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KBO 리그)] [include(틀:KBO 리그 시즌)]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bqPPSiLEuI, width=100%)]}}} || || {{{#ffffff '''2022 시즌 KBO 리그 - 공식 인트로 영상'''}}}[* 실제 방송 시에는 15초로 압축한 영상을 사용하고 있다. [[MBC SPORTS+]]의 경우 아예 해당 영상 자체를 중계 프로그램 오프닝으로 쓰고 있다.] || ||<-2>
'''{{{#ffffff 2022 신한은행 SOL KBO 리그}}}''' || ||<-2> [[파일:2022 신한은행 SOL KBO 리그 타이틀 엠블럼.svg|width=270]] || ||<-2> [[파일:신한은행 SOL KBO 리그 40주년 타이틀 워드마크.svg|width=330]] || || '''기간''' || [[2022년]] [[4월 2일]]~[[2022년]] [[10월 11일]] (정규시즌)[br][[2022년]] [[10월 13일]]~[[2022년]] [[11월 8일]] (포스트시즌) || || '''참가 구단''' || [[kt wiz]], [[두산 베어스]], [[삼성 라이온즈]], [[LG 트윈스]], [[키움 히어로즈]] [br] [[SSG 랜더스]], [[NC 다이노스]], [[롯데 자이언츠]], [[KIA 타이거즈]], [[한화 이글스]] || || '''[[KBO 리그/역대 리그 스폰서|{{{#ffffff 스폰서}}}]]''' || [[신한은행]] || || '''{{{#ffffff 시즌 [br] 캐치프레이즈}}}''' || SLIDING TO YOUR LIFE [br] {{{-2 라이프스타일의 중심, KBO 리그}}}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2년 시즌의 KBO 리그에 대한 문서이다. '''KBO 리그 첫 개막전 이후 40년'''을 맞는 해이다.[* 프로야구 출범 40주년은 지난 시즌인 2021시즌이다. 당장 30주년 기념은 2012년이 아닌 2011년에 했다는 걸 상기하면 된다.] == 스토브 리그 == === 코칭 스태프 변경 === ||<-3> [[kt wiz|[[파일:kt wiz 엠블럼.svg|height=40]]]] || ||<-3> '''{{{#ffffff kt wiz}}}''' || || {{{#ffffff 이름}}} || {{{#ffffff 이전 직책}}} || {{{#ffffff 새 직책}}} || || [[나도현]] || 데이터 기획팀장 || 단장 || || [[제춘모]] || [[SSG 랜더스|SSG]] 2군 투수코치 || 1군 불펜코치 || || [[장재중]] || [[LG 트윈스|LG]] 잔류군 재활코치 || 1군 배터리코치 || || [[이성열(1984)|이성열]] || [[한화 이글스|한화]] 전력분석원 || 2군 타격코치 || || [[이숭용]] || 단장 || 육성총괄 || ||<-3> [[두산 베어스|[[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height=40px]]]] || ||<-3> '''{{{#ffffff 두산 베어스}}}''' || || {{{#ffffff 이름}}} || {{{#ffffff 이전 직책}}} || {{{#ffffff 새 직책}}} || || [[이도형]] || 2군 타격코치 || 1군 타격코치 || || [[고영민]] || 1군 작전·주루코치 || 1군 수비코치 || || [[김주찬]] || 1군 외야 수비·주루코치 || 1군 작전·주루(3루)코치 || || [[유재신]] || 2군 외야 수비·작전코치 || 1군 주루(1루)코치 || || 조광희 || 2군 트레이닝코치 || 1군 트레이닝코치 || || [[이복근]] || 스카우트 팀장 || 2군 감독 || || [[이정훈(1963)|이정훈]] || 1군 타격코치 || 2군 타격코치 || || [[정진호(1988)|정진호]] || 한화 선수 은퇴 || 2군 수비·작전코치 || || [[조경택]] || 잔류군 코치 || 2군 배터리코치 || || 유종수 || || 2군 트레이닝코치 || || [[박철우(야구)|박철우]] || 2군 감독 ||<|3> 재활·잔류군코치 || || [[김지훈(1973)|김지훈]] || 2군 배터리코치 || || [[김상진(1970)|김상진]] || 2군 재활코치 || ||<-3> [[삼성 라이온즈|[[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height=40px]]]] || ||<-3> '''{{{#ffffff 삼성 라이온즈 }}}''' || || {{{#074ca1 이름}}} || {{{#074ca1 이전 직책}}} || {{{#074ca1 새 직책}}} || || [[황두성]] || 1군 불펜코치 || 1군 투수코치 || || [[박진만]] || 1군 작전코치 || 2군 감독 || || [[정현욱(1977)|정현욱]] || 1군 투수코치 || 2군 투수코치 || || [[손주인]] || 프런트 || 2군 수비코치 || || [[권오준]] || 2군 스카우트 || 잔류군 투수코치 || ||<-3> [[LG 트윈스|[[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height=40px]]]] || ||<-3> '''{{{#ffffff LG 트윈스}}}''' || || {{{#ffffff 이름}}} || {{{#ffffff 이전 직책}}} || {{{#ffffff 새 직책}}} || || [[이호준]] || [[NC 다이노스|NC]] 1군 타격코치 || 1군 메인 타격코치 || || [[모창민]] || NC 전력분석원 || 1군 보조 타격코치 || || [[조인성(야구)|조인성]] || 2군 배터리코치 || 1군 배터리코치 || || [[이종범]] || 2군 타격코치 || 2군 감독 || || [[이성우(야구선수)|이성우]] || 선수 은퇴 || 2군 배터리코치 || || [[신재웅]] || SSG 선수 은퇴 || 잔류군 투수코치 || || [[양원혁]] || 전력분석원 || 잔류군 수비코치 || || [[윤요섭]] || [[kt wiz|KT]] 육성군 배터리코치 || 잔류군 재활코치 || || [[김용의]] || 선수 은퇴 || 스카우트 || || [[여건욱]] || 선수 은퇴 || 데이터 분석원 || ||<-3> [[키움 히어로즈|[[파일:키움 히어로즈 엠블럼.svg|height=40px]]]] || ||<-3> '''{{{#ffffff 키움 히어로즈}}}''' || || {{{#ffffff 이름}}} || {{{#ffffff 이전 직책}}} || {{{#ffffff 새 직책}}} || || [[김일경(야구)|김일경]] || SSG 2군 수비코치 || 1군 수비코치 || || [[박재상]] || [[시흥 울브스]] 홍보팀 || 1군 외야 수비·주루(1루)코치 || || [[박정음]] || 선수 은퇴 || 2군 작전·주루코치 || || [[문찬종]] || 선수 은퇴 || 재활·잔류군 야수코치 || ||<-3> [[SSG 랜더스|[[파일:SSG 랜더스 엠블럼(2021~2023).svg|height=40px]]]] || ||<-3> '''{{{#ffffff SSG 랜더스}}}''' || || {{{#ffffff 이름}}} || {{{#ffffff 이전 직책}}} || {{{#ffffff 새 직책}}} || || [[정경배]] || 한화 2군 타격코치 || 1군 타격코치 || || [[곽현희]] || LG 2군 트레이닝코치 || 1군 트레이닝코치 || || [[스캇 플레처]] || 2군 타격·수비 코디네이터 || 2군 총괄코치[* 감독+수비코치+주루코치를 합친 포지션.] || || [[채병용]] || 원정 전력분석원 || 2군 투수코치 || || [[임재현(야구)|임재현]] || [[성균관대학교 야구부|성균관대]] 코치 || 2군 수비·작전·주루코치 || || [[정상호]] || 선수 은퇴 || 2군 재활코치 || || 데릭 메이 || 프레드릭 키스 감독 || 2군 타격코디네이터 || || [[김성용(1970)|김성용]] || [[야탑고등학교 야구부|야탑고]] 감독 || R&D 센터장 || || [[박진우(야구선수)|박진우]] || NC 선수 은퇴 || 스카우트 || || [[전병두]] || 루키팀 투수코치 || 원정 전력분석원 || ||<-3> [[NC 다이노스|[[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height=40]]]] || ||<-3> '''{{{#ffffff NC 다이노스}}}''' || || {{{#ffffff 이름}}} || {{{#ffffff 이전 직책}}} || {{{#ffffff 새 직책}}} || || [[박태원(야구선수)|박태원]] || KT 선수 || 1군 타격코치 || || [[오규택]] || [[키움 히어로즈|키움]] 2군 작전·주루코치 || 1군 작전·주루(1루)코치 || || [[공필성]] || [[두산 베어스|두산]] 1군 수비코치 || 2군 감독 || || [[이용훈(야구)|이용훈]] || [[롯데 자이언츠|롯데]] 1군 투수코치 || 2군 투수코치 || || 최건용 || [[동국대학교 야구부|동국대]] 코치 || 2군 훈련조 수비코치 || || [[윤수강]] || 선수 은퇴 || 불펜 포수 || ||<-3> [[롯데 자이언츠|[[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2018~2022).svg|height=40px]]]] || ||<-3> '''{{{#ffffff 롯데 자이언츠 }}}''' || || {{{#ffffff 이름}}} || {{{#ffffff 이전 직책}}} || {{{#ffffff 새 직책}}} || || [[리키 마인홀드]] || [[뉴욕 메츠]] 보조 투수코치 || 1군 투수코치 || || [[제럴드 레어드]] || 코네티컷 타이거즈[* 구 [[디트로이트 타이거즈]] 쇼트A팀. 쇼트A 등급이 폐지된 이후로는 디트로이트와의 유대 관계를 끊고 노위치 시유니콘즈 라는 새 이름으로 독립리그에 참가 중이다.] 감독 || 1군 배터리코치 || || [[김평호]]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팀]] 전력분석 총괄코치 || 1군 외야·주루코치 || || [[로이스 링]] || 브루클린 사이클론즈[* [[뉴욕 메츠]] 하이A팀.] 투수코치 || 1군 투수 코디네이터 || || [[이병규(1983)|이병규]] || 선수 은퇴 || 2군 타격코치 || || [[이재율(1986)|이재율]] || 스카우트 || 2군 불펜코치 || || [[전준호(1969)|전준호]] || NC 2군 주루코치 || 2군 주루코치 || || [[정태승]] || 선수 은퇴 || 재활군 투수코치 || ||<-3> [[KIA 타이거즈|[[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height=40px]]]] || ||<-3> {{{#ffffff '''KIA 타이거즈''' }}} || || {{{#ffffff 이름}}} || {{{#ffffff 이전 직책}}} || {{{#ffffff 새 직책}}} || || [[장정석]] || [[KBS]] 해설위원 || 단장 || || [[김종국(야구인)|김종국]] || 1군 수석코치 || 1군 감독 || || [[진갑용]] || 1군 배터리코치 || 1군 수석코치 || || [[이범호]] || 2군 총괄코치 || 1군 타격코치 || || [[서재응]] ||<|2> 2군 투수코치 ||<|2> 1군 투수코치 || || [[곽정철]] || || [[이현곤]] || 1군 주루코치 || 1군 수비코치 || || [[조재영]] || 키움 1군 작전·주루코치 || 1군 작전·주루코치 || || [[김상훈(1977)|김상훈]] || 2군 배터리코치 || 1군 배터리코치 || || [[정명원]] || 1군 투수코치 || 2군 감독 || || [[송지만]] || 1군 타격코치 ||<|2> 2군 타격코치 || || [[홍세완]] || SSG 보조 타격코치 || || [[윤해진]] || 2군 작전·주루코치 || 2군 타격코치 || || [[이상화(1980)|이상화]] || 전력분석코치 || 2군 투수코치 || || [[나주환]] || 선수 은퇴 || 2군 작전·주루코치 || || [[강성우]] || KT 2군 배터리코치 || 2군 배터리코치 || || [[손승락]] || 롯데 선수 은퇴 || 전력강화 코디네이터 || ||<-3> [[한화 이글스|[[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height=40px]]]] || ||<-3> {{{#ffffff '''한화 이글스''' }}} || || {{{#ffffff 이름}}} || {{{#ffffff 이전 직책}}} || {{{#ffffff 새 직책}}} || || [[웨스 클레멘츠]] || [[휴스턴 애스트로스#s-7.2|코퍼스 크리스티 훅스]][* [[휴스턴 애스트로스]] 더블A팀.] 감독 || 1군 수석코치 || || [[김남형(야구선수)|김남형]] || 1군 보조 타격코치 || 1군 타격코치 || || [[박윤]] || ACL 컵스[* [[시카고 컵스]] 루키팀.] 인턴코치 || 1군 보조 타격코치 || || [[이지풍]] || [[SK 와이번스|SK]] 1군 컨디셔닝코치 || 1군 수석 트레이닝코치 || || [[최윤석]] ||<|2> 한화 전력분석원 || 2군 수비코치 || || [[윤규진]] || 잔류군 투수코치 || || [[남원호]] || [[율곡고등학교 야구부|율곡고]] 코치 || 육성군 수비코치 || || [[손혁]] || 키움 감독 || 전력강화 코디네이터 || || [[신승원]] || [[스코어본 하이에나들|스코어본]] 선수 은퇴 ||<|3> 전력분석원 || || [[박준범(야구선수)|박준범]] || 선수 은퇴 || || [[윤윤덕]] || 롯데 QC 코치 || === 트레이드 === ||<-6> {{{#ffffff '''2022 스토브리그 중 트레이드'''}}} || || '''일자''' || '''팀''' || '''트레이드 선수''' || '''↔''' || '''트레이드 선수''' || '''팀''' || || [[2021년]] [[12월 13일]] || [[삼성 라이온즈|[[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height=40px]]]] || [[심창민]] (투수)[br][[김응민]] (포수) || ↔ || [[김태군]] (포수) || [[NC 다이노스|[[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height=40]]]] || || [[2022년]] [[1월 24일]] || [[삼성 라이온즈|[[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height=40px]]]] || [[이학주]] (내야수) || ↔ || [[최하늘]] (투수)[br][[KBO 리그/2023년/신인 드래프트|신인 지명권]] {{{-2 (2023 3R)}}} || [[롯데 자이언츠|[[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2018~2022).svg|height=40px]]]] || === 신규 영입 === 기존 프로 경력이 있는 선수만 여기에 기재한다. * [[kt wiz]]: [[김한별(1997)|김한별]](투수, 前 키움) * [[두산 베어스]]: [[김지용(1988)|김지용]](투수, 前 LG), [[안승한]](포수, 前 KT), [[임창민]](투수, 前 NC) * [[삼성 라이온즈]]: [[박정준(1992)|박정준]](투수, 前 스코어본 하이에나들)[* 입단 후 [[KBO 퓨처스리그 FA]] 명단에 포함됐으나 본인이 신청하지 않았다.][* 참고로 육성 선수 등록은 이미 2021년 10월 7일에 마쳤다.] * [[LG 트윈스]]: [[김진성]](투수, 前 NC) * [[키움 히어로즈]]: [[김준완]](외야수, 前 NC) * [[SSG 랜더스]]: [[고효준]](투수, 前 LG), [[김재현(1991)|김재현]](내야수, 前 삼성), [[노경은]](투수, 前 롯데) * [[NC 다이노스]]: [[서의태]](투수, 前 키움), [[이인혁(야구)|이인혁]](외야수, 前 NC)[* 2019 시즌 종료 후 NC에서 방출된 선수로, 군복무를 마친 뒤, 2021년 11월 2일 롯데와의 퓨처스리그 교육리그 라인업에 들면서 복귀 사실이 확인되었다.][* 이 외에 2019시즌 종료 후 방출되었던 [[박수현(야구선수)|박수현]]이 군복무를 마친 뒤, 2022년 3월 2일 동원과학기술대학교와의 연습경기 라인업에 들어간 것을 시작으로 재입단 테스트를 받았으나 끝내 복귀하지 못하고 [[파주 챌린저스]]로 갔다.][* NC의 군보류선수 신분으로 입대한 것이 아닌, 방출된 후 무소속으로 입대한 것이기 때문에 공식적으로는 재입단으로 간주된다.] * [[롯데 자이언츠]]: [[박승욱]](내야수, 前 KT), [[이동원(야구선수)|이동원]][* 롯데 입단 후 [[이태오(야구선수)|이태오]]로 개명했다.](투수, 前 두산) * [[KIA 타이거즈]]: [[고종욱]](외야수, 前 SSG) * [[한화 이글스]]: [[원혁재]](외야수, 前 천안 메티스)[* 2019 시즌 종료 후 한화에서 방출된 뒤 새로 창단했던 실업야구 팀 [[천안 메티스]]에 1년 동안 머물렀다가, 2021년 11월 11일 KT와의 연습경기 라인업에 들면서 복귀 사실이 확인되었다.] ==== 육성선수 ==== * [[kt wiz]]: [[안광준]](투수, 설악고-동국대) * [[두산 베어스]]: [[이민석(2001)|이민석]](내야수, 부산공고-파주 챌린저스), [[천현재]](포수, 부경고-성균관대), [[최지강]](투수, 동성고-강릉영동대) * [[삼성 라이온즈]]: - * [[LG 트윈스]]: - * [[키움 히어로즈]]: [[류하성]](내야수, 광주일고-경희대-스코어본 하이에나들-성남 맥파이스)[* 류승범에서 개명했으며, 팀이 [[넥센 히어로즈]]이던 시절 [[KBO 리그/2017년/신인 드래프트|2017년 신인 2차 지명]]에서 9라운드 87번으로 지명을 받았지만 이를 거부하고 [[경희대학교]]에 진학했으나, 대학 졸업 때는 아예 지명을 받지 못하면서 졸업 후 독립리그에서 뛰다가 다시 히어로즈의 유니폼을 입게 되었다.], [[박수종]](내야수, 충암고-경성대), [[오성민(1999)|오성민]](내야수, 부산정보고-한일장신대)[* KUSF 대학야구 U-리그 MVP로, 비록 육성선수 입단이긴 하지만 전국대회 MVP 수상자의 프로 미입단 징크스를 깬 선수가 되었다.] * [[SSG 랜더스]]: [[석정우]](내야수, 경남고-연세대), [[임근우]](외야수, 휘문고-홍익대) * [[NC 다이노스]]: - * [[롯데 자이언츠]]: [[경우진]](투수, 장충고-제주관광대-단국대), [[김동욱(1999)|김동욱]](내야수, 덕수고-단국대), [[김승준(야구선수)|김승준]][* 김하성과 야탑고 동기로 연세대 졸업(1년 졸업 유예) 후 군 복무를 거쳐 육성선수로 입단했다. 고교 및 대학 시절 포지션은 외야수였다. 처음 소식이 나왔을 때는 [[스코어본 하이에나들]] 소속 [[김승준(1998)|1998년생 김승준]]으로 잘못 알려져 있었다.](투수, 야탑고-연세대), [[민성우]](포수, 인천고-인하대) * [[KIA 타이거즈]]: [[박상준(야구선수)|박상준]](외야수, 세광고-강릉영동대), [[옥준호]](투수, 덕수고-동강대), [[윤민석(야구선수)|윤민석]](내야수, 군산상고-성균관대) * [[한화 이글스]]: [[김준석(야구선수)|김준석]](외야수, 북일고-강릉영동대), [[민승기]](투수, 경동고-여주대[* 여주대학교 야구부 창단 이후 최초의 프로 진출 선수다.]), [[유상빈]][* 대만 화교 출신 선수로, 2019년에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했다.](외야수, 인천고-강릉영동대), [[이상혁(야구선수)|이상혁]](내야수, 장안고-강릉영동대[* 입단 초기에는 학력이 [[용마고등학교]] - [[원광대학교]]로 잘못 알려져 있었다.]), [[전승우]][* [[전일수]] 심판의 차남이자 [[SSG 랜더스]] 소속 내야수 [[전진우(야구선수)|전진우]]의 동생이다.](포수, 신흥고-송원대), [[최현준(1999년 9월)|최현준]](내야수, 경북고-고려대) === [[외국인 선수/역대 프로야구|외국인 선수 계약]] === ||<-8> {{{#ffffff '''2022 외국인 선수 계약'''}}} || || '''팀명''' || '''이름''' || '''포지션''' || '''국적''' || '''유형''' || '''년차''' || '''총액''' || ||<|3><:> [[kt wiz|[[파일:kt wiz 엠블럼.svg|height=40]]]] || [[오드리사머 데스파이네]] || 투수 || [[파일:쿠바 국기.svg|width=30]] [[쿠바|CUB]] || 재계약 || 3년차 || 135만 달러 || || [[윌리엄 쿠에바스]] || 투수 ||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width=30]] [[베네수엘라|VEN]] || 재계약 || 4년차 || 110만 달러 || || [[헨리 라모스]] || 타자 ||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width=30]] [[푸에르토리코|PUR]] || 신규 || 1년차 || 100만 달러 || ||<|3><:> [[두산 베어스|[[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height=40px]]]] || [[아리엘 미란다]] || 투수 || [[파일:쿠바 국기.svg|width=30]] [[쿠바|CUB]] || 재계약 || 2년차 || 190만 달러 || || [[로버트 스탁]] || 투수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USA]] || 신규 || 1년차 || 70만 달러 || || [[호세 미겔 페르난데스|호세 페르난데스]] || 타자 || [[파일:아이티 국기.svg|width=30]] [[아이티|HTI]] || 재계약 || 4년차 || 110만 달러 || ||<|3><:> [[삼성 라이온즈|[[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height=40px]]]] || [[데이비드 뷰캐넌]] || 투수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USA]] || 재계약 || 3년차 || 170만 달러 || || [[알버트 수아레즈]] || 투수 ||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width=30]] [[베네수엘라|VEN]] || 신규 || 1년차 || 100만 달러 || || [[호세 피렐라]] || 타자 ||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width=30]] [[베네수엘라|VEN]] || 재계약 || 2년차 || 120만 달러 || ||<|3><:> [[LG 트윈스|[[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height=40px]]]] || [[케이시 켈리]] || 투수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USA]] || 재계약 || 4년차 || 150만 달러 || || [[애덤 플럿코]] || 투수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USA]] || 신규 || 1년차 || 80만 달러 || || [[리오 루이즈]] || 타자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USA]] || 신규 || 1년차 || 100만 달러 || ||<|3><:> [[키움 히어로즈|[[파일:키움 히어로즈 엠블럼.svg|height=40px]]]] || [[에릭 요키시]] || 투수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USA]] || 재계약 || 4년차 || 130만 달러 || || [[타일러 애플러]] || 투수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USA]] || 신규 || 1년차 || 40만 달러 || || [[야시엘 푸이그]] || 타자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USA]] || 신규 || 1년차 || 100만 달러 || ||<|3><:> [[SSG 랜더스|[[파일:SSG 랜더스 엠블럼(2021~2023).svg|height=40px]]]] || [[윌머 폰트]] || 투수 ||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width=30]] [[베네수엘라|VEN]] || 재계약 || 2년차 || 150만 달러 || || [[이반 노바]] || 투수 ||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width=30]] [[도미니카 공화국|DOM]] || 신규 || 1년차 || 100만 달러 || || [[케빈 크론]] || 타자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USA]] || 신규 || 1년차 || 100만 달러 || ||<|3><:> [[NC 다이노스|[[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height=40]]]] || [[드류 루친스키]] || 투수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USA]] || 재계약 || 4년차 || 200만 달러 || || [[웨스 파슨스]] || 투수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USA]] || 재계약 || 2년차 || 65만 달러 || || [[닉 마티니]] || 타자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USA]] || 신규 || 1년차 || 80만 달러 || ||<|3><:> [[롯데 자이언츠|[[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2018~2022).svg|height=40px]]]] || [[글렌 스파크맨]] || 투수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USA]] || 신규 || 1년차 || 80만 달러 || || [[찰리 반즈]] || 투수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USA]] || 신규 || 1년차 || 61만 달러 || || [[DJ 피터스]] || 타자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USA]] || 신규 || 1년차 || 68만 달러 || ||<|3><:> [[KIA 타이거즈|[[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height=40px]]]] || [[션 놀린]] || 투수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USA]] || 신규 || 1년차 || 90만 달러 || || [[로니 윌리엄스]] || 투수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USA]] || 신규 || 1년차 || 75만 달러 || || [[소크라테스 브리토]] || 타자 ||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width=30]] [[도미니카 공화국|DOM]] || 신규 || 1년차 || 90만 달러 || ||<|3><:> [[한화 이글스|[[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height=40px]]]] || [[닉 킹험]] || 투수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USA]] || 재계약 || 2년차[* [[SK 와이번스]] 시절 포함시 3년차.] || 90만 달러 || || [[라이언 카펜터]] || 투수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USA]] || 재계약 || 2년차 || 75만 달러 || || [[마이크 터크먼]] || 타자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USA]] || 신규 || 1년차 || 100만 달러 || === 방출 및 임의해지 === * 공식적으로 공시가 됐거나 구단 홈페이지에서 삭제된 경우만 기재하며, 이들 중 은퇴를 선언한 선수들은 아래 은퇴 선수 문단으로 이동. 외국인 선수는 보류선수 제외를 발표했더라도 이 문단에 작성하지 않음. * 편의상 이전 시즌 도중 방출됐거나 육성선수 상태에서 방출된 경우도 포함. ---- * [[kt wiz]]: [[강민국]], [[고영찬]], [[김도현(야구선수)|김도현]], [[박규민]], [[박승욱]], [[안승한]], [[유원상]], [[윤세훈]], [[이홍구(야구선수)|이홍구]], [[정주원(야구선수)|정주원]], [[조한욱]], [[최태성(야구선수)|최태성]], [[한승지]] * [[두산 베어스]]: [[고봉재]][* 이듬해에 입단 테스트를 거쳐 재입단했다.], [[김도경(야구선수)|김도경]], [[김주완(1999)|김주완]], [[박성모(야구선수)|박성모]], [[백동훈(야구선수)|백동훈]], [[백민규]], [[백종수]], [[오세훈(야구선수)|오세훈]], [[이태오]], [[정우석(야구선수)|정우석]], [[정현욱(1999)|정현욱]], [[지윤(야구선수)|지윤]] * [[삼성 라이온즈]]: [[김결의]], [[김경민(야구선수)|김경민]], [[김동찬(야구선수)|김동찬]], [[김재현(1991)|김재현]], [[김태수(야구선수)|김태수]], [[백승민]], [[봉민호]], [[안도원]], [[조경원]], [[최선호(야구선수)|최선호]] * [[LG 트윈스]]: [[김지용(1988)|김지용]], [[이정우(야구선수)|이정우]][* 군 복무 도중 방출됐으며, 전역 후 [[롯데 자이언츠]]에 입단했다.], [[조용근(야구선수)|조용근]][* 방출 후 군에 입대했고, 전역 후 [[kt wiz]]에 입단했다.], [[최우혁(야구선수)|최우혁]], [[함창건]][* 방출 후 군복무를 한뒤 LG에 재입단하였다.] * [[키움 히어로즈]]: [[김은성]], [[김정후]], [[박동혁(야구선수)|박동혁]], [[박성우(1998)|박성우]], [[송우현]], [[임규빈]], [[조범준]], [[조성운]], [[최규보]], [[허정협]] * [[SSG 랜더스]]: [[고종욱]], [[권혁찬(야구선수)|권혁찬]], [[김찬호(야구선수)|김찬호]], [[김표승]], [[이재록(야구선수)|이재록]], [[정의윤]], [[최경태]], [[최수빈(야구선수)|최수빈]], [[허웅(1996)|허웅]] * [[NC 다이노스]]: [[권법수]], [[김영중(야구선수)|김영중]], [[김재중(야구선수)|김재중]], [[김준완]], [[김진성]], [[이도현(야구선수)|이도현]], [[이원재(1989)|이원재]], [[이호중]], [[임창민]], [[조성현]] * [[롯데 자이언츠]]: [[강동호(야구선수)|강동호]], [[권동현]], [[김건국]], [[김정주(야구선수)|김정주]], [[노경은]], [[한승혁(좌완투수)|한승혁]], [[홍지훈]] * [[KIA 타이거즈]]: [[김명찬]], [[김연준(1996)|김연준]], [[김영환(야구)|김영환]], [[백미카엘]], [[변시원]], [[심동섭]], [[양승철]], [[차명진(야구선수)|차명진]], [[최승주]], [[황인준]] * [[한화 이글스]]: [[권용우]], [[김민하]], [[김지수(1996)|김지수]], [[김태욱(야구선수)|김태욱]], [[박준범(야구선수)|박준범]], [[정경운]], [[정기훈]] === 은퇴 === * [[kt wiz]]: [[유한준]], [[이대은]], [[이보근]] * [[두산 베어스]]: [[안찬호]], [[유희관]] * [[삼성 라이온즈]]: [[이현동(야구선수)|이현동]], [[임현준]] * [[LG 트윈스]]: [[김용의]], [[이성우(야구선수)|이성우]] * [[키움 히어로즈]]: [[문찬종]], [[박정음]], [[오주원]], [[차재용]] * [[SSG 랜더스]]: [[강지광]], [[김경호(야구선수)|김경호]], [[김세현(야구선수)|김세현]], [[남태혁]], [[신재웅]], [[정상호]], [[정수민]], [[정영일(야구선수)|정영일]], [[제이미 로맥]] * [[NC 다이노스]]: [[모창민]], [[박진우(야구)|박진우]], [[윤수강]], [[이재율(1993)|이재율]], [[지석훈]], [[최금강]] * [[롯데 자이언츠]]: [[민병헌]], [[송승준]], [[오현택]], [[이병규(1983)|이병규]], [[정태승]] * [[KIA 타이거즈]]: [[나주환]], [[문선재]], [[유민상(야구선수)|유민상]], [[장영석]], [[황윤호]] * [[한화 이글스]]: [[김진영(야구선수)|김진영]], [[노태형]], [[문동욱]], [[박한결]], [[서균]], [[이성열(1984)|이성열]], [[정인욱]], [[정진호(1988)|정진호]] === [[KBO 리그/역대 FA/2022|FA 계약]]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KBO 리그/역대 FA/2022)] ||<-9> {{{#ffffff '''2022 FA 계약'''}}} || || '''원 소속팀''' || '''이름''' || '''포지션''' || '''등급''' || '''새 소속팀''' || '''계약일자''' || '''계약 내용''' || '''보상선수''' || ||<|3><:> [[kt wiz|[[파일:kt wiz 엠블럼.svg|height=40]]]] || [[장성우]] || [[포수]] || B || 잔류 || [[2021년]] [[12월 20일]] || 4년 42억 || - || || [[황재균]] || [[내야수]] || B || 잔류 || [[2021년]] [[12월 27일]] || 4년 60억 || - || || [[허도환]] || [[포수]] || C || [[LG 트윈스|[[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height=40px]]]] || [[2021년]] [[12월 30일]] || 2년 4억 || 없음[*C C등급 FA 선수의 이적이므로 보상선수 없음] || ||<|3><:> [[두산 베어스|[[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height=40px]]]] || [[박건우]] || [[외야수]] || A || [[NC 다이노스|[[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height=40]]]] || [[2021년]] [[12월 14일]] || 6년 100억 || [[강진성]] || || [[김재환(야구선수)|김재환]] || [[외야수]] || A || 잔류 || [[2021년]] [[12월 17일]] || 4년 115억 || - || || [[장원준]] || [[투수]] || B ||<-4> '''FA 미신청''' || ||<|4><:> [[삼성 라이온즈|[[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height=40px]]]] || [[박해민]] || [[외야수]] || A || [[LG 트윈스|[[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height=40px]]]] || [[2021년]] [[12월 14일]] || 4년 60억 || [[김재성(야구선수)|김재성]] || || [[백정현]] || [[투수]] || B || 잔류 || [[2021년]] [[12월 15일]] || 4년 38억 || - || || [[강민호]] || [[포수]] || C || 잔류 || [[2021년]] [[12월 24일]] || 4년 36억 || - || || [[오선진]] || [[내야수]] || C ||<-4> '''FA 미신청''' || ||<|2><:> [[LG 트윈스|[[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height=40px]]]] || [[김현수(1988)|김현수]] || [[외야수]] || B || 잔류 || [[2021년]] [[12월 17일]] || 4+2년 115억 || - || || [[서건창]] || [[내야수]] || A ||<-4> '''FA 미신청''' || ||<:> [[키움 히어로즈|[[파일:키움 히어로즈 엠블럼.svg|height=40px]]]] || [[박병호]] || [[내야수]] || C || [[kt wiz|[[파일:kt wiz 엠블럼.svg|height=40]]]] || [[2021년]] [[12월 29일]] || 3년 30억 || 없음[*C] || ||<:> [[NC 다이노스|[[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height=40]]]] || [[나성범]] || [[외야수]] || A || [[KIA 타이거즈|[[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height=40px]]]] || [[2021년]] [[12월 23일]] || 6년 150억 || [[하준영]] || ||<|2><:> [[롯데 자이언츠|[[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2018~2022).svg|height=40px]]]] || [[손아섭]] || [[외야수]] || B || [[NC 다이노스|[[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height=40]]]] || [[2021년]] [[12월 24일]] || 4년 64억 || [[문경찬]] || || [[정훈]] || [[내야수]] || C || 잔류 || [[2022년]] [[1월 5일]] || 3년 18억 || - || ||<:> [[KIA 타이거즈|[[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height=40px]]]] || [[나지완]] || [[외야수]] || B ||<-4> '''FA 미신청''' || ||<:> [[한화 이글스|[[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height=40px]]]] || [[최재훈(야구선수)|최재훈]] || [[포수]] || B || 잔류 || [[2021년]] [[11월 27일]] || 5년 54억 || - || ||<:> [[텍사스 레인저스|[[파일:텍사스 레인저스 엠블럼.svg|height=40px]]]] || [[양현종]] || [[투수]] || -[* 공식적인 등급은 없으나 만일 양현종이 KIA가 아닌 타 구단으로 이적했다면 FA 재자격자이므로 KIA가 B등급에 준하는 보상을 받았을 것이다.] || [[KIA 타이거즈|[[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height=40px]]]] || [[2021년]] [[12월 24일]] || 4년 103억 || 없음[* 만일 양현종이 KIA가 아닌 타 구단으로 이적했을 경우 해당 구단이 양현종 선수의 KBO 시절 소속 구단이었던 KIA에 보상선수를 줘야 했으나 양현종이 KIA에 복귀함으로써 사실상 FA 잔류와 같은 형식이 되었다.] || === 비 FA 다년계약 === ||<-5> {{{#ffffff '''2022 비FA 다년계약'''}}} || || '''소속팀''' || '''이름''' || '''포지션''' || '''계약일자''' || '''계약 내용''' || || [[삼성 라이온즈|[[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height=40]]]] || [[구자욱]] || [[외야수]] || [[2022년]] [[2월 3일]] || 5년 120억 || ||<|4> [[SSG 랜더스|[[파일:SSG 랜더스 엠블럼(2021~2023).svg|height=40]]]] || [[문승원]] || [[투수]] || [[2021년]] [[12월 14일]] || 5년 55억 || || [[박종훈]] || [[투수]] || [[2021년]] [[12월 14일]] || 5년 65억 || || [[한유섬]] || [[외야수]] || [[2021년]] [[12월 25일]] || 5년 60억 || || [[김광현]] || [[투수]] || [[2022년]] [[3월 8일]] || 4년 151억 || == 스프링캠프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여파로 10개 구단의 스프링캠프가 2년 연속 국내에서 진행된다.[* SSG가 해외로 떠나려 했으나, 오미크론 변이발 코로나19 확진자 증가로 인해 국내로 변경했다. 이 외에도 LG는 투수들만이라도 사이판으로 보내려고 했으나 같은 이유로 취소했다.] 대부분의 구단이 남부지방과 제주도 등에서 훈련을 진행하나 [[두산 베어스]]만 중부지방([[경기도]] [[이천시]]) 소재 전용 연습구장인 [[베어스 파크]]에서 훈련을 진행한다.[* 다만 기술 훈련까지만 이천에서 진행하고 실전 경험치 생성 차원의 연습경기는 2021년과 마찬가지로 [[울산 문수 야구장|울산]]과 [[기장-현대차 드림 볼파크|부산 기장]]에서 진행한다.] 이외에도 2월 1일이 [[설날]]이다보니 각 구단마다 스프링캠프 시작일이 1일(KIA, 한화), 2일(NC, 롯데), 3일(KT, 두산, 삼성, LG, 키움)로 제각각이며 SSG는 설 연휴 첫날인 1월 31일부터 일정을 시작한다. || '''팀명''' || '''선수단 구분''' || '''훈련지''' || '''비고''' || ||<|2><:> [[kt wiz|[[파일:kt wiz 엠블럼.svg|height=40]]]] || 1군 || [[부산광역시]] [[기장군]][br][[기장-현대차 드림 볼파크]] || [*ly 전년도 캠프 동일지역] || || 2군 || [[]] || || ||<|2><:> [[두산 베어스|[[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height=40px]]]] || 2군 || [[경기도]] [[이천시]][br][[베어스 파크]] || || || 1군 || [[]] || || ||<|2><:> [[삼성 라이온즈|[[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height=40px]]]] || 1군 || [[대구광역시]][br][[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 || || || 2군 || [[]] || || ||<|2><:> [[LG 트윈스|[[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height=40px]]]] || 2군 || [[경상남도]] [[통영시]][br]산양스포츠파크 || || || 1군 || [[]] || || ||<|2><:> [[키움 히어로즈|[[파일:키움 히어로즈 엠블럼.svg|height=40px]]]] || 1군 || [[전라남도]] [[고흥군]][br]거금도야구장[br][[전라남도]] [[강진군]][br]강진베이스볼파크 || [* 2021시즌 마무리캠프 지역] || || 2군 || [[전라남도]] [[고흥군]][br]거금도야구장[br][[경기도]] [[고양시]][br][[고양 국가대표 야구훈련장]] || [* 1군 캠프와 함께 훈련하다 강진 캠프 시작하면서 이동] || ||<|2><:> [[SSG 랜더스|[[파일:SSG 랜더스 엠블럼(2021~2023).svg|height=40px]]]] || 2군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br]강창학경기장 || [*ly][* 원래는 [[SK 와이번스]] 시절부터 이용했던 미국 플로리다 베로비치에서 스프링캠프를 진행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확산세가 다시 심각해지면서 캠프지를 제주도로 변경했다.] || || 1군 || [[]] || || ||<|2><:> [[NC 다이노스|[[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height=40]]]] || 1군 || [[경상남도]] [[창원시]][br][[창원 NC 파크]] || [*ly] || || 2군 || [[]] || || ||<|2><:> [[롯데 자이언츠|[[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2018~2022).svg|height=40px]]]] || 1군 || [[경상남도]] [[김해시]][br][[상동 야구장]] || [*ly][* [[사직 야구장]]이 그라운드 리모델링 공사를 진행함에 따라 모든 훈련이 상동에서만 펼쳐진다.] || || 2군 || [[]] || || ||<|2><:> [[KIA 타이거즈|[[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height=40px]]]] || 1군 || [[전라남도]] [[함평군]][br][[기아 챌린저스 필드]] || || || 2군 || [[광주광역시]][br][[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 || || ||<|2><:> [[한화 이글스|[[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height=40px]]]] || 2군 || [[경상남도]] [[거제시]][br]하청스포츠타운 || [*ly] || || 1군 || [[]] || || == 인터넷, 스마트폰 티켓 예매 == * 티켓링크: [[kt wiz]], [[삼성 라이온즈]], [[LG 트윈스]], [[KIA 타이거즈]], [[한화 이글스]] * [[인터파크]]: [[두산 베어스]], [[키움 히어로즈]], [[SSG 랜더스]] * 구단 자체 앱: [[NC 다이노스]], [[롯데 자이언츠]] == 달라지는 점 == === 경기 진행 및 편성 관련 === * 타자 신장에 따른 선수 개인별 스트라이크 존을 철저히 적용하는 방식으로 개선된다. 각 심판의 스트라이크 존 판정을 좌우 홈플레이트와 각 타자의 신장에 맞는 존의 정확성을 중심으로 평가하기로 했다. 스트라이크 존을 개선하기 위해 공식 야구규칙의 스트라이크 존을 최대한 활용해 운영할 수 있도록 했다. * 스트라이크 존 확대로 인한 '투고타저'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각 팀 당 8경기 진행 결과 10개 구단 투수들의 평균 자책점은 2021 정규시즌과 비교해 1.34 낮아진 3.10, 타자들의 평균 타율은 같은 기간과 비교해 3푼 가까이 떨어진 0.231을 기록했다. 평균 자책점, 평균 타율 외에도 이닝 당 투구 수도 지난 시즌 17.5개에서 15.9개로, 9이닝 당 볼넷 수 역시 4.19개에서 3.02개로 크게 줄었다. 경기시간(9이닝 기준)도 3시간 14분에서 3시간 3분으로 단축됐다. * 개막 후 한 달 기준으로 오론슨 타자는 야구공 7개, 왼손 타자는 8개 정도 스트라이크 존이 넓어졌다. [[https://kini.kr/2489|#]] * 지난 시즌 후반기 사라졌던 연장전이 다시 부활했고 더블헤더 및 월요일 경기는 폐지되었다. 즉, 우천취소시 원래대로 정규 일정 종료 후 추후 편성된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76&aid=0003817796|#]] * 개막전부터 관중 100% 입장이 가능하며 관중석 취식도 가능해졌다. 다만 실내 구장인 [[고척 스카이돔]]은 여전히 취식이 불가능했다. 4월 22일부터 전 구장 [[육성 응원]]이 허용되었고, 25일부터는 고척돔에서도 [[취식]]이 허용되었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oid=028&aid=0002587896|#]] * 공동 5위 순위 구별에도 승자승을 무시하고 타이브레이커 게임을 적용한다.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지방선거일]] : 6월 1일(수) - 그 동안 선거일 경기는 투표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위해 평일과 같은 저녁 6시 30분에 편성되었지만, 이번 지방선거일 경기는 일요일/공휴일 경기 시간대인 5시에 편성되었다. [[사전투표]]가 활성화되면서 스포츠 경기가 투표율에 미치는 영향이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 [[고척 스카이돔]]에서 열리는 하계(6~8월) 주말 경기[* 6월 18~19일 LG VS 키움/7월 2~3일 한화 VS 키움/7월 9~10일 NC VS 키움/7월 23~24일 삼성 VS 키움/8월 20~21일 SSG VS 키움] 시간이 오후 2시로 변경되었다. *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지난 2년 동안 열리지 않았던 제2구장 경기가 재개되었다. 2022년 6월 13일 나온 소식에 따르면 삼성의 [[포항 야구장|포항]], 롯데의 [[울산 문수 야구장|울산]] 경기 재개를 추진한다고 하며 한화의 [[청주종합운동장 야구장|청주]] 경기는 시설 개선 문제로 열기가 힘들 것이라고 한다.[* KIA의 군산 경기는 2014년 챔필 이전 후에는 열리지 않고 있다. 군산상고, 전주고가 NC의 1차 지명 대상 학교가 됐기에 군산 경기가 열리지 않는다는 주장이 있으나 둘은 엄연히 별개의 사안이다. 이제 다시 전면 드래프트로 전환한 이상 더욱 의미가 없다.] 그리고 2022년 7월 26일~28일에 열리는 한화 VS 삼성 3연전 개최지가 포항으로 변경되었다. === 선수 관리 및 계약 관련 === * 선수와 구단 간 공정한 계약 문화 정착을 위해 [[문화체육관광부]]가 제정한 프로스포츠 표준계약서에 따라 [[KBO 리그]] 선수 계약서를 개정한다. * [[KBO 리그 2차 드래프트]]가 폐지된다. 2차 드래프트는 지난해 신설된 [[KBO 퓨처스리그 FA]] 제도로 대체되었다. * FA를 신청한 선수가 다음 시즌 한국시리즈 종료일까지 미계약으로 남을 경우에는 해당 선수는 자유 계약 선수가 되고 이후 타 구단과 계약시 별도 보상금은 없다. * 기존에는 FA가 아니면 단년계약만 가능했는데, 2021년 7월 KBO에서 FA가 아닌 선수도 다년계약이 가능하다는 유권해석[* 이는 [[안치홍]]의 2+2년 56억 계약 때문에 KBO가 법률적 검토를 거쳐 유권해석을 다시 한 것이다.][* 유권해석 이전인 2010년, [[박경완]]이 FA가 아닌 상태에서 SK와 2년 14억 계약을 맺어 규약 위반을 저질렀지만 어떤 제재도 받지 않은 적이 있다.]을 내려 이번 시즌부터 본격적으로 적용된다. [[SSG 랜더스]]가 2022 시즌 후 FA인 [[박종훈]], [[문승원]], [[한유섬]]과 다년계약을 미리 체결하여 이 변경된 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 야구와 관련된 유사 행위로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자에 대한 관계자 등록∙활동 제한 규정이 신설되었다. 제재 기준의 명확화 및 체적 타당성 확보를 위해 [[한국야구위원회|KBO]] 규약 제 14장 유해 행위 제재 규정을 정비했으며, 규정의 체계 및 표현을 전반적으로 정리했다. * 학교 폭력 ∙ 인권 침해와 관련한 부적절한 대응으로 사회적 물의를 일의킨 경우 품위 손상 행위로 제재할 수 있도록 규정을 보완하였다. === 유료방송 채널의 중계진 변화 === ||<-3><:>
[[KBS N SPORTS|[[파일:KBS N SPORTS 로고.svg|height=20]]]]|| ||<:><|4>'''영입'''||<:> [[염경엽]] || 前 [[SK 와이번스]] 감독[br]現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기술위원장 || ||<:>[[유희관]] || 前 [[두산 베어스]] 투수 || ||<:>[[이동근(아나운서)|이동근]] || 前 [[SBS Sports]] 아나운서 || ||<:>[[윤희상]] || 前 [[SK 와이번스]] 투수[br]중도 영입[* 2022년 6월 해설위원으로 영입되었고, 2022년 7월 28일 문학 LG-SSG 전에서 해설 데뷔전을 치뤘다.] || ||<:><|3>'''하차'''||<:> [[장정석]] || [[KIA 타이거즈]] 단장 부임 || ||<:> [[봉중근]] || 계약 만료 || ||<:> [[강성철]] || 중계 제외[* 대신 목요일과 일요일 [[아이 러브 베이스볼]] 진행.] || ||<-3><:>[[MBC SPORTS+|[[파일:MBC SPORTS+ 로고.svg|height=20]]]]|| ||<:>'''영입'''||<:> || || ||<:><|2>'''하차'''||<:> [[허구연]] || [[한국야구위원회|KBO]] 총재 취임 || ||<:>[[정용검]] || 퇴사 || ||<-3><:>[[SBS Sports|[[파일:SBS Sports 로고.svg|height=20]]]]|| ||<:><|2>'''영입'''||<:> [[김동수(야구)|김동수]] || 前 [[LG 트윈스]] 2군 감독 || ||<:> [[이준혁(아나운서)|이준혁]] || 前 [[SPOTV]] 아나운서 || ||<:><|2>'''하차'''||<:> [[안경현]] || 계약 만료 || ||<:> [[이동근(아나운서)|이동근]] || [[KBS N SPORTS]] 이직 || ||<-3><:>[[SPOTV|[[파일:SPOTV 로고.svg|height=20]]]]|| ||<:><|2>'''영입'''||<:>[[권혁]] || 前 [[두산 베어스]] 투수 || ||<:>[[정성훈]] || 前 [[KIA 타이거즈]] 코치 || ||<:><|2>'''하차'''||<:> [[김경기]] || 계약 만료 || ||<:> [[이준혁(아나운서)|이준혁]] || [[SBS Sports]] 이직 || == 경기 편성 == * 개막 시리즈: 4월 2일(토) ~ 4월 3일(일) - 2020 시즌 최종 순위에 의거하여 개막 5연전은 창원, 잠실, 수원, 고척, 광주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잠실 2팀 중 아랫순위인 [[LG 트윈스]]는 원정 5연전으로 개막을 맞이하기 때문에 6위 KIA가 홈 어드밴티지를 가져간다. 각 개막전 경기들의 원정팀(LG, 롯데, 삼성, SSG, 한화)은 2018 시즌부터 적용된 방식대로 흥행성을 고려하여 편성한다. 개막은 연기되지 않고 4월 2일(토)에 그대로 개최되었다. * 창원 - [[SSG 랜더스]] VS [[NC 다이노스]] (2020 시즌 1위, 공식 개막전) * 잠실 - [[한화 이글스]] VS [[두산 베어스]] (2020 시즌 2위) * 수원 - [[삼성 라이온즈]] VS [[kt wiz]] (2020 시즌 3위) * 고척 - [[롯데 자이언츠]] VS [[키움 히어로즈]] (2020 시즌 5위) * 광주 - [[LG 트윈스]] VS [[KIA 타이거즈]] (2020 시즌 6위)[* LG는 준플레이오프에서 두산에 패배를 당해 4위를 하면서 잠실 홈 개막전을 치르지 못하게 되었다.] * 어린이날 3연전: 5월 3일(화) ~ 5월 5일(목) - 격년으로 어린이날 홈경기를 번갈아 편성하도록 한 KBO 규정에 따라 [[LG 트윈스|LG]], [[SSG 랜더스|SSG]], [[kt wiz|KT]], [[KIA 타이거즈|KIA]], [[삼성 라이온즈|삼성]]이 홈경기 개최 권한을 갖는다. 공교롭게도 2020 시즌 어린이날 시리즈이자 코로나19로 늦어진 개막 시리즈와 매치업이 같다.[* 당시에 무관중 경기로 인해 어린이 팬들이 야구장을 찾지 못한 점을 감안하여, 일부러 매치업을 똑같이 했을 수도 있다.] * [[두산 베어스]] VS [[LG 트윈스]]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잠실]]) * [[한화 이글스]] VS [[SSG 랜더스]] ([[인천 SSG 랜더스필드|문학]])[* SSG 랜더스로 인수된 이래 첫 어린이날 시리즈 홈경기이다.] * [[롯데 자이언츠]] VS [[kt wiz]] ([[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수원]]) * [[키움 히어로즈]] VS [[KIA 타이거즈]] ([[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광주]]) * [[NC 다이노스]] VS [[삼성 라이온즈]]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대구]]) * [[KBO 올스타전/2022년|올스타전]]: 7월 16일(토)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잠실]][* KBO에서 이번 시즌을 40주년 기념 시즌으로 정하면서 기존 10주년 단위 기념시즌이었던 '1'로 끝나는 해의 개최지인 잠실로 확정되었다. 이때 후공은 두산 베어스가 속해 있는 드림 올스타가 맡을 예정이다.] * 올스타 브레이크: 7월 15일(금) ~ 7월 21일(목) : 2019년 이후 3년만에 올스타 브레이크가 1주일간 실시된다.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9월 10일(토) ~ 9월 25일(일) - 아시안게임 국가대표는 선수 선발 기준을 아시안게임/올림픽 축구 대표팀처럼 24세 이하로 구성하기로 결정하였다.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야구|2018 자카르타-팔렘방 대회]] 당시 [[선동열호/2018년|선수 차출과 리그 중단에 대해 많은 비판 여론]]이 형성된 것을 고려한 것이다. 또한 아시안게임 기간에도 리그를 중단하지 않고 정상 진행하기로 결정하였다.-- 2022년 5월 6일 아시안게임이 잠정 연기되면서 해당 규정은 내년으로 미뤄지게 되었다. * 제2홈구장 경기: [[삼성 라이온즈]]는 7월 26일(화) ~ 7월 28일(목)에 열리는 한화와의 3연전을 [[포항 야구장]]에서, [[롯데 자이언츠]]는 9월 6일(화) ~ 9월 7일(수)에 열리는 KIA와의 2연전을 [[울산 문수 야구장]]에서 개최한다. 다만 [[한화 이글스]]의 [[청주종합운동장 야구장]] 경기는 시설 문제로 열리지 않는다. == 중계 방송 == ||<-7> '''지상파 TV''' || || '''방송 채널''' || ''' [[캐스터]] ''' || ''' [[해설위원]] ''' || || || [[KBS 2TV|[[파일:KBS 2TV 로고.svg|height=16]]]] || [[강승화]] [[이광용]] || [[박용택]] || || || [[MBC|[[파일:MBC 로고.svg|height=13]]]] || [[김나진]] || [[박재홍(야구)|박재홍]] [[이상훈(좌완투수)|이상훈]] || || || [[SBS|[[파일:SBS 로고.svg|height=21]]]] || [[정우영(아나운서)|정우영]] || [[이순철]] [[이승엽]][* [[KBO 와일드카드 결정전/2022년|와일드카드 결정전]] 중계를 끝으로 [[두산 베어스]] 감독으로 부임하면서 하차.] || || ||<-7> '''유료방송''' || || [[KBS N SPORTS|[[파일:KBS N SPORTS 로고.svg|height=15]]]] || [[권성욱]] [[이동근(아나운서)|이동근]] [[이호근]] || [[염경엽]] [[김태균]] [[박용택]][br] [[장성호]] [[유희관]] [[윤희상]] || || || [[MBC SPORTS+|[[파일:MBC SPORTS+ 로고.svg|height=15]]]] || [[정병문]] [[한명재]] [[김수환(아나운서)|김수환]] || [[김선우(1977)|김선우]] [[박재홍(야구)|박재홍]] [[심수창]][br][[심재학]] [[양준혁]] [[이상훈(좌완투수)|이상훈]] || || || [[SBS Sports|[[파일:SBS Sports 로고.svg|height=17]]]] || 유희종 [[윤성호(아나운서)|윤성호]] [[정우영(아나운서)|정우영]] [[이준혁(아나운서)|이준혁]] || [[이동현(1983)|이동현]] [[이순철]] [br][[이종열]] [[김동수(야구)|김동수]] || || || [[SPOTV|[[파일:SPOTV 로고.svg|height=13]]]] / [[SPOTV2|[[파일:SPOTV2 로고.svg|height=14]]]] || [[김민수(아나운서)|김민수]] [[최두영]] [[이승현(캐스터)|이승현]][br][[조주영(아나운서)|조주영]] 김민준 이무형 || [[김재현(1975)|김재현]] [[정성훈]] [[민훈기]][br][[양상문]] [[권혁]] || || ||<-7> '''지역 케이블 SO''' || || [[CMB|[[파일:CMB 로고.svg|height=14]]]] 대전세종충청방송 || 박종훈 || [[이효봉]] ||[* [[한화 이글스]] 대전 홈경기 중계] || || [[CMB|[[파일:CMB 로고.svg|height=14]]]] 광주전남방송 || 신조한 || [[김성한]] ||[* KIA 타이거즈 홈 경기 중계] || ||<-7> '''FM 라디오''' || || [[파일:부산MBC 표준FM.png|height=13]] || 서정모 || [[박승호(야구)|박승호]] ||[* 롯데 자이언츠 홈 경기 중계][* 부산 95.9MHz, 양산 97.7MHz, 기장 106.5MHz] || || [[파일:대구MBC 표준FM.png|height=13]] || 이동훈 서상국 || [[홍승규]] ||[* 삼성 라이온즈 홈 경기 중계][* 대구 96.5MHz, 성서 100.3MHz, 김천 98.7MHz] || || MBC경남 표준FM || 김진철 백근곤 윤동현 || [[염종석]] [[최준석]] ||[* NC 다이노스 창원 홈 경기 중계][* 창원 98.9MHz, 내서 96.7MHz, 진주 91.1MHz, 거창 93.5MHz] || || [[파일:KNN 파워FM.png|height=16]] || 허형범 || [[이광길]] ||[* 롯데 자이언츠 전 경기 중계, 단 더블헤더는 한 경기만 중계][* 부산 99.9MHz, 기장/양산 96.3MHz, 창원 102.5MHz, 진주 105.5MHz, 거창 106.7MHz] || || [[파일:TBC 로고.svg|height=18]] DreamFM || 김대진 || [[최경환(야구)|최경환]] ||[* 삼성 라이온즈 전 경기 중계][* 대구 99.3MHz, 안동/성서 106.5MHz, 포항 99.7MHz] || 2021년 2월 19일 [[이광용의 옐로우카드]] 방영분에서 나온 중계방송이 정해지는 방식에 따라 예상되는 2022년 시즌의 중계 편성 방식은 다음과 같다. [[스포츠 채널|스포츠 전문 채널]]이 주로 진행하는 정규시즌 중계 때는 3연전 또는 2연전이 치러질 때마다 5개 방송 채널([[MBC SPORTS+]], [[KBS N SPORTS]], [[SBS Sports]], [[SPOTV|SPOTV1]], [[SPOTV2]])가 밀어내기 식으로 순서를 돌아가면서 경기 중계를 선택할 수 있다. 만약 주중 3연전 중계 지명에서 MBC SPORTS+가 1순위, SBS Sports가 2순위를 뽑았다면 주말 3연전은 SBS Sports가 1순위, MBC SPORTS+는 마지막 5순위가 되는 식이다. 1순위 픽을 얻은 방송 채널 시청률이 가장 높게 나올 만한 매치업을 먼저 고를 권한이 주어진다. 지상파 중계의 경우, 개막전 픽 순서는 [[MBC]][* 1픽이기 때문에 [[엘롯기]] 중 [[LG 트윈스|두]] [[KIA 타이거즈|팀]]이 맞붙는 [[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광주]] 경기를 무난하게 선택했다. 공교롭게도 2019년과 중계방송 채널, 대진, 구장이 모두 같다.]-[[KBS 2TV|KBS]][* KBS에서는 [[고척 스카이돔|고척]](롯데-키움) 경기를 선택했다고 KBS 야구 메인 캐스터인 [[이광용]] 아나운서가 SNS로 알렸다. 지난해 MBC의 삼성-키움전 처럼 우천을 대비한 픽으로 보인다. 인기팀 롯데가 있고 키움에는 그 유명한 푸이그의 KBO 데뷔전이라는 점도 있다.]-[[SBS]][* SBS에서는 [[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수원]](삼성-KT) 경기를 선택했다. 역시 인기팀인 삼성과 디펜딩 챔피언 KT의 맞대결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KBO 리그/2021년/정규시즌 1위 결정전|지난해 타이브레이커]] 리턴매치'''로 화제성이 높은 경기이기 때문에 선택하게 되었다. 여담으로 SBS는 KT 창단 후 처음 수원 홈경기 중계를 맡게 되었다. 또한 현대 유니콘스 임시 연고지 시절까지 합쳐도 2006년 10월 14일 한화-현대의 플레이오프 2차전 이후 16년만에, 페넌트레이스 한정으로는 2002년 9월 18일 LG-현대전 이후 20년만에 수원에서의 중계를 맡게 되었다.][* 한편 이에 따라 창원, 잠실 경기가 케이블로 밀리게 되었다. [[창원 NC 파크|창원]](SSG-NC) 경기는 공식 개막전임에도 불구하고 [[흥행참패동맹|비교적 인기가 낮은]] 팀간의 대결이라서, 잠실(한화-두산)의 경우 항상 화제성이 높았던 잠실 경기지만 올해는 다른 경기들에 비해 화제성이 떨어져서 밀리게 된 것으로 보인다.], [[어린이날]] 픽 순서는 SBS[* 1픽이기 때문에 어린이날 전통의 [[잠실시리즈|잠실 라이벌전]]을 선택했다.]-MBC[* MBC에서는 [[인천 SSG 랜더스필드|인천]](한화-SSG) 경기를 픽했다. 인천 경기를 택한 이유는 시즌 초 매우 높은 승률로 선두를 질주하는 SSG와 인기팀이지만 올해 단 한번도 지상파 중계가 없는 한화의 맞대결이라는 점 때문으로 보인다.] -KBS[* KBS에서는 [[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광주]](키움-KIA) 경기를 픽하게 되었다. 이 경기는 인기팀 KIA가 있기 때문에 당초 2픽이 유력했으나 MBC에서 인천 경기를 픽하면서 KBS가 가져가게 되었다.] 순이 될 전망이다. 2021년 픽 순서는 개막전은 KBS-SBS-MBC, 어린이날은 MBC-KBS-SBS 순이였다. 포스트시즌 중계 순서는 와일드카드 SBS-MBC, 준PO KBS-SBS-MBC, PO는 KBS-SBS-MBC, KS는 SBS-MBC-KBS 순으로 편성될 전망이다. === 정규시즌 중 지상파 중계 경기 === * 4월 * 4월 2일 (토, 개막전) | 고척 - 롯데 VS 키움 ([[KBS 2TV|KBS2]]) / 수원 - 삼성 VS KT ([[SBS]]) / 광주 - LG VS KIA ([[MBC]]) * 4월 16일 (토) | 문학 - 삼성 VS SSG ([[SBS]]) * 4월 23일 (토) | 고척 - KIA VS 키움 ([[SBS]]) * 4월 30일 (토) | 광주 - 삼성 VS KIA ([[SBS]]) * 5월 * [[어린이날|5월 5일]] (목) | 잠실 - 두산 VS LG ([[SBS]]) / 문학 - 한화 VS SSG ([[MBC]]) / 광주 - 키움 VS KIA ([[KBS 2TV|KBS2]]) * 5월 21일 (토) | 잠실 - 롯데 VS 두산 ([[KBS 2TV|KBS2]]) * 5월 28일 (토) | 광주 - SSG VS KIA ([[KBS 2TV|KBS2]]) / 사직 - 키움 VS 롯데 ([[MBC]]) * 6월 * 6월 18일 (토) | 고척 - LG VS 키움 ([[MBC]]) * 7월 * 7월 23일 (토) | 고척 - 삼성 VS 키움 ([[SBS]]) * 9월 * [[추석|9월 10일]] (토) | 잠실 - KIA VS 두산 ([[MBC]]) === TV 중계가 편성되지 않았던 경기[* 경기의 일부라도 중계방송되지 않았으면 이 항목에 포함.] === * 4월 5일 (화) | 수원 - SSG VS KT: [[SBS Sports]]의 [[V-리그]] 중계 관계로 지연 중계하였다.[*A 네이버 TV로 중계하다가 V리그 경기 종료 후 경기를 중계했다.] * 4월 7일 (목) | 수원 - SSG VS KT: [[SBS Sports]]의 [[V-리그]] 중계 관계로 지연 중계하였다.[*A] * 5월 22일 (일) | 문학 - LG VS SSG / 고척 - 한화 VS 키움: [[SPOTV/문제점 및 사건 사고#s-6.2|SPOTV 방송사고]]로 인해 화면이 심하게 깨지면서 경기 중반 1시간여동안 정상적인 경기 시청이 불가능했다. * 7월 29일 (금) | 잠실 - KT VS LG: [[KBS N SPORTS]] 현장 사정으로 6회초[* 정확히는 5회말 2사 가르시아 타석부터 중계가 불안정해지기 시작했다.]부터의 중계를 하지 않았다. * 8월 17일 (수) | 수원 - 키움 VS KT: [[KBS N SPORTS]]의 [[KOVO컵]] 중계로 인해 생중계를 하지 않고, 녹화중계만을 진행할 예정이었으나, 키움과 KT의 경기가 길어져 9회부터는 정상적으로 중계했다.[*A] * 8월 19일 (금) | 사직 - KT VS 롯데: [[SBS Sports]]의 [[V-리그]] 중계 관계로 지연 중계하였다.[*A] == 캐치프레이즈 == === [[kt wiz]]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시즌 SHOW MAGIC TEAM KT.jpg|width=100%]]}}} || || {{{#ffffff '''2022년도 kt wiz 캐치프레이즈'''}}} || || '''{{{#ffffff SHOW MAGIC! TEAM KT}}}''' || === [[두산 베어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 두산 캐치프레이즈.jpg|width=100%]]}}} || || {{{#ffffff '''2022년도 두산 베어스 캐치프레이즈'''}}} || || {{{#ffffff '''TEAM DOOSAN! 2022'''}}} || === [[삼성 라이온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oneteamonebody.jpg|width=100%]]}}} || || '''{{{#ffffff 2022년 삼성 라이온즈 캐치프레이즈}}}''' || || {{{#ffffff '''ONE TEAM ONE BODY 渾然1體(혼연일체)'''}}}[* 2021년 서브 캐치프레이즈였다.] || === [[LG 트윈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G 트윈스_슬로건_2022년.jpg|width=100%]]}}} || || {{{#ffffff '''2022년도 LG 트윈스 캐치프레이즈'''}}} || || {{{#ffffff '''무적 LG! 끝까지 TWINS!'''}}}[* 2021 캐치프레이즈와 동일하다.] || === [[키움 히어로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키움 2022년 캐치프레이즈.png|width=100%]]}}} || || {{{#ffffff '''2022년도 키움 히어로즈 슬로건'''}}} || || {{{#ffffff '''BE THE HEROES'''}}} || === [[SSG 랜더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랜더스캐치프라이즈.jpg|width=100%]]}}} || || '''{{{#ffffff 2022년 SSG 랜더스 캐치프레이즈}}} ''' || || '''{{{#ffffff NO LIMITS, AMAZING LANDERS}}}[* 2021년에 이어 같은 캐치프레이즈다.]''' || === [[NC 다이노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엔씨2022캐치프레이즈.jpg|width=100%]]}}} || || {{{#ffffff '''2022년도 NC 다이노스 캐치프레이즈'''}}} || || '''{{{#00275a 거침없이 가자, hands UP!}}}''' || === [[롯데 자이언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in the moment.png|width=100%]]}}} || || {{{#ffffff '''2022년도 롯데 자이언츠 캐치프레이즈'''}}} || || {{{#ffffff '''WIN THE MOMENT'''}}} || === [[KIA 타이거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 KIA 타이거즈 팀 슬로건.jpg|width=100%]]}}} || || {{{#ffffff '''2022년도 KIA 타이거즈 캐치프레이즈'''}}} || || {{{#ffffff '''포효하라_Always KIA TIGERS'''}}} || === [[한화 이글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djdjwsg.jpg|width=100%]]}}} || || {{{#ffffff '''2022년 한화 이글스 캐치프레이즈'''}}} || || {{{#ffffff '''OUR TIME HAS COME : 2022'''}}} || == [[KBO 시범경기]] == 2022년 3월 12일부터 팀당 16경기를 무관중으로 진행한다.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308_0001785682&cID=10502&pID=10500| ]] === [[KBO 시범경기]] 순위 === || '''{{{#white 순위}}}''' || '''{{{#white 구단}}}''' || '''{{{#white 경기수}}}''' || '''{{{#white 승}}}''' || '''{{{#white 무}}}''' || '''{{{#white 패}}}''' || '''{{{#white 승률}}}''' || '''{{{#white 승차}}}''' || '''{{{#white 정규리그 성적}}}''' || '''{{{#white 최종 성적}}}''' || '''{{{#white 상세}}}''' || || 1위 || [[LG 트윈스]] || 13 || 8 || 2 || 3 || 0.727 || 0.0 || 2위 || 3위 || [[LG 트윈스/2022년/연습·시범경기|#]] || || 1위 || [[롯데 자이언츠]] || 13 || 8 || 2 || 3 || 0.727 || 0.0 || 8위 || 8위 || [[롯데 자이언츠/2022년/시범경기|#]] || || 1위 || [[KIA 타이거즈]] || 13 || 8 || 2 || 3 || 0.727 || 0.0 || 5위 || 5위 || [[KIA 타이거즈/2022년/시범경기|#]] || || 4위 || [[kt wiz]] || 12 || 5 || 4 || 3 || 0.625 || 1.5 || 4위 || 4위 || [[kt wiz/2022년/시범경기|#]] || || 5위 || [[삼성 라이온즈]] || 12 || 5 || 2 || 5 || 0.625 || 2.5 || 7위 || 7위 || [[삼성 라이온즈/2022년/시범경기|#]] || || 6위 || [[SSG 랜더스]] || 13 || 5 || 2 || 6 || 0.455 || 3.0 || 1위 || 1위 || [[SSG 랜더스/2022년/시범경기|#]] || || 7위 || [[NC 다이노스]] || 14 || 5 || 2 || 7 || 0.417 || 3.5 || 6위 || 6위 || [[NC 다이노스/2022년/시범경기|#]] || || 7위 || [[한화 이글스]] || 14 || 5 || 2 || 7 || 0.417 || 3.5 || 10위 || 10위 || [[한화 이글스/2022년/시범경기|#]] || || 9위 || [[키움 히어로즈]] || 16 || 4 || 3 || 9 || 0.308 || 5.0 || 3위 || 2위 || [[키움 히어로즈/2022년/시범경기|#]] || || 10위 || [[두산 베어스]] || 12 || 1 || 3 || 8 || 0.111 || 6.0 || 9위 || 9위 || [[두산 베어스/2022년/시범경기|#]] || == 정규시즌 == === 코칭 스태프 변경 === === 선수 이동 === ==== 트레이드 ==== ||<-6> {{{#ffffff '''2022 정규시즌 중 트레이드'''}}} || || '''일자''' || '''팀''' || '''트레이드 선수''' || '''↔''' || '''트레이드 선수''' || '''팀''' || || [[2022년]] [[4월 23일]] || [[KIA 타이거즈|[[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height=40px]]]] || [[이진영(1997)|이진영]] (외야수)[br][[이민우(야구선수)|이민우]] (투수) || ↔ || [[김도현(2000)|김도현]] (투수) || [[한화 이글스|[[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height=40px]]]] || || [[2022년]] [[4월 24일]] || [[키움 히어로즈|[[파일:키움 히어로즈 엠블럼.svg|height=40px]]]] || [[박동원]] (포수) || ↔ || [[김태진(1995)|김태진]] (내야수)[br]현금 10억[br]신인 지명권 {{{-2 (2023 2R)}}} || [[KIA 타이거즈|[[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height=40px]]]] || || [[2022년]] [[5월 9일]] || [[SSG 랜더스|[[파일:SSG 랜더스 엠블럼(2021~2023).svg|height=40px]]]] || [[김정빈]] (투수)[br][[임석진]] (내야수) || ↔ || [[김민식(야구선수)|김민식]] (포수) || [[KIA 타이거즈|[[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height=40px]]]] || || [[2022년]] [[5월 21일]] || [[kt wiz|[[파일:kt wiz 엠블럼.svg|height=40px]]]] || 신인 지명권 {{{-2 (2023 5R)}}} || ↔ || [[장준원]] (내야수) || [[LG 트윈스|[[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height=40px]]]] || || [[2022년]] [[5월 22일]] || [[kt wiz|[[파일:kt wiz 엠블럼.svg|height=40px]]]] || [[정성곤]] (투수) || ↔ || [[이채호]] (투수) || [[SSG 랜더스|[[파일:SSG 랜더스 엠블럼(2021~2023).svg|height=40px]]]] || || [[2022년]] [[6월 21일]] || [[kt wiz|[[파일:kt wiz 엠블럼.svg|height=40px]]]] || [[류희운]] (투수) || ↔ || [[이시원(야구선수)|이시원]] (외야수) || [[한화 이글스|[[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height=40px]]]] || ==== 영입 및 은퇴, 방출 ==== ||<-3> {{{#ffffff '''2022 정규시즌 중 영입 및 은퇴, 방출 선수'''}}} || || '''팀''' || {{{#ffffff '''영입 선수'''}}} || {{{#ffffff '''은퇴, 방출 선수'''}}} || || {{{#ffffff '''KT'''}}} || || [[안영명]], [[안현준(야구선수)|안현준]] || || {{{#ffffff '''두산'''}}} || || [[유재유]], [[황경태]] || || {{{#ffffff '''삼성'''}}} || || [[강도훈]], [[권정웅]], [[임대한]], [[최영진]] || || {{{#ffffff '''LG'''}}} || || [[박재욱(야구선수)|박재욱]] || || {{{#ffffff '''키움'''}}} || || [[강민국]], [[김대한(투수)|김대한]], [[김민수(1998년 12월)|김민수]], [[김현우(2001)|김현우]], [[박관진]], [[박정훈(2003)|박정훈]], [[배현호]], [[오성민(1999)|오성민]], [[정재원(2001)|정재원]] || || {{{#ffffff '''SSG'''}}} || || [[김민재(외야수)|김민재]], [[김상수(투수)|김상수]], [[김태우(1995)|김태우]], [[박제범]], [[신동민]], [[이희재(야구선수)|이희재]], [[조이현(야구선수)|조이현]], [[하성진]] || || {{{#ffffff '''NC'''}}} || [[권정웅]] || [[노상혁]], [[손정욱]], [[전민수]], [[정현(야구선수)|정현]] || || {{{#ffffff '''롯데'''}}} || || || || {{{#ffffff '''KIA'''}}} || || [[강경학]], [[김승범]], [[김현준(1997)|김현준]], [[백현종(야구선수)|백현종]], [[윤민석(야구선수)|윤민석]], [[최정민(1989)|최정민]], [[홍상삼]] || || {{{#ffffff '''한화'''}}} || [[김태욱(야구선수)|김태욱]], [[신제왕]], [[오세훈(야구선수)|오세훈]], [[한경빈]] || [[강상원(야구선수)|강상원]], [[김기탁]], [[김준석(야구선수)|김준석]], [[김태욱(야구선수)|김태욱]], [[신정락]], [[신제왕]], [[안창호(야구선수)|안창호]], [[이종완]], [[이해창(1987)|이해창]], [[임준섭]], [[전승우]], [[최이경]], [[최현준(1999년 9월)|최현준]], [[황영국]] || ==== 외국인 선수 교체 ==== ||<-9> {{{#ffffff '''2022 시즌 외국인 선수 교체'''}}} || ||<|2> '''팀''' ||<|2> '''포지션''' ||<-3> '''방출 외국인''' ||<-4> '''대체 외국인''' || || '''이름''' || '''방출 일자''' || '''방출 사유''' || '''이름''' || '''국적''' || '''영입 일자''' || '''총액''' || ||<|2> '''KT''' || 투수 || [[윌리엄 쿠에바스]] || 5월 18일 || 팔꿈치 부상 || [[웨스 벤자민]]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USA]] || 5월 18일 || 33.1만 달러 || || 타자 || [[헨리 라모스]] || 5월 26일 || 발가락 부상 || [[앤서니 알포드]]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USA]] || 5월 26일 || 57.7만 달러 || || '''LG''' || 타자 || [[리오 루이즈]] || 5월 30일 || 성적 부진 || [[로벨 가르시아]] ||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width=30]] [[도미니카 공화국|DOM]] || 6월 5일 || 18만 달러 || ||<|2> '''한화''' || 투수 || [[라이언 카펜터]] || 5월 31일 || 팔꿈치 부상 || [[예프리 라미레즈]] ||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width=30]] [[도미니카 공화국|DOM]] || 6월 1일 || 60만 달러 || || 투수 || [[닉 킹험]] || 6월 2일 || 팔꿈치 부상 || [[펠릭스 페냐]] ||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width=30]] [[도미니카 공화국|DOM]] || 6월 9일 || 50만 달러 || || '''KIA''' || 투수 || [[로니 윌리엄스]] || 6월 28일 || 성적 부진 || [[토마스 파노니]]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USA]] || 6월 28일 || 30만 달러 || ||<|2> '''SSG''' || 타자 || [[케빈 크론]] || 7월 8일 || 성적 부진 || [[후안 라가레스]] ||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width=30]] [[도미니카 공화국|DOM]] || 7월 8일 || 49.5만 달러 || || 투수 || [[이반 노바]] || 7월 12일 || 성적 부진 || [[숀 모리만도]]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USA]] || 7월 12일 || 23만 달러 || || '''두산''' || 투수 || [[아리엘 미란다]] || 7월 13일 || 어깨 부상 || [[브랜든 와델]]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USA]] || 7월 13일 || 23만 달러 || ||<|2> '''롯데''' || 타자 || [[DJ 피터스]] || 7월 19일 || 성적 부진 || [[잭 렉스]]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USA]] || 7월 20일 || 31만 달러 || || 투수 || [[글렌 스파크맨]] || 7월 31일 || 성적 부진 || [[댄 스트레일리]]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USA]] || 8월 2일 || 40만 달러 || || '''NC''' || 투수 || [[웨스 파슨스]] || 8월 5일 || 허리 부상 || [[맷 더모디]]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USA]] || 8월 11일 || 22만 달러 || === 신인 드래프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KBO 리그/2023년/신인드래프트)] === 주요 사건 및 달성 기록 === ==== 4월 ==== * 4월 2일 * 3년 만에 개막전에 100% 관중 입장이 가능하게 되었다. 다만 전구장 모두 매진에는 실패했다.[* 이날 최다 관중은 수원 삼성 VS KT 전의 17,057명.] * [[윌머 폰트]]가 NC를 상대로 KBO 최초 정규이닝 퍼펙트를 기록했다. 그러나 타선의 불발 및 투수 교체로 인해 KBO 최초 퍼펙트 게임은 무산되었고 대신 KBO 역대 2번째 팀 합작 노히트 노런을 기록했다. * 4월 5일: [[김현수(1988)|김현수]]가 KBO 역대 18번째 1,000득점을 기록했다. * 4월 6일: [[김현수(1988)|김현수]]가 KBO 역대 18번째 3,000루타를 기록했다. * 4월 13일 : SSG 랜더스가 KBO 역대 2번째 '''개막 10연승'''을 달성했다. * 4월 14일 * [[양현종]]이 KBO 역대 7번째 2,000이닝 투구를 기록했다. * [[손아섭]]이 KBO 역대 19번째 3,000루타를 기록했다. * 4월 19일: [[이용규]]가 KBO 역대 15번째 [[성구회|2,000안타]]를 기록했다. * 4월 22일: 이날부터 전구장에서 [[육성 응원]]이 가능하게 됐다. * 4월 23일: 대구 롯데-삼성 전에서 [[구자욱]]과 [[글렌 스파크맨]] 간의 [[벤치 클리어링]]이 발생했다. 이는 2019년 4월 28일 잠실 롯데-두산 전 이후 3년 만이자 코로나19 사태 이후 첫 [[벤치 클리어링]]이다. ==== 5월 ==== * 5월 5일: 어린이날 수원(롯데 VS KT), 문학(한화 VS SSG) 경기가 매진되면서 코로나 이후 100% 관중 입장 페넌트레이스 경기로는 처음 매진 사례를 기록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 날 수원에서는 [[글렌 스파크맨]]이 [[제로퀵]]을 당했다. * 5월 10일: [[박세웅]]이 KBO 역대 8번째, 롯데 최초로 1이닝 9구 3탈삼진을 기록했다. * 5월 11일: [[NC 다이노스]]의 [[이동욱(야구)|이동욱]] 감독이 성적 부진과 침체된 분위기 쇄신을 이유로 전격 경질되었다. 당분간은 [[강인권]] 수석코치가 대행을 맡고 차기 감독 후보를 찾을 예정이라고 한다. * 5월 14일: 삼성의 [[데이비드 뷰캐넌]]이 두산을 상대로 완봉승을 기록했다. 이는 2022 시즌 첫 완봉승이자 개인 통산 2번째 완봉승이다. * 5월 17일: [[기록 이의 신청 심의 제도]]가 도입되었다. * 5월 18일: KT가 [[윌리엄 쿠에바스]]를 외인 1호 웨이버 공시했다. 대체 선수는 [[웨스 벤자민]]이다. * 5월 19일 * [[양현종]]이 KBO 역대 4번째이자 최연소 통산 150승을 달성했다. * [[오승환]]이 KBO 최초 통산 350세이브를 달성했다. * 5월 20일 * [[최정]]이 KBO 역대 6번째이자 최연소 3,500루타를 달성했다. * 5월 26일: KT가 [[헨리 라모스]]를 외인 2호 웨이버 공시했다. 대체 선수는 [[앤서니 알포드]]이다. * 5월 30일: LG가 [[리오 루이즈]]를 외인 3호 웨이버 공시했다. 성적 부진으로 인한 첫 웨이버 공시다. 대체 선수는 [[로벨 가르시아]]다. * 5월 31일 * 한화가 [[라이언 카펜터]]를 외인 4호 웨이버 공시했다. 대체 선수는 [[예프리 라미레즈]]다. * [[김현수(1988)|김현수]]가 KBO 역대 16번째 2,000안타를 기록했다.[* [[성구회]]는 한미일 통합으로 기록하기 때문에 이미 2021년 6월 10일에 가입했다.] ==== 6월 ==== * 6월 2일: 한화가 [[닉 킹험]]을 외인 5호 웨이버 공시했다. 대체 선수는 [[펠릭스 페냐]]이다. * 6월 15일: [[최정]]이 17년 연속 두자릿수 홈런을 기록하면서 자신이 보유하고 있던 기록을 경신하였다. * 6월 21일: [[박병호]]가 KBO 역대 최초 9년 연속 20홈런을 달성하였다. * 6월 22일: [[한화 이글스]]가 [[LG 트윈스]]를 상대로 패배하면서 KBO 리그 사상 최초 3년 연속 10연패 달성, 2년 연속 10연패 달성 2번[* 2009~2010, 2020~2022]이라는 불명예 기록을 달성했다. * 6월 24일: [[최정]]이 KBO 역대 최초 300사구를 기록하였다. 이날 [[윌머 폰트]]가 9경기 연속 퀄리티스타트 플러스를 기록하며, 외국인 최다 연속 퀄리티 스타트 플러스 기록을 세웠다. * 6월 26일: [[김대유]]가 신청한 기록 정정 신청이 KBO 최초로 받아들여져, 기록이 정정되었다. 이는 21일 잠실구장에서 거행된 한화와 LG의 경기 중 7회초 1사 상황에서 한화 타자 정은원이 LG 투수 김대유를 상대로 친 타구에 2루수 손호영이 실책성 수비를 범했음에도 내야안타가 기록되자 김대유가 실책으로 정정해달라고 신청을 한 것이며, 김대유의 신청이 받아들여짐에 따라 2루수 송구 실책으로 정정되었다. 이에 따라 김대유의 피안타와 자책점이 1점 줄고, 정은원의 안타가 1개 줄었다 * 6월 28일: KIA가 [[로니 윌리엄스]]를 외인 6호 웨이버 공시했다. 대체 선수는 [[토마스 파노니]]이다. ==== 7월 ==== * 7월 8일: SSG가 [[케빈 크론]]을 외인 7호 웨이버 공시했다. 대체 선수는 [[후안 라가레스]]이다. * 7월 12일: SSG가 [[이반 노바]]를 외인 8호 웨이버 공시했다. 대체 선수는 [[숀 모리만도]]이다. * 7월 13일: 두산이 [[아리엘 미란다]]를 외인 9호 웨이버 공시했다. 대체 선수는 [[브랜든 와델]]이다. * 7월 18일: 롯데가 [[DJ 피터스]]를 외인 10호 웨이버 공시했다. 대체 선수는 [[잭 렉스]]이다. * 7월 23일: [[대전 한화생명 이글스파크]]에서 열린 KT와 한화와의 경기에서 8회초 [[조용호(야구선수)|조용호]]의 타석에서 116분간 우천 관련으로 경기가 중단되다 콜드게임 선언으로 KT가 승리했다. 116분 중단은 KBO 역대 최장 중단 기록의 타이 기록이다. * [[KIA 타이거즈/2022년/7월/24일|7월 24일]]: [[사직 야구장]]에서 열린 KIA와 롯데의 경기가 23:0, KIA 승으로 종료되면서 역대 최다 점수 차 경기 기록이 경신되었다. * 7월 31일: 롯데가 [[글렌 스파크맨]]을 외인 11호 웨이버 공시했다. 대체 선수는 [[댄 스트레일리]]이다. ==== 8월 ==== * 8월 1일: [[삼성 라이온즈]] [[허삼영]] 감독이 성적 부진을 사유로 자진사퇴했다. 잔여 시즌은 [[박진만]] 대행으로 진행된다. * 8월 4일: [[박해민]]이 KBO 역대 3번째 9년 연속 20도루를 달성하였다. * 8월 5일: NC가 [[웨스 파슨스]]를 외인 12호 웨이버 공시했다. 대체 선수는 [[맷 더모디]]이다. * 8월 6일: [[최정]]이 만 35세 5개월 9일의 나이에 2,000경기 출장을 달성하면서 역대 16번째 2,000경기 출장과 함께, 최연소 2,000경기 출장 기록을 경신하였다. * 8월 14일 * 최정이 역대 5번째 3,600루타를 달성했다. * [[이대호]]가 한미일 통산 안타 2,843개를 기록하면서 [[이승엽]]의 통산 안타 기록을 경신하였다. ==== 9월 ==== * 9월 1일: KIA의 [[나지완]]이 현역 은퇴 선언을 했다. * 9월 6일: KBO가 주말(토, 일) 취소경기를 월요일에 편성하는 안을 발표했다. * 9월 7일 * 최정이 역대 3번째 7년 연속 20홈런을 달성했다. * SSG가 10개팀 중 처음으로 포스트시즌 진출을 확정지었다. * 9월 9일: 한화가 10개팀 중 처음으로 포스트시즌 진출 실패를 확정지었다. * 9월 10일: 한화가 [[박종훈]]을 상대로 2,235일 만에 승리를 거두며 박종훈 상대 16연패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 9월 22일: 한화의 [[장시환]]이 [[심수창]]에 이어 투수 최다 연패 타이 기록인 18연패를 달성했다. * 9월 27일: LG의 [[고우석]]이 한화를 상대로 역대 최연소 40세이브를 기록하였다. * 9월 28일 * 두산의 [[오재원]], [[이현승]]이 현역 은퇴 선언을 했다. * LG의 [[진해수]]가 한화를 상대로 역대 3번째 개인 통산 150홀드 기록을 세웠다. ==== 10월 ==== * 10월 4일: [[LG 트윈스]]가 [[KIA 타이거즈]]에 패하면서 [[SSG 랜더스]]가 2022년 정규시즌 우승을 확정지었다. 이는 KBO 최초의 [[와이어 투 와이어]] 우승이다. * 10월 6일: LG가 [[로벨 가르시아]]를 외인 13호 웨이버 공시했다. LG는 외인 타자 없이 남은 경기와 플레이오프를 치룰 예정이다. * 10월 7일: [[나지완]]의 은퇴식이 진행되었다. * 10월 8일: [[이대호]]와 [[오재원]]의 은퇴식이 진행되었다. 특히, [[이대호]]의 경우 은퇴식과 함께 영구결번식이 동시에 진행되었다. 전날 나지완을 상대한 KT의 [[전유수]]도 경기 종료 후 은퇴를 선언하였다. * 10월 11일: [[두산 베어스]]가 [[김태형(1967)|김태형]] 감독과의 재계약을 포기하면서 계약 만료로 물러났다. * 10월 12일: [[NC 다이노스]]가 [[강인권]] 감독대행을 정식 감독으로 선임하였다. * 10월 13일: [[KBO 와일드카드 결정전/2022년|와일드카드 결정전]]에서 정규시즌 4위 [[kt wiz]]가 정규시즌 5위 [[KIA 타이거즈]]를 꺾고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 10월 14일: [[두산 베어스]]가 [[이승엽]]을 감독으로 선임하였다. * 10월 22일: [[KBO 준플레이오프/2022년|준플레이오프]]에서 정규시즌 3위 [[키움 히어로즈]]가 정규시즌 4위 [[kt wiz]]를 3승 2패로 꺾고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 10월 26일: [[삼성 라이온즈]]가 [[박진만]] 감독대행을 정식 감독으로 선임하였다. * 10월 28일: [[KBO 플레이오프/2022년|플레이오프]]에서 정규시즌 3위 [[키움 히어로즈]]가 정규시즌 2위 [[LG 트윈스]]를 3승 1패로 꺾고 한국시리즈에 진출했다. ==== 11월 ==== * 11월 4일: [[LG 트윈스]]가 [[류지현(야구)|류지현]] 감독과의 재계약을 포기하면서 계약 만료로 물러났다. * 11월 6일: LG 트윈스가 [[염경엽]]을 감독으로 선임하였다. * 11월 8일: [[2022년 한국시리즈]]에서 정규시즌 1위 [[SSG 랜더스]]가 정규시즌 3위 [[키움 히어로즈]]를 4승 2패로 꺾고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SSG의 통산 5번째 우승이자 인수 이후 첫 우승으로, KBO 최초의 [[와이어 투 와이어]] 통합우승이다. === 구단별 시즌 기록 === [include(틀:KBO 리그 구단별 2022 시즌)] === [[/순위 경쟁|정규시즌 진행]]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KBO 리그/2022년/순위 경쟁)] ==== 정규시즌 최종 순위 ==== [include(틀:KBO 리그 순위표/2022 시즌)] == 시즌 정리 == === 시즌 최종 순위 === || '''{{{#white 순위}}}''' || '''{{{#white 팀}}}''' || '''{{{#white 경기수}}}''' || '''{{{#white 승}}}''' || '''{{{#white 무}}}''' || '''{{{#white 패}}}''' || '''{{{#white 게임차}}}''' || '''{{{#white 승률}}}''' || || 1 || [[SSG 랜더스]] || 144 || 88 || 4 || 52 || 0.0 || 0.629 || || 2 || [[키움 히어로즈]] || 144 || 80 || 2 || 62 || 9.0 || 0.563 || || 3 || [[LG 트윈스]] || 144 || 87 || 2 || 55 || 2.0 || 0.613 || || 4 || [[kt wiz]] || 144 || 80 || 2 || 62 || 9.0 || 0.563 || || 5 || [[KIA 타이거즈]] || 144 || 70 || 1 || 73 || 19.5 || 0.490 || || 6 || [[NC 다이노스]] || 144 || 67 || 3 || 74 || 21.5 || 0.475 || || 7 || [[삼성 라이온즈]] || 144 || 66 || 2 || 76 || 23.0 || 0.465 || || 8 || [[롯데 자이언츠]] || 144 || 64 || 4 || 76 || 24.0 || 0.457 || || 9 || [[두산 베어스]] || 144 || 60 || 2 || 82 || 29.0 || 0.423 || || 10 || [[한화 이글스]] || 144 || 46 || 2 || 96 || 43.0 || 0.324 || === 정규시즌 타이틀 === * 실제로 수상이 이루어지는 타이틀은 '''굵은 글씨'''로 표기. ==== 타자/공격 ==== || '''타이틀''' || '''선수명''' || '''소속팀''' || '''기록''' || '''비고''' || || '''수위 타자''' ||<|2> [[이정후]] ||<|2> [[키움 히어로즈]] || 0.349 || 2년 연속 타격왕 || || '''최다 안타''' || 193개 || || || '''홈런''' || [[박병호]] || [[kt wiz]] || 35개 || 통산 6번째 홈런왕 || || '''타점''' || [[이정후]] || [[키움 히어로즈]] || 113타점 || || || '''도루''' || [[박찬호(1995)|박찬호]] || [[KIA 타이거즈]] || 42개 || 통산 2번째 도루왕 || || '''득점''' || [[호세 피렐라]] || [[삼성 라이온즈]] || 102득점 || || || '''출루율''' ||<|2> [[이정후]] ||<|2> [[키움 히어로즈]] || 0.421 || || || '''장타율''' || 0.575 || [[이대호]] 이후 12년만의 타격 5관왕 || || 사사구 || [[정은원]] || [[한화 이글스]] || 86개 || 볼넷 85개 + 몸에 맞는 공 1개 || || 몸에 맞는 공 || [[채은성]][br][[최재훈(야구선수)|최재훈]] || [[LG 트윈스]][br][[한화 이글스]] || 21개 || || || 피삼진 || [[한유섬]][br][[나성범]] || [[SSG 랜더스]][br][[KIA 타이거즈]] || 137개 || || || 병살타 || [[호세 미겔 페르난데스|페르난데스]] || [[두산 베어스]] || 34개 || 단일 시즌 최다 병살타 신기록 || ==== 투수/수비 ==== || '''타이틀''' || '''선수명''' || '''소속팀''' || '''기록''' || '''비고''' || || '''다승''' || [[케이시 켈리]] || [[LG 트윈스]] || 16승 || || || '''탈삼진''' || [[안우진]] || [[키움 히어로즈]] || 224개 || 단일시즌 최다 탈삼진 역대 2위 || || '''세이브''' || [[고우석]] || [[LG 트윈스]] || 42세이브 || 구단 역대 최다 세이브[br]KBO 리그 최연소 40세이브 || || '''홀드''' || [[정우영(야구선수)|정우영]] || [[LG 트윈스]] || 35홀드 || 구단 역대 최다 홀드 || || '''평균자책점''' || [[안우진]] || [[키움 히어로즈]] || 2.11 || || || '''승률''' || [[엄상백]] || [[kt wiz]] || 0.846 || 시즌 11승 2패 || || 이닝 || [[안우진]] || [[키움 히어로즈]] || 196.0이닝 || || || 등판 || [[김범수(야구선수)|김범수]] || [[한화 이글스]] || 78경기 || || || 피홈런 || [[백정현]] || [[삼성 라이온즈]] || 22개 || || || 피안타 || [[오드리사머 데스파이네|데스파이네]] || [[kt wiz]] || 198개 || || || 사사구 허용 || [[김민우(1995)|김민우]] || [[한화 이글스]] || 92개 || 볼넷 84개 + 몸에 맞는 공 8개 || || 패전 || [[백정현]], [[임기영]], [[최원준(1994)|최원준]] || [[삼성 라이온즈]], [[KIA 타이거즈]], [[두산 베어스]] || 13패 || || || 몸에 맞는 공 허용 || [[찰리 반즈|반즈]] || [[롯데 자이언츠]] || 18개 || || || 야수 실책 || [[박성한]] || [[SSG 랜더스]] || 24개 || || || 팀 실책 ||<-2> [[한화 이글스]] || 134개 || || || 투수 폭투 || [[김민우(1995)|김민우]] || [[한화 이글스]] || 13개 || || || 블론세이브 || [[오승환]] || [[삼성 라이온즈]] || 7개 || || === 정규시즌 sWAR 상위 선수 === * 스탯티즈 타격/투구 WAR 기준 5 이상 * [[KBO MVP]] 수상자는 '''볼드체'''로 표시 || '''팀명''' || '''선수''' || '''포지션''' || '''sWAR''' || '''주요 기록''' || || '''{{{#ffffff 키움}}}''' || '''[[이정후]]''' || CF || 9.23 || '''142경기 553타수 193안타 23홈런 113타점 85득점 타율 0.349 OPS 0.996''' || || '''{{{#ffffff 키움}}}''' || [[안우진]] || P || 7.92 || 30경기 30선발 196이닝 15승 8패 224탈삼진 ERA 2.11 WHIP 0.95 || || '''{{{#ffffff 삼성}}}''' || [[호세 피렐라|피렐라]] || LF || 7.40 || 141경기 561타수 192안타 28홈런 15도루 109타점 102득점 타율 0.342 OPS 0.976 || || '''{{{#ffffff KIA}}}''' || [[나성범]] || RF || 6.50 || 144경기 563타수 180안타 21홈런 97타점 92득점 타율 0.320 OPS 0.910 || || '''{{{#ffffff SSG}}}''' || [[김광현]] || P || 6.10 || 28경기 28선발 173⅓이닝 13승 3패 153탈삼진 ERA 2.13 WHIP 1.07 || || '''{{{#ffffff LG}}}''' || [[오지환]] || SS || 5.77 || 142경기 494타수 133안타 25홈런 20도루 87타점 75득점 타율 0.269 OPS 0.827 || || '''{{{#ffffff 키움}}}''' || [[에릭 요키시|요키시]] || P || 5.68 || 30경기 30선발 185⅓이닝 10승 8패 154탈삼진 ERA 2.57 WHIP 1.09 || || '''{{{#ffffff 삼성}}}''' || [[알버트 수아레즈|수아레즈]] || P || 5.28 || 30경기 29선발 173⅔이닝 6승 8패 159탈삼진 ERA 2.49 WHIP 1.16 || || '''{{{#ffffff LG}}}''' || [[케이시 켈리|켈리]] || P || 5.19 || 27경기 27선발 166⅓이닝 16승 4패 153탈삼진 ERA 2.54 WHIP 1.15 || || '''{{{#ffffff SSG}}}''' || [[윌머 폰트|폰트]] || P || 5.19 || 28경기 28선발 184이닝 13승 6패 170탈삼진 ERA 2.69 WHIP 0.95 || || '''{{{#ffffff SSG}}}''' || [[최정]] || 3B || 5.15 || 121경기 414타수 110안타 26홈런 87타점 80득점 타율 0.266 OPS 0.891 || == [[KBO 포스트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KBO 리그/2022년 포스트시즌)] * 포스트시즌 진출 팀: [[SSG 랜더스]], [[LG 트윈스]], [[키움 히어로즈]], [[kt wiz]], [[KIA 타이거즈]] == --[[MLB 월드 투어: 코리아 시리즈 2022]]--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MLB 월드 투어: 코리아 시리즈 2022)] 취소되었다. == 관중 통계 == ||<-7> {{{#ffffff '''2022 시즌 관중 현황'''}}} || || '''기간''' || '''총 관중''' || '''경기당 관중''' || '''누적 관중''' || '''최다 관중 구단''' || '''최소 관중 구단''' || '''비고''' || || '''4월''' || 853,899 || 6,942 || 853,899 || [[SSG 랜더스|SSG]] (144,523) || [[NC 다이노스|NC]] (48,323) || || || '''5월''' || 1,261,532 || 9,779 || 2,115,431 || [[LG 트윈스|LG]] (231,699) || [[키움 히어로즈|키움]] (46,295) || 5월 5일 '''100만''' 돌파[br]5월 28일 '''200만''' 돌파 || || '''6월''' || 947,754 || 8,100 || 3,063,185 || [[LG 트윈스|LG]] (127,863) || [[NC 다이노스|NC]] (52,243) || 6월 26일 '''300만''' 돌파 || || '''7월''' || 778,392 || 8,194 || 3,841,577 || [[SSG 랜더스|SSG]] (136,409) || [[한화 이글스|한화]] (30,585) || || || '''8월''' || 843,451 || 7,738 || 4,685,028 || [[LG 트윈스|LG]] (152,496) || [[두산 베어스|두산]] (44,945) || 8월 6일 '''400만''' 돌파 || || '''9월''' || 1,050,431 || 8,827 || 5,735,459 || [[SSG 랜더스|SSG]] (240,479) || [[한화 이글스|한화]] (49.693) || 9월 10일 '''500만''' 돌파 || || '''10월''' || 340,615 || 12,165 || 6,076,074 || [[LG 트윈스|LG]] (56,470) || [[kt wiz|KT]] (23,212)[* 10월에 홈에서 경기가 안 열린 키움과 SSG 제외] || 10월 8일 '''600만''' 돌파 || ||<-2> {{{#fff 총합}}} || 8,439 || 6,076,074 || [[SSG 랜더스|SSG]] (981,546) || [[키움 히어로즈|키움]] (349,773) || 포스트시즌 제외 || || '''PS''' || 275,883 || 17,243 || 6,351,957 || || || || [[분류:KBO 리그/202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