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2022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그룹 스테이지)] [Include(틀:2022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 경기 일정)] [목차] == 개요 == == 리그별 진출팀 == === LCK(한국): 2/4 === 애초에 조 편성부터 한 팀 탈락이 거의 예정되어 있었던 A조는 그렇다 치더라도, B조의 챌린저스 우승팀 [[농심 레드포스 챌린저스|농심]]의 탈락은 다소 뼈아프다. LDL에 비해 밀리는 모습이 많이 보이기도 했다. 그래도 모든 팀이 5할 이상의 승률을 기록하며 분전했고, 특히 성적으로는 전혀 기대하지 않았던 스트리머 팀이 반전의 경기력으로 조 1위까지 달성하면서 화제가 되었다. === LPL(중국): 4/4 === 우승팀 [[FPX/리그 오브 레전드#s-6|FunPlus Blaze]], 그리고 2시드 [[Edward Gaming HYCAN#s-6|EDG.Y]]에 이어서 독립 게임단인 [[MAX(프로게임단)|MAX]], 그리고 마지막으로 후야 스트리머 연합팀까지 가뿐하게 4팀이 다 올라갔다. 고무적인 부분은 CL 우승자 농심이 속해있던 조였는데, MAX가 농심에게 1패를 하긴 했지만 EDG.Y를 잡아내면서 농심을 탈락시킨 점. 펀블이 [[DWG KIA Challengers|DK]]에게 1패를 당하고, MAX가 농심에게 1패를 당하기는 했지만, 전체적으로 상당히 좋은 경기력을 보여주면서 8강에 가볍게 4팀이 올라갔다. 각각 펀블은 TF, EDG.Y는 후야, MAX는 BYG.A를 상대한다. EDG.Y는 후야를 상대하게 되며 LPL 내에서 내전을 치르게 됐지만, 다 이긴다는 전제 하에 최대 3팀을 올려보낼 수 있기에, 전망은 매우 밝다. === LJL(일본): 0/4 === 비참하게도 이번 녹아웃 토너먼트에서는 '''단 하나의 일본 팀도 진출하지 못했다.''' 그것도 모든 팀이 전패 꼴찌로 탈락했다. 심지어는 한국, 중국 스트리머들에게도 처참한 기량 차이를 보이며 전패를 박았다. LJL 리그의 수준 자체가 동아시아에서 독보적 약체 수준이라는 것만 또 한번 확인된 안타까운 결과다. 다 뼈아프고 안타까운 경기력이었지만 특히 농심에게 12분 54초라는 엄청난 격차로 대파당한 CGA의 경기가 굉장히 뼈아팠다. 단적으로, 4장이라는 시드를 수여받은 점이 이해가지 않는 처참한 경기력이었다. 거기에, SG는 유토리모야시, DFM은 마리모가 아카데미 선수들 중 자국 내에서 1군 경력이 좀 쌓인 선수들임에도 불구하고, 이런 모습이었다는 점에서 매우 처참한 결과였다. === PCS(태평양 연안): 1/2 === J Team의 2군 팀, 그리고 비욘드 게이밍의 2군 팀이 출전했고, JII는 탈락했지만 비욘드 게이밍이 올라갔다. 특히 비욘드 게이밍 2군의 미드 라이너인 1116의 경기력이 굉장히 인상적이었는데, 이 선수는 사실 월즈에도 출전한 바 있는 마오안이다. 본인이 저지른 사고 이후로 기회를 한번 더 부여받았고, 마오안이라는 닉네임에서 1116이라는 본인 생일로 닉네임을 변경했다. 후야 스트리머와의 경기에서도 더 좋은 경기력을 보인 마오안과 BYG.A였지만 이제 만날 팀은 중국의 MAX인데, 과연 MAX를 상대로 좋은 경기력을 보일 수 있을까가 관건. === VCS(베트남): 1/2 === MGN Box Esports는 2승 4패를 하며 그룹 스테이지에서 탈락했고, Team Flash는 D조에서 4승 2패로 녹아웃 스테이지에 진출했다. == 대진 편성 == == 경기 진행 == === 1경기 [[FPX/리그 오브 레전드#s-6|FPB]] vs [[Team Flash|TF]] === ||<-12><:> [[2022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파일:asci 2022 logo_white_notext.svg|width=25]]]] '''{{{#white 8강 1경기}}}''' || ||<-5> [[FPX/리그 오브 레전드#s-6|{{{#fa0f00 '''FunPlus Blaze''' }}}]] ||<|2> '''3''' ||<|2> 1 ||<-5> [[Team Flash|{{{#000 '''Team Flash'''}}}]] || || ○ || × || ○ || ○ || || × || ○ || × || × || || ||<-5> '''4강 진출''' ||<-2> '''{{{#white 결과}}}''' ||<-5> 탈락 || ==== 경기 내용 ==== ===== 1세트 ===== ||<-4> [[2022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파일:asci 2022 logo_white_notext.svg|width=25]]]] '''{{{#white FPB vs TF 1세트[br](2022. 09. 16.)}}}''' || || '''WIN''' ||<-2> 35:41 || LOSS || || 19/14/44 ||<|2> '''FPB''' ||<|2> '''TF''' || 14/19/34 || || 69.6k || 58.8k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FunPlus Blaze, redteam=Team Flash , d_blueban1=유미, d_blueban2=레넥톤, d_blueban3=사일러스, d_blueban4=아트록스, d_blueban5=브라움 , p_blueban1=yuumi, p_blueban2=renekton, p_blueban3=sylas, p_blueban4=aatrox, p_blueban5=braum , d_redban1=아지르, d_redban2=탈리야, d_redban3=드레이븐, d_redban4=레나타 글라스크, d_redban5=아무무 , p_redban1=azir, p_redban2=taliyah, p_redban3=draven, p_redban4=renataGlasc, p_redban5=amumu , d_bluepic1=나르, d_bluepic2=뽀삐, d_bluepic3=코르키, d_bluepic4=칼리스타, d_bluepic5=세트 , p_bluepic1=gnar, p_bluepic2=poppy, p_bluepic3=corki, p_bluepic4=kalista, p_bluepic5=sett , d_redpic1=그웬, d_redpic2=오공, d_redpic3=아리, d_redpic4=아펠리오스, d_redpic5=노틸러스 , p_redpic1=gwen, p_redpic2=wukong, p_redpic3=ahri, p_redpic4=aphelios, p_redpic5=nautilus)]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인게임 용 , dragon1=Cloud, dragon2=Infernal, dragon3=Ocean, dragonsoul=Ocean)] ===== 2세트 ===== ||<-4>
[[2022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파일:asci 2022 logo_white_notext.svg|width=25]]]]] '''{{{#white FPB vs TF 2세트[br](2022. 09. 16.)}}}''' || || '''WIN''' ||<-2> 33:14 || LOSE || || 25/11/69 ||<|2> '''TF''' ||<|2> '''FPB''' || 11/25/18 || || 68.7k || 58.8k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Team Flash, redteam=FunPlus Blaze , d_blueban1=아지르, d_blueban2=탈리야, d_blueban3=드레이븐, d_blueban4=라칸, d_blueban5=브라움 , p_blueban1=azir, p_blueban2=taliyah, p_blueban3=draven, p_blueban4=rakan, p_blueban5=braum , d_redban1=유미, d_redban2=사일러스, d_redban3=칼리스타, d_redban4=리산드라, d_redban5=알리스타 , p_redban1=yuumi, p_redban2=sylas, p_redban3=kalista, p_redban4=lissandra, p_redban5=alistar , d_bluepic1=아트록스, d_bluepic2=오공, d_bluepic3=라이즈, d_bluepic4=제리, d_bluepic5=룰루 , p_bluepic1=aatrox, p_bluepic2=wukong, p_bluepic3=ryze, p_bluepic4=zeri, p_bluepic5=lulu , d_redpic1=나르, d_redpic2=바이, d_redpic3=아리, d_redpic4=시비르, d_redpic5=노틸러스 , p_redpic1=gnar, p_redpic2=vi, p_redpic3=ahri, p_redpic4=sivir, p_redpic5=nautilus)]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인게임 용 , dragon1=Ocean, dragon2=Hextech, dragon3=Cloud, dragonsoul=Cloud)] ===== 3세트 ===== ||<-4>
[[2022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파일:asci 2022 logo_white_notext.svg|width=25]]]] '''{{{#white FPB vs TF 3세트[br](2022. 09. 16.)}}}''' || || '''WIN''' ||<-2> 29:59 || LOSS || || 15/8/35 ||<|2> '''FPB''' ||<|2> '''TF''' || 8/15/20 || || 58.9k || 48.5k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FunPlus Blaze, redteam=Team Flash , d_blueban1=사일러스, d_blueban2=오공, d_blueban3=시비르, d_blueban4=레넥톤, d_blueban5=아트록스 , p_blueban1=sylas, p_blueban2=wukong, p_blueban3=sivir, p_blueban4=renekton, p_blueban5=aatrox , d_redban1=아지르, d_redban2=탈리야, d_redban3=제리, d_redban4=레나타 글라스크, d_redban5=애쉬 , p_redban1=azir, p_redban2=taliyah, p_redban3=zeri, p_redban4=renataGlasc, p_redban5=ashe , d_bluepic1=나르, d_bluepic2=뽀삐, d_bluepic3=아리, d_bluepic4=칼리스타, d_bluepic5=라칸 , p_bluepic1=gnar, p_bluepic2=poppy, p_bluepic3=ahri, p_bluepic4=kalista, p_bluepic5=rakan , d_redpic1=그웬, d_redpic2=트런들, d_redpic3=리산드라, d_redpic4=아펠리오스, d_redpic5=브라움 , p_redpic1=gwen, p_redpic2=trundle, p_redpic3=lissandra, p_redpic4=aphelios, p_redpic5=braum)]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인게임 용 , dragon1=Cloud, dragon2=Ocean, dragon3=Infernal, dragonsoul=)] ===== 4세트 ===== ||<-4>
[[2022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파일:asci 2022 logo_white_notext.svg|width=25]]]] '''{{{#white FPB vs TF 4세트[br](2022. 09. 16.)}}}''' || || LOSS ||<-2> 27:35 || '''WIN''' || || 3/13/7 ||<|2> '''TF''' ||<|2> '''FPB''' || 13/3/27 || || 40.9k || 53.3k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Team Flash, redteam=FunPlus Blaze , d_blueban1=아지르, d_blueban2=드레이븐, d_blueban3=탈리야, d_blueban4=아트록스, d_blueban5=레오나 , p_blueban1=azir, p_blueban2=draven, p_blueban3=taliyah, p_blueban4=aatrox, p_blueban5=leona , d_redban1=사일러스, d_redban2=오공, d_redban3=칼리스타, d_redban4=트런들, d_redban5=그라가스 , p_redban1=sylas, p_redban2=wukong, p_redban3=kalista, p_redban4=trundle, p_redban5=gragas , d_bluepic1=카밀, d_bluepic2=세주아니, d_bluepic3=아리, d_bluepic4=제리, d_bluepic5=룰루 , p_bluepic1=camille, p_bluepic2=sejuani, p_bluepic3=ahri, p_bluepic4=zeri, p_bluepic5=lulu , d_redpic1=잭스, d_redpic2=뽀삐, d_redpic3=조이, d_redpic4=시비르, d_redpic5=카르마 , p_redpic1=jax, p_redpic2=poppy, p_redpic3=zoe, p_redpic4=sivir, p_redpic5=karma)]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인게임 용 , dragon1=Hextech, dragon2=Cloud, dragon3=Infernal, dragonsoul=)] ===== 1경기 총평 ===== FPB가 2세트에서 TF에게 한 세트를 내줬지만 그 다음은 3, 4세트는 언제 그랬냐는 듯이 무난하게 승리하면서 4강에 진출하게 되었다. 특히 미드라이너인 Qing이 '''3, 4세트 연속''' 상대를 '''압도'''해버리면서 메이저와 마이너 사이에 가장 '''격차가 큰 포지션'''은 역시 미드 라인임을 확인시켜주었다. === 2경기 [[Edward Gaming HYCAN#s-6|EDG.Y]] vs HY === ||<-12><:> [[2022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파일:asci 2022 logo_white_notext.svg|width=25]]]] '''{{{#white 8강 2경기}}}''' || ||<-5> [[Edward Gaming HYCAN#s-6|{{{#eeeeec '''EDG YOUTH TEAM''' }}}]] ||<|2> '''3''' ||<|2> 1 ||<-5> {{{#000 '''Huya Streamer'''}}} || || ○ || × || ○ || ○ || || × || ○ || × || × || || ||<-5> '''4강 진출''' ||<-2> '''{{{#white 결과}}}''' ||<-5> 탈락 || ==== 경기 내용 ==== ===== 1세트 ===== ||<-4>
[[2022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파일:asci 2022 logo_white_notext.svg|width=25]]]] '''{{{#white EDG.Y vs HY 1세트[br](2022. 09. 17.)}}}''' || || '''WIN''' ||<-2> 35:06 || LOSS || || 34/19/95 ||<|2> '''EDG.Y''' ||<|2> '''HY''' || 19/34/47 || || 73.8k || 67.8k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EDG YOUTH TEAM, redteam=Huya Streamer , d_blueban1=키아나, d_blueban2=니달리, d_blueban3=렐, d_blueban4=트런들, d_blueban5=리 신 , p_blueban1=qiyana, p_blueban2=nidalee, p_blueban3=rell, p_blueban4=trundle, p_blueban5=leeSin , d_redban1=레넥톤, d_redban2=루시안, d_redban3=뽀삐, d_redban4=르블랑, d_redban5=탈리야 , p_redban1=renekton, p_redban2=lucian, p_redban3=poppy, p_redban4=leblanc, p_redban5=taliyah , d_bluepic1=아트록스, d_bluepic2=오공, d_bluepic3=아지르, d_bluepic4=칼리스타, d_bluepic5=레나타 글라스크 , p_bluepic1=aatrox, p_bluepic2=wukong, p_bluepic3=azir, p_bluepic4=kalista, p_bluepic5=renataGlasc , d_redpic1=그웬, d_redpic2=우르곳, d_redpic3=사일러스, d_redpic4=드레이븐, d_redpic5=알리스타 , p_redpic1=gwen, p_redpic2=urgot, p_redpic3=sylas, p_redpic4=draven, p_redpic5=alistar)]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인게임 용 , dragon1=Hextech, dragon2=Mountain, dragon3=Infernal, dragonsoul=)] HY가 또 '''정글 우르곳'''이라는 강수를 두었고, EDG.Y는 솔로킬의 '''전승 카드'''였던 아트록스를 꺼낸다. 하지만 솔로킬의 아트록스가 거의 '''1 v 5 펜타킬'''을 하는등 어마어마한 화력을 뽐내면서 1세트는 EDG.Y의 승리로 돌아가게 되었다. ===== 2세트 ===== ||<-4>
[[2022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파일:asci 2022 logo_white_notext.svg|width=25]]]] '''{{{#white EDG.Y vs HY 2세트[br](2022. 09. 17.)}}}''' || || LOSS ||<-2> 25:53 || '''WIN''' || || 8/28/12 ||<|2> '''EDG.Y''' ||<|2> '''HY''' || 28/8/64 || || 42.8k || 58.0k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EDG YOUTH TEAM, redteam=Huya Streamer , d_blueban1=키아나, d_blueban2=니달리, d_blueban3=렐, d_blueban4=레나타 글라스크, d_blueban5=레넥톤 , p_blueban1=qiyana, p_blueban2=nidalee, p_blueban3=rell, p_blueban4=renataGlasc, p_blueban5=renekton , d_redban1=루시안, d_redban2=뽀삐, d_redban3=오공, d_redban4=노틸러스, d_redban5=레오나 , p_redban1=lucian, p_redban2=poppy, p_redban3=wukong, p_redban4=nautilus, p_redban5=leona , d_bluepic1=아트록스, d_bluepic2=트런들, d_bluepic3=사일러스, d_bluepic4=드레이븐, d_bluepic5=아무무 , p_bluepic1=aatrox, p_bluepic2=trundle, p_bluepic3=sylas, p_bluepic4=draven, p_bluepic5=amumu , d_redpic1=피오라, d_redpic2=탈리야, d_redpic3=탈론, d_redpic4=칼리스타, d_redpic5=라칸 , p_redpic1=fiora, p_redpic2=taliyah, p_redpic3=talon, p_redpic4=kalista, p_redpic5=rakan)]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인게임 용 , dragon1=Ocean, dragon2=Infernal, dragon3=Cloud, dragonsoul=)] HY가 거의 '''1만 6천 골드'''의 격차로 게임을 끝내버리면서 스트리머 팀도 이정도는 한다! 라는걸 보여준 경기였다. ===== 3세트 ===== ||<-4>
[[2022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파일:asci 2022 logo_white_notext.svg|width=25]]]] '''{{{#white EDG.Y vs HY 3세트[br](2022. 09. 17.)}}}''' || || '''WIN''' ||<-2> 23:08 || LOSS || || 28/7/52 ||<|2> '''EDG.Y''' ||<|2> '''HY''' || 7/28/13 || || 53.6k || 40.2k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EDG YOUTH TEAM, redteam=Huya Streamer , d_blueban1=키아나, d_blueban2=니달리, d_blueban3=드레이븐, d_blueban4=사미라, d_blueban5=트리스타나 , p_blueban1=qiyana, p_blueban2=nidalee, p_blueban3=draven, p_blueban4=samira, p_blueban5=tristana , d_redban1=루시안, d_redban2=오공, d_redban3=칼리스타, d_redban4=리산드라, d_redban5=르블랑 , p_redban1=lucian, p_redban2=wukong, p_redban3=kalista, p_redban4=lissandra, p_redban5=leblanc , d_bluepic1=레넥톤, d_bluepic2=그레이브즈, d_bluepic3=아리, d_bluepic4=제리, d_bluepic5=유미 , p_bluepic1=renekton, p_bluepic2=graves, p_bluepic3=ahri, p_bluepic4=zeri, p_bluepic5=yuumi , d_redpic1=그웬, d_redpic2=탈리야, d_redpic3=탈론, d_redpic4=닐라, d_redpic5=렐 , p_redpic1=gwen, p_redpic2=taliyah, p_redpic3=talon, p_redpic4=nilah, p_redpic5=rell)]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인게임 용 , dragon1=Mountain, dragon2=Infernal, dragon3=Hextech, dragonsoul=)] EDG.Y가 이번에도 블루 진영을 가져간다. 초반 '''1분 10초경'''에 Beifeng의 탈론에게 1데스를 하며 불안불안 할 것 같았던 Leave의 제리가 라인전에서 2킬을 먹더니 후반가서는 그냥 겜을 터뜨리고 다니다가 결국 거의 '''제리 원맨쇼'''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로 '''압도적인 화력'''을 뽐내면서 EDG.Y가 승리를 가져갔다. ===== 4세트 ===== ||<-4>
[[2022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파일:asci 2022 logo_white_notext.svg|width=25]]]] '''{{{#white EDG.Y vs HY 4세트[br](2022. 09. 17.)}}}''' || || '''WIN''' ||<-2> 26:39 || LOSS || || K/D/A ||<|2> '''EDG.Y''' ||<|2> '''HY''' || K/D/A || || 55.4k || 42.6k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EDG YOUTH TEAM, redteam=Huya Streamer , d_blueban1=키아나, d_blueban2=니달리, d_blueban3=드레이븐, d_blueban4=피오라, d_blueban5=그웬 , p_blueban1=qiyana, p_blueban2=nidalee, p_blueban3=draven, p_blueban4=fiora, p_blueban5=gwen , d_redban1=루시안, d_redban2=뽀삐, d_redban3=칼리스타, d_redban4=르블랑, d_redban5=아지르 , p_redban1=lucian, p_redban2=poppy, p_redban3=kalista, p_redban4=leblanc, p_redban5=azir , d_bluepic1=아트록스, d_bluepic2=오공, d_bluepic3=아칼리, d_bluepic4=제리, d_bluepic5=유미 , p_bluepic1=aatrox, p_bluepic2=wukong, p_bluepic3=akali, p_bluepic4=zeri, p_bluepic5=yuumi , d_redpic1=이렐리아, d_redpic2=리신, d_redpic3=사일러스, d_redpic4=시비르, d_redpic5=노틸러스 , p_redpic1=irelia, p_redpic2=leeSin, p_redpic3=sylas, p_redpic4=sivir, p_redpic5=nautilus)]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인게임 용 , dragon1=Infernal, dragon2=Cloud, dragon3=Ocean, dragonsoul=)] EDG.Y가 '''전세트 모두''' 블루 진영을 가져간다. 13분경, Beifeng의 핑 이슈로 퍼즈가 걸렸다. ===== 2경기 총평 ===== Huya Streamer가 2세트를 따내면서 분전하는가 했지만 역시나 '''프로'''와 '''아마추어'''는 다르다는것을 보여주듯이 EDG.Y가 승리를 가져가면서 4강에 진출했다. === 3경기 KRS vs [[T1 Challengers|T1]] === ||<-12><:> [[2022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파일:asci 2022 logo_white_notext.svg|width=25]]]] '''{{{#white 8강 3경기}}}''' || ||<-5> {{{#e36d31 '''Korean Streamer''' }}} ||<|2> 0 ||<|2> '''3''' ||<-5> [[T1 Challengers|{{{#fff '''T1 Challengers'''}}}]] || || × || × || × || || || ○ || ○ || ○ || || || ||<-5> 탈락 ||<-2> '''{{{#white 결과}}}''' ||<-5> '''4강 진출''' || '''LCK CL'''의 T1과 '''아마추어''' 팀인 KRS가 붙게 되었다. ==== 경기 내용 ==== ===== 1세트 ===== ||<-4>
[[2022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파일:asci 2022 logo_white_notext.svg|width=25]]]] '''{{{#white KRS vs T1 1세트[br](2022. 09. 19.)}}}''' || || LOSS ||<-2> 37:26 || '''WIN''' || || 18/26/36 ||<|2> '''KRS''' ||<|2> '''T1''' || 26/18/74 || || 67.1k || 73.3k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Korean Streamer, redteam=T1 Challengers , d_blueban1=아트록스, d_blueban2=칼리스타, d_blueban3=아지르, d_blueban4=유미, d_blueban5=룰루 , p_blueban1=aatrox, p_blueban2=kalista, p_blueban3=azir, p_blueban4=yuumi, p_blueban5=lulu , d_redban1=드레이븐, d_redban2=럼블, d_redban3=세주아니, d_redban4=자르반 4세, d_redban5=비에고 , p_redban1=draven, p_redban2=rumble, p_redban3=sejuani, p_redban4=jarvanIV, p_redban5=viego , d_bluepic1=마오카이, d_bluepic2=오공, d_bluepic3=사일러스, d_bluepic4=아펠리오스, d_bluepic5=아무무 , p_bluepic1=maokai, p_bluepic2=wukong, p_bluepic3=sylas, p_bluepic4=aphelios, p_bluepic5=amumu , d_redpic1=릴리아, d_redpic2=탈리야, d_redpic3=레넥톤, d_redpic4=시비르, d_redpic5=레나타 글라스크 , p_redpic1=lillia, p_redpic2=taliyah, p_redpic3=renekton, p_redpic4=sivir, p_redpic5=renataGlasc)]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인게임 용 , dragon1=Ocean, dragon2=Mountain, dragon3=Cloud, dragonsoul=Cloud)] 초반 나탈리의 적극적인 카정으로 미드에서 선취점이 난 것은 물론, [[이현서(2002)|포레스트]]의 탈리야가 '''완전 꼬여버리게''' 된다. 하지만 바텀에서의 교전이 '''대박'''이 나면서 0/1/0의 탈리야가 한 순간에 3/1/2가 되어버린다. 그러나 전령에서의 한타에서 KRS가 한타 '''대승'''을 하면서 다시 분위기는 KRS로 넘어가게 된다. 그렇지만 역시 프로는 프로인지 T1이 '''연속해서''' 한타를 대승하며 T1이 승기를 잡게된다. 25분 경, 나탈리의 네트워크 이슈로 퍼즈가 걸렸다. 스트리머 팀도 분전했지만, T1이 프로의 면모를 보여주며 T1이 용 한타에서 '''대승'''을 하고 결국 넥서스가 터지면서 게임은 T1의 승리로 돌아갔다. ===== 2세트 ===== ||<-4>
[[2022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파일:asci 2022 logo_white_notext.svg|width=25]]]] '''{{{#white KRS vs T1 2세트[br](2022. 09. 19.)}}}''' || || '''WIN''' ||<-2> 24:09 || LOSS || || 18/5/34 ||<|2> '''T1''' ||<|2> '''KRS''' || 5/18/10 || || 50.7k || 37.3k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T1 Challengers, redteam=Korean Streamer , d_blueban1=드레이븐, d_blueban2=럼블, d_blueban3=세주아니, d_blueban4=바이, d_blueban5=비에고 , p_blueban1=draven, p_blueban2=rumble, p_blueban3=sejuani, p_blueban4=vi, p_blueban5=viego , d_redban1=칼리스타, d_redban2=아트록스, d_redban3=아지르, d_redban4=리산드라, d_redban5=스웨인 , p_redban1=kalista, p_redban2=aatrox, p_redban3=azir, p_redban4=lissandra, p_redban5=swain , d_bluepic1=나르, d_bluepic2=뽀삐 d_bluepic3=르블랑, d_bluepic4=시비르, d_bluepic5=유미 , p_bluepic1=gnar, p_bluepic2=poppy, p_bluepic3=leblanc, p_bluepic4=sivir, p_bluepic5=yuumi , d_redpic1=레넥톤, d_redpic2=탈리야, d_redpic3=아리, d_redpic4=아펠리오스, d_redpic5=레나타 글라스크 , p_redpic1=renekton, p_redpic2=taliyah, p_redpic3=ahri, p_redpic4=aphelios, p_redpic5=renataGlasc)]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인게임 용 , dragon1=Mountain, dragon2=Cloud, dragon3=, dragonsoul=)] 2세트는 T1이 블루 진영을 가져갔다. 4분 경, 또 한번 나탈리의 네트워크 이슈로 퍼즈가 걸렸다. T1이 KRS를 그냥 '''전 라인 체급 차이'''를 내면서 24분 만에 손 쉽게 넥서스를 터트리며 2세트도 승리를 따냈다. 하지만, 체급 차이도 나긴했으나 사실상 '''모든 지표에서''' 다 차이가 났다. 골드도 약 '''1만 3천 골드''' 차이가 났고, 딜량도 '''비교가 안될만큼''' 차이가 났다. ===== 3세트 ===== ||<-4>
[[2022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파일:asci 2022 logo_white_notext.svg|width=25]]]] '''{{{#white KRS vs T1 3세트[br](2022. 09. 19.)}}}''' || || LOSS ||<-2> 18:08 || '''WIN''' || || 9/12/15 ||<|2> '''KRS''' ||<|2> '''T1''' || 12/9/20 || || 31.0k || 38.4k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Korean Streamer, redteam=T1 Challengers , d_blueban1=아트록스, d_blueban2=칼리스타, d_blueban3=아지르, d_blueban4=유미, d_blueban5=룰루 , p_blueban1=aatrox, p_blueban2=kalista, p_blueban3=azir, p_blueban4=yuumi, p_blueban5=lulu , d_redban1=드레이븐, d_redban2=럼블, d_redban3=세주아니, d_redban4=알리스타, d_redban5=사미라 , p_redban1=draven, p_redban2=rumble, p_redban3=sejuani, p_redban4=alistar, p_redban5=samira , d_bluepic1=마오카이, d_bluepic2=뽀삐, d_bluepic3=사일러스, d_bluepic4=루시안, d_bluepic5=나미 , p_bluepic1=maokai, p_bluepic2=poppy, p_bluepic3=sylas, p_bluepic4=lucian, p_bluepic5=nami , d_redpic1=그웬, d_redpic2=릴리아, d_redpic3=레넥톤, d_redpic4=시비르, d_redpic5=노틸러스 , p_redpic1=gwen, p_redpic2=lillia, p_redpic3=renekton, p_redpic4=sivir, p_redpic5=nautilus)]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인게임 용 , dragon1=, dragon2=, dragon3=, dragonsoul=)] KRS가 무언가를 더할 나위 없이 '''18분 만에''' 게임이 끝나버렸다. ===== 3경기 총평 ===== 더할 나위 없이 일방적인 '''전 라인 체급 차이'''였다. 1세트는 스트리머 팀이 '''어느정도''' 비벼볼만 하겠다고 생각하게 만든 세트였으나, 2,3 세트에서 '''일방적으로''' T1에게 끌려다니다가 게임이 끝나버렸다.[* 심지어 3세트는 용도 먹히지 않은, 먹은 오브젝트라고는 오직 전령밖에 없었다. 심지어 그 전령마저도 다 T1의 것이였다.] 하지만 스트리머 팀으로서 조별 예선을 뚫고 토너먼트 스테이지에 진출한 정도면 기대 이상의 성적을 냈다고 볼 수 있다. === 4경기 [[Mega Bank Beyond Gaming#s-3.1|BYG.A]] vs [[MAX(프로게임단)|MAX]] === ||<-12><:> [[2022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파일:asci 2022 logo_white_notext.svg|width=25]]]] '''{{{#white 8강 4경기}}}''' || ||<-5> [[Mega Bank Beyond Gaming#s-3.1|{{{#000 '''BYG Academy''' }}}]] ||<|2> 0 ||<|2> '''3''' ||<-5> [[MAX(프로게임단)|{{{#fff '''MAX'''}}}]] || || × || × || × || || || ○ || ○ || ○ || || || ||<-5> 탈락 ||<-2> '''{{{#white 결과}}}''' ||<-5> '''4강 진출''' || ==== 경기 내용 ==== ===== 1세트 ===== ||<-4>
[[2022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파일:asci 2022 logo_white_notext.svg|width=25]]]] '''{{{#white BYG.A vs MAX 1세트[br](2022. 09. 20.)}}}''' || || LOSS ||<-2> 27:18 || '''WIN''' || || 8/24/20 ||<|2> '''BYG.A''' ||<|2> '''MAX''' || 24/8/62 || || 43.2k || 59.0k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Beyond Gaming Academy, redteam=MAX , d_blueban1=니달리, d_blueban2=루시안, d_blueban3=드레이븐, d_blueban4=아지르, d_blueban5=스웨인 , p_blueban1=nidalee, p_blueban2=lucian, p_blueban3=draven, p_blueban4=azir, p_blueban5=swain , d_redban1=칼리스타, d_redban2=사일러스, d_redban3=오공, d_redban4=세주아니, d_redban5=트런들 , p_redban1=kalista, p_redban2=sylas, p_redban3=wukong, p_redban4=sejuani, p_redban5=trundle , d_bluepic1=아트록스, d_bluepic2=뽀삐, d_bluepic3=탈리야, d_bluepic4=제리, d_bluepic5=아무무 , p_bluepic1=aatrox, p_bluepic2=poppy, p_bluepic3=taliyah, p_bluepic4=zeri, p_bluepic5=amumu , d_redpic1=레넥톤, d_redpic2=바이, d_redpic3=갈리오, d_redpic4=시비르, d_redpic5=유미 , p_redpic1=renekton, p_redpic2=vi, p_redpic3=galio, p_redpic4=sivir, p_redpic5=yuumi)]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인게임 용 , dragon1=Cloud, dragon2=Hextech, dragon3=Infernal, dragonsoul=)] ===== 2세트 ===== ||<-4>
[[2022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파일:asci 2022 logo_white_notext.svg|width=25]]]] '''{{{#white BYG.A vs MAX 2세트[br](2022. 09. 20.)}}}''' || || '''WIN''' ||<-2> 27:27 || LOSS || || 22/8/60 ||<|2> '''MAX''' ||<|2> '''BYG.A''' || 8/22/17 || || 55.4k || 43.8k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MAX, redteam=Beyond Gaming Academy , d_blueban1=칼리스타, d_blueban2=사일러스, d_blueban3=뽀삐, d_blueban4=레나타 글라스크, d_blueban5=스웨인 , p_blueban1=kalista, p_blueban2=sylas, p_blueban3=poppy, p_blueban4=renataGlasc, p_blueban5=swain , d_redban1=니달리, d_redban2=유미, d_redban3=루시안, d_redban4=갈리오, d_redban5=룰루 , p_redban1=nidalee, p_redban2=yuumi, p_redban3=lucian, p_redban4=galio, p_redban5=lulu , d_bluepic1=아트록스, d_bluepic2=오공, d_bluepic3=세라핀, d_bluepic4=시비르, d_bluepic5=카르마 , p_bluepic1=aatrox, p_bluepic2=wukong, p_bluepic3=seraphine, p_bluepic4=sivir, p_bluepic5=karma , d_redpic1=레넥톤, d_redpic2=세주아니, d_redpic3=아칼리, d_redpic4=제리, d_redpic5=타릭 , p_redpic1=renekton, p_redpic2=sejuani, p_redpic3=akali, p_redpic4=zeri, p_redpic5=taric)]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인게임 용 , dragon1=Hextech, dragon2=Ocean, dragon3=Infernal, dragonsoul=)] ===== 3세트 ===== ||<-4>
[[2022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파일:asci 2022 logo_white_notext.svg|width=25]]]] '''{{{#white BYG.A vs MAX 3세트[br](2022. 09. 20.)}}}''' || || '''WIN''' ||<-2> 21:20 || LOSS || || 28/4/41 ||<|2> '''MAX''' ||<|2> '''BYG.A''' || 4/28/7 || || 48.9k || 32.9k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MAX, redteam=Beyond Gaming Academy , d_blueban1=칼리스타, d_blueban2=사일러스, d_blueban3=뽀삐, d_blueban4=레나타 글라스크, d_blueban5=타릭 , p_blueban1=kalista, p_blueban2=sylas, p_blueban3=poppy, p_blueban4=renataGlasc, p_blueban5=taric , d_redban1=니달리, d_redban2=유미, d_redban3=루시안, d_redban4=갈리오, d_redban5=아지르 , p_redban1=nidalee, p_redban2=yuumi, p_redban3=lucian, p_redban4=galio, p_redban5=azir , d_bluepic1=피오라, d_bluepic2=오공, d_bluepic3=스웨인, d_bluepic4=시비르, d_bluepic5=노틸러스 , p_bluepic1=fiora, p_bluepic2=wukong, p_bluepic3=swain, p_bluepic4=sivir, p_bluepic5=nautilus , d_redpic1=아트록스, d_redpic2=바이, d_redpic3=아리, d_redpic4=아펠리오스, d_redpic5=레오나 , p_redpic1=aatrox, p_redpic2=vi, p_redpic3=ahri, p_redpic4=aphelios, p_redpic5=leona)]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인게임 용 , dragon1=Mountain, dragon2=Ocean, dragon3=, dragonsoul=)] ===== 4경기 총평 ===== [[MAX(프로게임단)|MAX]]의 일방적인 승리였다. 그렇다고 [[Mega Bank Beyond Gaming#s-3.1|BYG.A]]가 비벼지기라도 했느냐? 아니다. 1, 2, 3세트 모든 경기에서 '''5천 골드''' 이상이 차이가 났으며, 딜량에서도 차이가 났다. == 8강 총평 == 1, 2경기는 다른 팀에서 1세트라도 가져간 경기가 있었으나, 3, 4경기는 다 3:0으로 '''일방적인 경기'''였다. 4강에는 [[FPX/리그 오브 레전드#s-6|FPB]], [[Edward Gaming HYCAN#s-6|EDG.Y]], [[MAX(프로게임단)|MAX]], [[T1 Challengers|T1]]이 4강에 진출했으며, 총 LDL에서는 '''3팀'''이, LCK에서는 '''1팀'''이 4강에 진출했다. PCS, VCS는 '''모든 팀'''이 그룹 스테이지, 8강에서 떨어지게 되었다. [[분류:2022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8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