하기 때문이다. [* 크기가 2~3m에 불과한 2022 EB,,5,,는 그만큼 절대등급도 어두워 해당 조건에 만족하지 못한다.] == 지구와의 충돌 == 처음 발견된 시각으로부터 불과 2시간 후인 3월 11일 21시 22분 UTC에 2022 EB,,5,,는 당초 예측과 거의 같은 위치인 얀마옌섬 남서쪽 공해상에 추락하였고, 인근에 있는 [[아이슬란드]]와 [[그린란드]], [[노르웨이]] 등에서 감지 가능할 정도의 저주파를 내며 공중 폭발하였다. 폭발로 인해 발생한 푸른 섬광은 약 2초에 걸쳐 밝게 빛났으며, [[아이슬란드]]에서는 이를 관측했단 증언이 속출했다. 2022 EB,,5,,의 충돌 에너지는 약 2~3 킬로톤의 [[TNT]]에 상당하는 것으로 추측되었으며, 대기 진입 속도는 18km/s로 추정되었다.[[https://www.imo.net/2022-eb5-5th-predicted-earth-impactor-asteroid-on-march-11/|#]] == 의의 == [[NASA]]의 소행성 위협 평가 시스템인 스카우트가 소행성의 충돌 위치를 거의 정확하게 예측하였다는 점에서 고무적이라고 할 수 있다. NASA는 2022 EB,,5,,의 작은 크기에도 불구하고 스카우트 시스템의 신뢰도를 확인하는 데에 도움이 됐다고 밝혔다.[[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203160090&t=NN|#]] 다만 일단 소행성을 관측해서 그 존재를 확인해야 궤도를 계산할 수 있으므로 지구접근천체에 대한 면밀한 감시도 꼭 필요할 것이다. == 관련 문서 == * [[지구접근천체]] * [[소행성]] * [[2014 A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