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개표방송)] [include(틀:SBS 국민의 선택(접기))]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bs2022.jpg|width=100%]]}}} || || {{{#ffffff '''채널'''}}} ||<-2> [[SBS|[[파일:SBS 로고.svg|width=60]]]] || || {{{#ffffff '''제작'''}}} ||<-2> [[SBS NEWS|[[파일:SBS NEWS 가로.png|height=20]]]] || || {{{#ffffff '''기획'''}}} ||<-2> || || {{{#ffffff '''방송 일시'''}}} || {{{-2 [[2022년]]}}} [[6월 1일]] || 17:00 ~ 익일 06:23 || || {{{#ffffff '''방송 시간'''}}} ||<-2> 13시간 23분 || || {{{#ffffff '''진행'''}}} ||<-2> [[김현우(기자)|김현우]], [[최혜림]], [[김용태(기자)|김용태]], [[주시은]] 외 || || {{{#ffffff '''링크'''}}} ||<-2> [[https://news.sbs.co.kr/issue/vote2022|[[파일:SBS NEWS 아이콘.png|width=20]]]] | [[https://instagram.com/sbsvote2022|[[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오늘의 선택, 미래로 띄운 편지''' [[2022년]] [[6월 1일]]에 방송된 [[SBS]]의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 대한 [[선거방송]]이다. == 마케팅 ==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sBT4eay7fU)]}}}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90M3-38o9Y)]}}}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WnryVdTOkw)]}}}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FUwWQ0ajXQ)]}}}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446B 0%, #426E8B);" {{{#ffffff '''2022 국민의 선택 - 티저''' }}} }}} || === 오프닝 === == 출연자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446B 0%, #426E8B);" {{{#ffffff ''' 본 방송 진행자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mimgnews2.naver.net/1481780688663098_99_20161215144605.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최혜림 아나운서 뉴스8.jpg|width=100%]]}}} || || [[파일:sbs2022.jpg|width=100%]] || {{{#ffffff ''' {{{+1 [[김현우(기자)|{{{#ffffff 김현우 }}}]] }}}[br]([[기자|{{{#ffffff 기자}}}]]) ''' }}} || [[파일:sbs2022.jpg|width=100%]] || {{{#ffffff ''' {{{+1 [[최혜림|{{{#ffffff 최혜림 }}}]] }}}[br]([[아나운서|{{{#ffffff 아나운서}}}]]) ''' }}} || == 방송 목록 == === 1일 === ==== [[모닝와이드]]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446B 0%, #426E8B);" {{{#ffffff ''' 2022 국민의 선택 특집 [[모닝와이드|{{{#fff 모닝와이드}}}]]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XybcDpEOH0)]}}} || ||<-2> {{{-1 {{{#ffffff [[2022년|{{{#ffffff 2022년}}}]] [[6월 1일|{{{#ffffff 6월 1일}}}]] (06시 00분 ~ 07시 40분) }}} }}} || || {{{#ffffff ''' 진행자 ''' }}} || [[최재영(기자)|최재영]], [[정미선]]([[모닝와이드/1, 2부|1,2부]]) || ==== [[SBS 10 뉴스]]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446B 0%, #426E8B);" {{{#ffffff ''' 2022 국민의 선택 특집 [[SBS 10 뉴스|{{{#fff SBS 10 뉴스}}}]]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6901sw-6eg)]}}} || ||<-2> {{{-1 {{{#ffffff [[2022년|{{{#ffffff 2022년}}}]] [[6월 1일|{{{#ffffff 6월 1일}}}]] (09시 55분 ~ 10시 30분) }}} }}} || || {{{#ffffff ''' 진행자 ''' }}} || [[정석문]], [[박은경]] || ==== [[SBS 12 뉴스]]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446B 0%, #426E8B);" {{{#ffffff ''' 2022 국민의 선택 특집 [[SBS 12 뉴스|{{{#fff SBS 12 뉴스}}}]]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d_DhD5rOik)]}}} || ||<-2> {{{-1 {{{#ffffff [[2022년|{{{#ffffff 2022년}}}]] [[6월 1일|{{{#ffffff 6월 1일}}}]] (12시 00분 ~ 12시 50분) }}} }}} || || {{{#ffffff ''' 진행자 ''' }}} || [[염용석]], [[김소원(아나운서)|김소원]] || ==== [[주영진의 뉴스브리핑]]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446B 0%, #426E8B);" {{{#ffffff ''' 2022 국민의 선택 특집 [[주영진의 뉴스브리핑|{{{#fff 주영진의 뉴스브리핑}}}]]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3MmKHQ9tfWM)]}}} || ||<-2> {{{-1 {{{#ffffff [[2022년|{{{#ffffff 2022년}}}]] [[6월 1일|{{{#ffffff 6월 1일}}}]] (14시 00분 ~ 16시 00분) }}} }}} || || {{{#ffffff ''' 진행자 ''' }}} || [[주영진]] || || {{{#ffffff ''' 기타 출연자 ''' }}} || || === 본 방송 === ||
'''시간''' || '''제목''' || || ''' ^^1^^ 17:00 ~ ^^1^^ 18:30 ''' ||2022 국민의 선택 1부 || || ''' ^^1^^ 18:30 ~ ^^1^^ 20:20 ''' ||2022 국민의 선택 2부 || || ''' ^^1^^ 20:20 ~ ^^1^^ 21:20 ''' ||[[SBS 8 뉴스|2022 국민의 선택 3부 특집 SBS 8 뉴스]]|| || ''' ^^1^^ 21:20 ~ ^^1^^ 22:30 ''' ||2022 국민의 선택 4부 || || ''' ^^1^^ 22:30 ~ ^^2^^ 01:00 ''' ||2022 국민의 선택 5부 || || ''' ^^2^^ 01:00 ~ ^^2^^ 06:25 ''' ||2022 국민의 선택 6부 || ==== 1부~6부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446B 0%, #426E8B);" {{{#ffffff ''' 2022 국민의 선택 1부~6부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qWg89DQyJI)]}}} || ||<-2> || ||<-2> {{{-1 {{{#ffffff [[2022년|{{{#ffffff 2022년}}}]] [[6월 1일|{{{#ffffff 6월 1일}}}]] (17시 00분 ~ 06시 25분) }}} }}} || || {{{#ffffff ''' 진행자 ''' }}} || [[김용태(기자)|김용태]](1~2부), [[주시은]](1~2부), [[김현우(기자)|김현우]](3~5부), [[최혜림]](3~4부), [[편상욱]](6부) || || {{{#ffffff ''' 기타 출연자 ''' }}} || || || {{{#ffffff ''' 수어 ''' }}} || 안규순, 장진석, 양준식, 이민호 || === 2일 === ==== 경기지사는 누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3QnCHAAw2A)]}}}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_XOsY01Bkw)]}}}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446B 0%, #426E8B);" {{{#ffffff '''2022 국민의 선택(지선) - 경기지사 개표''' }}} }}} || ==== [[모닝와이드]]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446B 0%, #426E8B);" {{{#ffffff ''' 2022 국민의 선택 특집 [[모닝와이드|{{{#fff 모닝와이드}}}]]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hSEHgVKJDk)]}}} || ||<-2> {{{-1 {{{#ffffff [[2022년|{{{#ffffff 2022년}}}]] [[6월 2일|{{{#ffffff 6월 2일}}}]] (06시 25분 ~ 07시 40분) }}} }}} || || {{{#ffffff ''' 진행자 ''' }}} || [[최재영(기자)|최재영]], [[정미선]]([[모닝와이드/1, 2부|1,2부]]) || == 출구조사 == ||
[youtube(3xX60Poxb-Q)]||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446B 0%, #426E8B);" {{{#ffffff ''' 2022 국민의 선택(지선) - 지상파 3사 공동 출구조사 결과 공개 ''' }}} }}} || 출구조사 카운트 다운은 우주라는 컨셉의 맞춰서 만들어졌는데, 먼저 재보선 유력 후보였던 이재명과 안철수가 등장하여 이번 선거가 대선의 연장 선상이라는 의미로 "대선 연장전"이라는 관전포인트를 의미한다. 이것으로 시작해[* 이 때 지난 대선때 사용된 "질주자들 : 청와대로 간다"바이폰의 한 장면이 등장한다.] 서울시장 선거와 경기 지사 주요 흐보들의 유세 내용 중에 가져와서 양 당이 내세운 프레임을 보여주었다. 여기에 '서울의 밤', '코드명: 우주인', '너랑 나, 경기랜드' 바이폰 티저도 등장한 뒤 마지막에는 광역단체장 선거 양 당 주요 후보들을 보여준 뒤에 10초 카운트에 양 당의 상황실의 모습을 보야주는 식으로 카운트다운을 만들었다. == 특징 == * 하단 자막 디자인의 경우 지난 3월 9일 20대 대선 때 사용했던 디자인을 재활용할 예정이다. * 이번 국민의 선택도 지난 [[2022 대선 국민의 선택|20대 대선]]처럼 청각장애인을 위한 '''전 시간 수어통역'''이 시행될 예정이다. * 이번 방송의 메인 세트는 총 길이 53m, 높이 6m의 대형 LED비디오월로 메인 세트를 만들었다. 또한 천장에도 둥근 모양의 LED가 설치되었다. 전체적인 방송 컨셉은 우주, 무중력이 모티브이다. === 바이폰(VIPON) === ||
[youtube(0grV0xpGFx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446B 0%, #426E8B);" {{{#ffffff ''' 2022 국민의 선택(지선) - 이 시각 관심 지역[* +'''예측 1,2위 광역단체장 & 교육감'''] ''' }}} }}} || * 출구조사 결과가 공개된 후 각 지역별 후보 캠프 상황실의 분위기를 보여주는 선거 정보 그래픽이다. * 1분 42초부터는 예측 1,2위 [[광역자치단체장]]과 [[교육감]] 예측 순위를 알려주는 선거 정보 그래픽이 나온다. BGM은 Philippe Briand의 [[https://youtu.be/BIJXmQM36nE|A Winner’s Game]] ---- ||
[youtube(PeozWdiofac)]||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446B 0%, #426E8B);" {{{#ffffff ''' 2022 국민의 선택(지선) - 코드명:우주인(경기)[* 전국 단위 버전도 있음]''' }}} }}} || * 이번 국민의 선택 전체적인 방송 컨셉이 우주, 무중력이 모티브였는데, 그것을 바탕으로 한 바이폰인 코드명:우주인이다. 각 지역에 결과에서 후보가 2위를 할 경우 우주로 빨려 나가는 컨셉으로 만들어졌다. 경기지사 개표 현황과 서울시장 개표 현황 그리고 전국 광역단체장 개표 현황 버전도 따로 존재한다. ---- ||
[youtube(7dEwFTTCI2U)]||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446B 0%, #426E8B);" {{{#ffffff ''' 2022 국민의 선택(지선) - 특명! 후보의 도전 ''' }}} }}} || * 후보들이 물건을 던져서 제자리에 놓는 컨셉의 바이폰이다. ---- ||
[youtube(Iz6X32ZNbY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446B 0%, #426E8B);" {{{#ffffff ''' 2022 국민의 선택(지선) - 동심으로 돌아간 후보들[* 더불어민주당 - 파란나라를 보았니 / 국민의힘 - 뽐내는 토마토] ''' }}} }}} || * 민주당, 국민의힘 후보들의 각기 다른 모습과 동요를 입힌 선거 정보 그래픽이다. 민주당 후보들에게는 [[혜은이]]가 부른 [[파란나라]] 동요를, 국민의힘 후보에게는 [[멋쟁이 토마토]] 동요를 bgm으로 사용했다. [[2018 국민의 선택]] 당시의 달과 함께, 빨간 맛과 비슷한 성격의 바이폰. * 파란나라를 보았니[* 더불어민주당 후보들] 서울시장 후보 - [[송영길(정치인)|송영길]] / 경기지사 후보 - [[김동연]][* 야구방망이를 들었는데 실제로 야구팬이기도 하다.] / 강원지사 후보 - [[이광재]] / 충북지사 후보 - [[노영민]] / 인천시장 후보 - [[박남춘]][* 본인이 구단주로 있는 [[인천 유나이티드]] 유니폼을 입고 나왔다. 마침 유니폼도 파란색.] / 울산시장 후보 - [[송철호]] / 광주시장 후보 - [[강기정]] / 재보궐 인천 계양을 후보 - [[이재명]] * 뽐내는 토마토[* 국민의힘 후보들] 부산시장 후보 - [[박형준]] / 서울시장 후보 - [[오세훈]][* 토마토주스가 등장할 때 지난 지선의 오마주인지 '빨간 맛'을 언급한다.] / 경기지사 후보 - [[김은혜]] / 인천시장 후보 - [[유정복]] / 강원지사 후보 - [[김진태]] / 충남지사 후보 - [[김태흠]] / 전남지사 후보 - [[이정현(정치인)|이정현]] / 재보궐 경기 성남 분당갑 후보 - [[안철수]] ---- ||
[youtube(RWF0aCk2Hsg)]||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446B 0%, #426E8B);" {{{#ffffff ''' 2022 국민의 선택(지선) - 날아라 지선보드 ''' }}} }}} || * 각 지역별 광역단체장 후보들이 [[스케이트 보드]]를 타며 돌아다니는 콘셉트다. 유래는 [[날아라 슈퍼보드]]이며, BGM도 [[날아라 슈퍼보드]] OST를 사용하였다. ---- ||
[youtube(2mObAace7as)]||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446B 0%, #426E8B);" {{{#ffffff ''' 2022 국민의 선택(지선) - 서울의 밤 '''}}} }}} || * BGM은 [[조용필]]의 '서울 서울 서울'을 사용했으며, [[송영길]], [[오세훈]] 후보를 중심으로 서울의 여러 장소를 보여주며 개표 현황을 전한다. 바이폰 중에 나오는 전광판에선 1991년 [[SBS]] 개국 축하쇼 무대에서 조용필이 노래를 부르는 장면이 나온다. [* 초반에 오세훈 1차 임기 때 세워둔 [[세빛섬]]을 두고 오세훈이 무심한 송영길을 재촉하며 가리킨다(...)] ---- ||
[youtube(TkPxt6ahtgU)]||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446B 0%, #426E8B);" {{{#ffffff ''' 2022 국민의 선택(지선) - 너랑 나, 경기랜드[* 촬영지는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한 [[에버랜드]]. 여기선 [[서울랜드]], [[강원랜드]]마냥 '경기랜드'라고 개명당했다...] ''' }}} }}} || * BGM은 [[아이유]]의 '너랑 나'를 사용했으며, 앞서 설명한 서올의 밤 바이폰과 함께 테마로 나온 선거 방송 그래픽이다. 시청자들에게 가장 화제가 되었던 선거 정보 그래픽이었으며, [[김동연]], [[김은혜]] 후보를 중심으로 경기도에 위치한 [[에버랜드]]에서 두 후보가 놀면서 경기도의 개표 현황을 전한다. ---- ||<-4> [youtube(hgcMyKjyVCg)] || ||<-4> {{{#ffffff ''' 2022 국민의 선택(지선) - '투표로가 간다!' ''' }}} || ||<-4> {{{#white ''' 도입부 ''' }}} || ||<-4> ''' [[광화문광장]] ''' || || [[서울특별시|{{{#white 서울특별시}}}]] || [[광화문광장]] ([[종로구]]) || [[경기도|{{{#white 경기도}}}]] || 전철 내부 ([[경기도]]) || || [[인천광역시|{{{#white 인천광역시}}}]] || [[송도 센트럴파크]] ([[연수구]]) || [[부산광역시|{{{#white 부산광역시}}}]] || [[감천문화마을]] ([[사하구]]) || || [[울산광역시|{{{#white 울산광역시}}}]] || [[간절곶]] 희망우체통 ([[울주군]]) || [[경상남도|{{{#white 경상남도}}}]] || 공룡 박물관[* 관람 중이던 한 어린아이가 공룡으로 변장한 투표로에게 시선이 뺏겨 먹던 아이스크림을 떨어뜨리는 연출이 나온다.] ([[경상남도 고성군|고성군]]) || || [[대구광역시|{{{#white 대구광역시}}}]] || [[서대구역]] ([[서구(대구)|서구]]) || [[경상북도|{{{#white 경상북도}}}]] || [[울진 산불]][* 화마로 황폐화된 산을 투표로가 불자 다시 울창해졌다.] ([[울진군]]) || || [[광주광역시|{{{#white 광주광역시}}}]] || [[광주 화정 아이파크 붕괴 사고]] ([[서구(광주)|서구]]) || [[전라남도|{{{#white 전라남도}}}]] || [[나로우주센터]][* 발사대 뒤로 나로호가 발사되는 모습이 나온다.] ([[고흥군]]) || || [[전라북도|{{{#white 전라북도}}}]] || 반딧불이 ([[무주군]]) || [[대전광역시|{{{#white 대전광역시}}}]] || [[한국과학기술원]][* 이곳의 명물인 [[거위]] 가족이 나온다.] ([[유성구]]) || || [[충청남도|{{{#white 충청남도}}}]] || [[육군훈련소]] ([[논산시]]) || [[세종특별자치시|{{{#white 세종특별자치시}}}]] || 이응다리 ([[세종시]]) || || [[충청북도|{{{#white 충청북도}}}]] || [[진천선수촌]] ([[진천군]]) || [[강원도|{{{#white 강원도}}}]] || [[서핑]]하는 해변 ([[강원도]]) || || [[제주특별자치도|{{{#white 제주특별자치도}}}]] || [[성산일출봉]] ([[서귀포시]]) || || || ||<-4> {{{#white ''' 전국 ''' }}} || ||<-4> ''' [[밤|밤하늘]]과 [[별]] ''' || * BGM은 [[원필]]의 [[행운을 빌어줘]]. 저번 대선 때와 마찬가지로 저작권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는지 영상이 따로 올라오고 있지는 않고 있다. 이 중 부산, 울산, 경남, 전남, 전북의 바이폰 영상은 대선 때의 것을 재활용한 것이다. ---- ||<-4> [youtube(GwSD1uP4LXg)] || ||<-4> {{{#ffffff ''' 2022 국민의 선택(지선) - 스브스에어 ''' }}} || || [[서울특별시|{{{#white 서울특별시}}}]] || [[여의도 한강공원]] ([[영등포구]]) || [[경기도|{{{#white 경기도}}}]] || [[수원 화성]] ([[수원시 팔달구|팔달구]]) || || [[인천광역시|{{{#white 인천광역시}}}]] || [[월미도]] ([[중구(인천)|중구]]) || [[부산광역시|{{{#white 부산광역시}}}]] || [[광안대교]] ([[해운대구]])[* 대교의 시작점은 [[남구(부산)|남구)]]이고 중간점은 [[수영구]]이나 영상 속에서 가리키는 광안대교는 종점인 [[해운대구]] 방향으로 상공영상을 찍었다.] || || [[울산광역시|{{{#white 울산광역시}}}]] || [[대왕암공원]] ([[동구(울산)|동구]]) || [[경상남도|{{{#white 경상남도}}}]] || [[미륵산]][* [[통영 케이블카]]] ([[통영시]]) || || [[대구광역시|{{{#white 대구광역시}}}]] || [[83타워]] ([[달서구]]) || [[경상북도|{{{#white 경상북도}}}]] || [[독도]] ([[울릉군]]) || || [[광주광역시|{{{#white 광주광역시}}}]] || [[무등산]][* 주상절리대 상공] ([[동구(광주)|동구]]) || [[전라남도|{{{#white 전라남도}}}]] || [[천사대교]] ([[신안군]]) || || [[전라북도|{{{#white 전라북도}}}]] || [[미륵사지]] ([[익산시]]) || [[대전광역시|{{{#white 대전광역시}}}]] || [[대전 엑스포]][* 대전 엑스포와 [[한빛탑]]] ([[유성구]]) || || [[충청남도|{{{#white 충청남도}}}]] || 서천 갯벌 ([[서천군]]) || [[세종특별자치시|{{{#white 세종특별자치시}}}]] || 금강보행교 ([[세종시]]) || || [[충청북도|{{{#white 충청북도}}}]] || 단양 패러글라이딩 ([[단양군]]) || [[강원도|{{{#white 강원도}}}]] || 강원 풍력발전단지 ([[평창군]]) || || [[제주특별자치도|{{{#white 제주특별자치도}}}]] || [[성산일출봉]] ([[서귀포시]]) || || || * 비행기를 타며 전국 상공을 비행하면서 개표 현황을 전하는 선거 정보 그래픽이다. 투표율 현황 버전도 존재한다. BGM은 Louie(Geeks)의 [[https://youtu.be/TXRmO00oa5o|Airplane]]이며, [[비행기(거북이)]]를 리메이크한 노래다. 이 노래는 구미시장 후보 [[김장호]] 후보의 선거송으로 쓰이기도 했다. 한편 낙선자의 고향/지역기반을 은근히 많이 비춘다. 박남춘(중구-고향),[* 지역기반은 남동구.] 변성완(해운대구-거주지),[* 다만 동구 출신인 박형준의 거주지도 해운대구이다.] 양문석(통영-고향&지역기반),[* 박완수의 고향도 통영이지만 고성군에 가까운 도산면 출신인데다 지역기반은 창원인데 비해 양문석은 미륵산과 가까운 충무시내 출신인데다 지역기반도 통영이다.] 주기환(동구-지역기반),[* 광주지방검찰청이 위치한 곳으로 이곳에서 가장 많이 득표했다. 고향은 광산구지만 가장 적게 득표했다.] 조배숙(익산-고향&지역기반), 허태정(유성구-지역기반),[* 유성구청장을 지냈다. 고향은 충남 예산.] 이광재(평창-고향)[* 지역기반은 원주.] 순이다. 예외라면 김동연(수원-지역기반),[* 아주대학교 총장을 지냈고 광교신청사 근무를 위해 거주한다. 엄밀히 말해 팔달구가 아니라 영통구지만 수원시니까... 고향은 충북 음성.] 오영훈(서귀포-고향).[* 서귀포시 남원읍에서 태어났다. 지역기반은 성산일출봉과 가까운 제주시 을.] ---- ||
[youtube(OLMtJu61x-E)]||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446B 0%, #426E8B);" {{{#ffffff ''' 2022 국민의 선택(지선) - 광역단체장, 이 시각 판세''' }}} }}} || * 지난 대선 때도 사용된 전국 판세 선거 정보 그래픽이다. 경기지사 북부, 남부 개표 현황도 따로 존재한다. ---- ||
[youtube(pxa1CAlGdRA)]||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446B 0%, #426E8B);" {{{#ffffff ''' 2022 국민의 선택(지선) - 경기지사, 이 시각 판세(남부, 북부)''' }}} }}} || * 지난 대선 때도 사용된 전국 판세 선거 정보 그래픽에서 전국이 아닌 경기도 지역별 개표 현황을 통해 경기지사 북부, 남부 개표 현황을 전하는 바이폰 * 경기 남부[* 수원~광주 순이다.] [[수원시]] - [[성남시]] - [[안양시]] - [[부천시]] - [[광명시]] - [[평택시]] - [[안산시]] - [[과천시]] - [[의왕시]] - [[오산시]] - [[화성시]] - [[시흥시]] - [[군포시]] - [[하남시]] - [[여주시]] - [[이천시]] - [[용인시]] - [[안성시]] - [[광주시]] * 경기 북부[* 의정부~가평 순이다.] [[의정부시]] - [[양주시]] - [[동두천시]] - [[고양시]] - [[구리시]] - [[남양주시]] - [[파주시]] - [[김포시]] - [[포천시]] - [[연천군]] - [[양평군]] - [[가평군]] ---- ||
[youtube(eYC6DJMuDK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446B 0%, #426E8B);" {{{#ffffff ''' 2022 국민의 선택(지선) - 격돌, 보궐선거 현재 1,2위''' }}} }}} || * 두 행성이 충돌하는 바탕으로 표현된 선거 정보 그래픽이다. 광역단체장 개표 현황도 따로 존재하며, 지난 지방선거 때도 사용된 바이폰이다. ---- ||
[youtube(8e5gpz5zHyc)]||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446B 0%, #426E8B);" {{{#ffffff ''' 2022 국민의 선택(지선) - 이 시각 접전(경기)''' }}} }}} || * 경기지사 선거 접전 지역의 개표 현황을 전하는 선거 정보 그래픽이다. 기초자치단체장 개표 현황 버전도 존재한다. BGM은 Philippe Briand의 [[https://youtu.be/BIJXmQM36nE|A Winner’s Game]]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4AjWaZ6RVhs)]}}}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pKicSGV0Pk)]}}}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446B 0%, #426E8B);" {{{#ffffff '''2022 국민의 선택(지선) - 현재 1,2위 경기지사, 대전시장''' }}} }}} || * 경기지사와 대전시장 후보들이 나와서 각 지역별로 이루어지는 개표 현황을 보여주는 선거 정보 그래픽이다. 지난 대선 때도 사용된 바이폰 ---- ||
[youtube(jdwSiht51x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446B 0%, #426E8B);" {{{#ffffff ''' 2022 국민의 선택(지선) - 개표 LIVE (경기)''' }}} }}} || * 경기지사 개표 현황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그래픽이다. 실시간으로 들어오는 득표수를 확인할 수 있다. 지난 대선 때도 사용된 바이폰이다.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446B 0%, #426E8B);" {{{#ffffff ''' 2022 국민의 선택(지선) - 개표 돋보기''' }}} }}} || * 광역단체장 실시간 개표 현황을 사전투표, 본투표 구별해서 개표 현황을 전하는 바이폰 ---- ||<-4> [youtube(3Lqm8i7xo5o)] || ||<-4> {{{#ffffff ''' 2022 국민의 선택(지선) - 청사 앞으로 ''' }}} || || [[서울특별시|{{{#white 서울특별시}}}]] || [[서울특별시청]] ([[중구(서울)|중구]]) || [[경기도|{{{#white 경기도}}}]] || [[경기도청]][* 수원 광교 신청사] ([[수원시 영통구|영통구]]) || || [[인천광역시|{{{#white 인천광역시}}}]] || [[인천광역시청]] ([[남동구]]) || [[부산광역시|{{{#white 부산광역시}}}]] || [[부산광역시청]] ([[연제구]]) || || [[울산광역시|{{{#white 울산광역시}}}]] || [[울산광역시청]] ([[남구(울산)|남구]]) || [[경상남도|{{{#white 경상남도}}}]] || [[경상남도청]][* 경상남도청 본청사] ([[창원시 의창구|의창구]]) || || [[대구광역시|{{{#white 대구광역시}}}]] || [[대구광역시청]][* 現. [[대구광역시청 동인청사]]] ([[중구(대구광역시)|중구]]) || [[경상북도|{{{#white 경상북도}}}]] || [[경상북도청]][* 경상북도 본청사] ([[안동시]]) || || [[광주광역시|{{{#white 광주광역시}}}]] || [[광주광역시청]] ([[서구(광주)|서구]]) || [[전라남도|{{{#white 전라남도}}}]] || [[전라남도청]][* 전라남도 본청사] ([[고흥군]]) || || [[전라북도|{{{#white 전라북도}}}]] || [[전라북도청]] ([[완산구]]) || [[대전광역시|{{{#white 대전광역시}}}]] || [[대전광역시청]] ([[서구(대전)|서구]]) || || [[충청남도|{{{#white 충청남도}}}]] || [[충청남도청]] ([[홍성군]]) || [[세종특별자치시|{{{#white 세종특별자치시}}}]] || [[세종특별자치시청]] ([[세종시]]) || || [[충청북도|{{{#white 충청북도}}}]] || [[충청북도청]] ([[청주시 상당구|상당구]]) || [[강원도|{{{#white 강원도}}}]] || [[강원도청]] ([[춘천시]]) || || [[제주특별자치도|{{{#white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특별자치도청]] ([[제주시]]) || || || * BGM은 [[규현]]의 [[깊은 밤을 날아서]]이다. 각 지역별 도청, 시청 앞 청사 전경을 보여주면서 후보들의 개표 현황을 알려준다. == 제작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JsP6-LVDzA)]}}} || || {{{#ffffff '''2022 국민의 선택 - 제작진'''}}} || * BGM은 [[롤러코스터(밴드)|롤러코스터]]의 ‘[[습관 (Bye Bye)]]’. == 시청률 == ||
'''구분''' || '''시간''' || '''전국''' || '''수도권''' || || '''1부''' || 17:00 - 18:30 || 1.3 || || || '''2부''' || 18:30 - 20:20 || 4.0 || 4.0 || || '''3부''' || 20:20 - 21:20 || 5.1 || '''{{{#red 5.8}}}''' || || '''4부''' || 21:20 - 22:30 || '''{{{#red 5.5}}}''' || 5.5 || || '''5부''' || 22:30 - 00:30 || 2.6 || || || '''6부''' || 00:30 - 02:30 || '''{{{#blue 1.2}}}''' || || ||<-4>{{{-1 단위 [[%]]}}}[br]{{{-1 ※ '''[범례]''' {{{#blue,#6495ed 최저 시청률}}} ・ {{{#red,#salmon 최고 시청률}}}}}}|| == 평가 == * 연달아 이어진 선거이기 때문인지 대부분 바로 전 선거인 대선 그래픽을 활용하는 모습을 보여줬고 새로 만든 바이폰은 특유의 약이 여전해 재밌다는 반응이 많았지만 수가 적어 저예산으로 급하게 만들어진것이 티가 났다는 반응이 있었다. 바이폰이 적어 계속 똑같은 바이폰만 나와 지루했다는 반응도 꽤 있었다. * 시청률은 '''2.9%'''로 [[MBC 선택 2022(지선)|MBC]]를 제치고 2위로 올라섰다. 특히 2030 시청률이 2.7%로 다른 지상파보다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여전히 유튜브 동접자수는 MBC가 우월했으며 방송 후 기존 스트리밍 영상을 비공개로 넣고 iMBC 홈페이지에 올리는 VOD 파일을 유튜브에 올리면서 다시보기 조회수는 MBC에 비해 뒤쳐지게 됐다. == 기타 == * 경기지사의 선거 개표 판세 가늠이 아침이 다 되어서야 결론나면서 6부가 무려 5시간 25분동안 계속되었다. 이로 인해 평소 오전 4시 57분경에 송출되는 방송 시작을 알리는 SIGN ON 영상이 종료 직후인 오전 6시 23분에 송출되었고 모닝와이드는 당초 오전 6시였던 시작시간이 6시 25분으로 변경되면서 2부만 방송 되었다. * 이번 국민의 선택도 지난 [[2022 대선 국민의 선택|20대 대선]]과 마찬가지로 방송 중간중간에 일반 [[중간광고]]가 시행되었다. * [[G1방송]], [[KNN]] 등 일부 지역민방은 서울 국민의 선택이 나올 때 화면 하단에 지역 자체 개표자막을 내보낸답시고 대놓고 '''수어통역'''[* 이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것이므로, 청각장애인을 배려하지 않은 것이다.]을 가리기도 하였다. == 지역 민영방송별 선거방송 == *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은 [[SBS]]가 송출하는 '2022 국민의 선택'을 그대로 송출하지 않고, 각 [[지역 민영방송]]에서 제작한 [[선거방송]]을 일부 시간대에 송출한다. 각 지역 민영방송별 선거방송 명칭은 다음과 같다. ||
{{{#white ''' 송출 대상 지역 '''}}} || {{{#white ''' 지역 민영방송사 ''' }}} || {{{#white ''' 명칭 ''' }}} || || {{{#black ''' [[강원도|{{{#black 강원}}}]] ''' }}} || [[G1방송|{{{#black G1방송}}}]] || 2022 강원의 선택 || || {{{#black ''' [[대전광역시|{{{#black 대전}}}]] · [[세종특별자치시|{{{#black 세종}}}]] · [[충청남도|{{{#black 충남}}}]] ''' }}} || [[TJB|{{{#black TJB}}}]] || 2022 충청의 선택 || || {{{#black ''' [[충청북도|{{{#black 충북}}}]] ''' }}} || [[CJB|{{{#black CJB}}}]] || CJB 2022 국민의 선택 충북 세종 || || {{{#black ''' [[광주광역시|{{{#black 광주}}}]] · [[전라남도|{{{#black 전남}}}]] ''' }}} || [[광주방송|{{{#black kbc}}}]] || 2022 호남의 선택 || || {{{#black ''' [[전라북도|{{{#black 전북}}}]] ''' }}} || [[JTV|{{{#black JTV}}}]] || 2022 전북의 선택 || || {{{#black ''' [[제주특별자치도|{{{#black 제주}}}]] ''' }}} || [[제주방송|{{{#black JIBS}}}]] || 2022 제주의 선택 || || {{{#black ''' [[부산광역시|{{{#black 부산}}}]] · [[경상남도|{{{#black 경남}}}]] ''' }}} || [[KNN|{{{#black KNN}}}]] || KNN 2022 국민의 선택 || || {{{#black ''' [[울산광역시|{{{#black 울산}}}]] ''' }}} || [[울산방송|{{{#black ubc}}}]] || 2022 울산의 선택 || || {{{#black ''' [[대구광역시|{{{#black 대구}}}]] · [[경상북도|{{{#black 경북}}}]] ''' }}} || [[TBC|{{{#black TBC}}}]] || 2022 대구경북의 선택 || * 각 [[지역 민영방송]]에서 송출한 지역별 '국민의 선택'은 아래 링크를 통해서 확인이 가능하다. ||{{{#ffffff ''' 2022 강원의 선택 ''' }}} || [[https://m.youtube.com/watch?v=h1ZBRB2Z3fM&t=24687s&pp=ygUJRzEg6rCc7ZGc4|#]] || [[분류:SBS 선거방송]][[분류: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선거방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