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2021년 아프가니스탄 내전)] [include(틀:2021년 아프가니스탄 사태)] [목차] == 개요 == 신년을 기점으로 장기전으로 돌입한 2022년 [[아프가니스탄]]의 [[판지시르]] 주와 주변 고지대를 거점으로 하는 반(反) [[탈레반]] 저항군 [[아프가니스탄 국민 저항 전선]]의 3월 전황을 알려주는 내용이다. 탈레반 측 주장과 국민저항전선 측 주장이 엇갈리는 부분이 많다. 각자 과장된 주장을 펼친 것이 존재한 만큼, 양 측의 주장을 곧이곧대로 신뢰하지는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다고 가짜뉴스로 치부해서 무의미한 정보로 생각하면 안 되는 것이 어느 정도 자기암시인 면도 있고, 가짜뉴스만으로도 충분히 유불리를 헤아릴 수 있으므로 [[교차검증|양측의 주장을 고루 듣는 것이 좋다.]] == 전황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fg05february.jpg|width=100%]]}}}|| || '''아프가니스탄 내 국민 저항 전선 및 세력 분포도[* {{{#dc5259 적색 지역}}}은 저항과 충돌이 치열한 곳, {{{#df7ede 분홍색 지역}}}은 조직적인 지역 저항군이 결성되거나 최근 무장 충돌 빈도가 증가한 지역, {{{#392fc8,#736bd7 파랑색 지역}}}은 최소 한번 이상 총격전 등의 무장 충돌이 발생한 지역을 의미한다. 지도를 보면 판지시르 주를 중심으로 저항 물결이 짙은 것을 알 수 있다.][* 추가로 여기에는 [[탈레반|{{{#000000,#ffffff 탈레반}}}]]과 저항군의 대립 이외에도 [[ISIS-K|{{{#000000,#ffffff 남서부 IS 호라산 지부}}}]]와 국경을 침범한 [[파키스탄|{{{#000000,#ffffff 파키스탄}}}]]과 [[이란|{{{#000000,#ffffff 이란}}}]] 국경 부대의 근황, 심지어 [[아프가니스탄 국민 저항 전선|{{{#000000,#ffffff 저항군}}}]]의 해외 지원 기지로 지목된 [[타지키스탄|{{{#000000,#ffffff 타지키스탄}}}]]의 인도 공군 기지까지 기록해두었다. {{{#f2a864 짙은 노란색}}} 지역은 최근 호라산 지부가 탈레반을 대상으로 테러를 일으켰다고 보고된 지역이며, {{{#96b1d2 연한 하늘색 지역}}}은 탈레반과 호라산 지부, 그리고 저항군 게릴라 부대까지 있는 삼파전 구도가 형성된 곳이다.][*기준일 22/02/05 ][br]출처: [[https://twitter.com/FrenkieMark/status/1489976962596626434|Frenkie Mark]]''' || 전황 관련 링크: [[https://afghanistan.liveuamap.com/|liveuamap]]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Panjshir_conflict.png|Wikipedia Commons]] [[https://www.google.com/maps/d/u/0/viewer?mid=1M-_ymjR9xwOK7KMikOcUFSAE1ac&ll=34.467061751089055%2C66.73311850020262&z=6|ISWN]] === 3월 1일 === 바다흐샨 와칸 지역에서 저항군과 탈레반이 충돌해 탈레반 사령관 외 최소 2명의 탈레반이 사망하고, 2명이 중상을 입었다. [[https://twitter.com/Resist_Ahmad/status/1498357577310212104|#]] === 3월 2일 === 저항군이 판지시르에 있는 탈레반 기지를 공격해 최소 5명의 탈레반이 사망하고 4명이 부상당했다. 나머지 탈레반들은 탈출했다고 한다.[[https://twitter.com/Resist_Ahmad/status/1499242639513763850|#]] NRF는 파르완 주 주도 차리카르시에서의 게릴라 공격으로 탈레반 4명을 사살했다.[[https://twitter.com/N_Resistance2/status/1498991404969775110?t=TQGwmQtmJtqYCYtbxt02ug&s=19|#]] === 3월 3일 === NRF는 카피사 주 카우반드 지역에서 탈레반 6명을 사살했다.[[https://twitter.com/N_Resistance2/status/1499358857566556161?t=BAiFe4QEZJy5B8Qtg2uAqw&s=19|#]] === 3월 5일 === [[판지시르]]의 Tawakh에서 저항 전선의 게릴라 공격으로 5명의 탈레반이 사망했다. [[https://twitter.com/Resist_Ahmad/status/1499763767944617989|#]] === 3월 6일 === 저항군이 타자키스탄 국경에 위치한 [[바다흐샨|바다흐샨 주]]의 라흐 시를 해방시켰다. 탈레반과 점령군은 큰 피해를 입었고, 탈레반 다수가 국민 저항 전선에 합류했다.[[https://twitter.com/Resist_Ahmad/status/1500397909371764736?cxt=HHwWgIC-nd_8vdIpAAAA|#]] === 3월 7일 === NRF는 탈레반 호송대를 습격했다고 하며 여기서 신무기를 사용했다고 한다.[[https://twitter.com/N_Resistance2/status/1500652779328704520?t=PfPEmtLnHiLTSXvIrFrHeg&s=19|#]] === 3월 10일 === 카피사 주 무라드 카자(Murad Khaja) 마을에서 탈레반에 대한 저항 전선의 게릴라 공격으로 최소 5명의 탈레반이 사망하고 부상당했다.[[https://twitter.com/Resist_Ahmad/status/1501654788521570308|#]] === 3월 12일 === 탈레반 사령관이 판지시르 주 압샤르 시에서 국민 저항 전선의 게릴라 공격에 의해 사망했다.[[https://twitter.com/Resist_Ahmad/status/1502623508119134208|#]] === 3월 13일 === 7명의 탈레반이 파르완에서 사망하고 부상당했다. 자발 알-사라즈 시에서 탈레반을 대상으로 한 저항군의 게릴라 공격으로 5명의 탈레반이 사망하고 2명이 중상을 입었으며, 무기와 탄약이 약탈되었다.[[https://twitter.com/Parwan_Panjshir/status/1502677120606162949|#]] === 3월 15일 === 밤에 카피사 산의 첫 번째 부분에서 테러리스트와 탈레반을 점령한 국민 저항 전선의 게릴라 공격으로 10명 이상의 탈레반이 사망하고 부상당했다. 이날의 충돌로 탈레반이 큰 피해를 입었지만 정확한 사상자 수는 아직 나오지 않았다.[[https://twitter.com/Parwan_Panjshir/status/1504087685383680004|#]] === 3월 18일 === 자유전선군(AFF)은 밤 12시에 카피사 주의 첫 번째 부분에 있는 주지사 건물을 공격하여 테러리스트 탈레반과 부족 점령자들에게 큰 사상자를 입혔다.[[https://twitter.com/Resist_Ahmad/status/1504952445566435329|#]] === 3월 23일 === 몇 시간 전, 테러리스트와 점령 중인 탈레반에 대한 민족 저항 전선의 게릴라 공격이 타하르 주 Versaj 시에서 시작되었으며 충돌은 여전히 격렬하다.[[https://twitter.com/Resist_Ahmad/status/1506371599984959496|#]] === 3월 25일 === 자유와 민주주의를 위한 신자유전선군은 민주주의와 분권화된 정부 건설을 목표로 지금까지 중부 지역에서 두 차례의 성공적인 작전을 수행해 6명의 탈레반이 사망하고 일부 군사 장비가 약탈되었다.[[https://twitter.com/Resist_Ahmad/status/1507296921785884687|#]] === 3월 27일 === 전 내무부 장교인 Zala Zazai는 NRF에 합류했다.[[https://twitter.com/FrenkieMark/status/1507790029489422342?t=dWdJBvmsz2_yxOYU3fqWQg&s=19|#]] === 3월 28일 === 아프간 자유전선은 바다흐샨(Badakhshan) 지방의 키심-파이자바드(Kishm-Faizabad) 고속도로에 있는 탈레반 요새에 대한 표적 공격으로 3명의 탈레반 반군이 사망하고 4명이 부상했다고 보고했다. 공격은 토요일 오후 9시 30분경 발생했다.[[https://twitter.com/Resist_Ahmad/status/1508122068054908933|#]] 국민 저항 전선(National Resistance Front)과 자유 전선(Freedom Front)의 게릴라 세력이 테러리스트에 대한 공격을 시작했으며 중앙의 탈레반과 파르완(Parwan) 및 카피사(Kapisa) 주의 여러 도시를 점령하여 탈환했다.[[https://twitter.com/Resist_Ahmad/status/1508140066354442243|#]] 테러리스트의 위치와 탈레반을 점령하고 있는 자유 및 국민 저항 전선군의 기습과 표적 공격으로 어제와 오늘 밤 파르완 지방에서 30명 이상의 탈레반이 사망하고 부상 당했다. 북부 게릴라는 Jabal al-Saraj와 Pol-e Mutak에서 탈레반에게 가장 큰 사상자를 냈다.[[https://twitter.com/Resist_Ahmad/status/1508169752388251659|#]] === 3월 29일 === 파르완 주에서 새로운 저항군(Supreme Council of Resistance. SCR)이 출범했다. 파르완 주와 사망간 주에서 활동할 예정이라고. [[https://twitter.com/aamajnews24/status/1508741700281319424|#]] [[암룰라 살레]]가 NRF와는 별개로 판지시르 주 바자르에서 활동하는 새로운 게릴라 부대를 창설했다. 자세한 정보는 없다. [[https://twitter.com/aamajnews24/status/1508766966147956738|#]] 바글란 주 안다랍에서는 ARF와 탈레반 측의 레드 유닛, 자살 폭탄 부대 등이 충돌하면서 탈레반 대원 18명이 사망하고 10명이 부상당했다고 한다. [[https://twitter.com/FrenkieMark/status/1508806507399454728|#]][[https://twitter.com/FrenkieMark/status/1508755243672162312|#]] === 3월 30일 === 테러리스트이자 탈레반이 점령한 것으로 악명 높은 사령관이자 수백 명의 전직 보안군 병사와 무고한 민간인을 살해한 야쿠트 샤(Yaqut Shah)가 어제 안다랍에서 발생한 충돌로 사망했다.[[https://twitter.com/Resist_Ahmad/status/1508875690741051393|#]] 또 다른 저명한 탈레반 사령관이자 테러리스트이자 점령자인 Sida Qucha(시다 쿠챠)는 어제 안다랍 전투에서 사망했다.[[https://twitter.com/Resist_Ahmad/status/1508880555315802121|#]] SCR이 쿤두즈까지 활동 반경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https://twitter.com/aamajnews24/status/1509181978683314180|#]] === 3월 31일 === ALM은 팍티아 주 와자카 지역에서 탈레반 순찰대를 공격해 8명을 사살하고 3명에게 부상입혔다.[[https://twitter.com/AfghanistanInt6/status/1509511085698727939?t=aWaUTkzC_oewXjE57VKeWw&s=19|#]]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2021년 아프가니스탄 내전, version=281)] [[분류:2021년 아프가니스탄 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