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발로란트 e스포츠 국제 대회)] ---- [include(틀:VALORANT Masters 역대 대회)] ---- ||<-5> [[파일:vct_마스터스.svg|width=32]] '''[[발로란트 마스터스|{{{#white VALORANT Masters}}}]]''' || || [[2021 VCT Stage 1 Masters]] || → || '''2021 VCT Stage 2 Masters''' || → || [[2021 VCT Stage 3 Masters Berlin|2021 VCT Stage 3 Masters]] || ||<-5> '''{{{#white 2021 VCT Stage 2 Masters 우승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Vision Strikers/발로란트|Vision Strikers]] [[2021 VCT Stage 1 Masters Korea|(KR)]] / [[Sentinels/발로란트|Sentinels]] (NA) [[Acend/발로란트|Acend]] (EU) / [[Gambit Esports/발로란트|Gambit Esports]] (CIS) [[FUT Esports/발로란트|Futbolist]] (TR) / Team Vikings (BR) LDM Esports (LAN) / Australs (LAS) [[Crazy Raccoon/발로란트|Crazy Raccoon]] (JP) / X10 Esports (SEA)}}} || → || [[파일:Sentinels_Logo.png|width=12%]][br]'''[[Sentinels/발로란트|Sentinels]]''' || → || [[Gambit Esports/발로란트|Gambit Esports]] || ||<-5> '''{{{#white 2021 VCT Stage 2 Masters 결승 MVP}}}''' || || -[* 2021 VCT Stage 1 Masters에서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로 인해 지역 별로 개최되었다. 한국 마스터즈 MVP는 [[구상민(프로게이머)|Rb]]였다.] || → || '''[[타이슨 응오]][br](SEN TenZ)''' || → || [[티모페이 흐로모프]][br](GMB Chronicle) || ---- ||<-3>
[[파일:VALORANT_Masters.png|height=140]] || ||<-3> '''{{{#white 2021 VALORANT Champions Tour[br]{{{+1 Stage 2 Masters Reykjavík}}}}}}''' || || {{{#white '''대회 기간'''}}} ||<-2> [[2021년]] [[5월 24일]]~[[5월 30일]] || || {{{#white '''주최'''}}} ||<-2><|2> [[라이엇 게임즈|[[파일:라이엇 게임즈 로고(2019-2022).svg|width=120]]]] || || {{{#white '''주관'''}}} || || {{{#white '''개최지'''}}} ||<-2> [[아이슬란드|[[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width=30]]]] [[아이슬란드]] [[레이캬비크]] || || {{{#white '''참가팀'''}}} ||<-2> 10개 팀 || || {{{#white '''패치 버전'''}}} ||<-2> v2.09 || ||<-3> {{{#white '''경 기 장''' }}} || ||<-3> [[레이캬비크]] [[뢰이가르달스회들 실내 스포츠 경기장]] || ||<-3> {{{#white '''중 계''' }}} || ||<-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4> {{{#white '''중계 플랫폼'''}}} ||<-2> {{{-2 {{{#white '''TV'''}}} }}} || ||<-2> 미정 || ||<-2> {{{-3 {{{#white '''온라인'''}}} }}} || ||<-2> [[http://bj.afreecatv.com/valorant| [[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width=20]]]] [[https://www.twitch.tv/valorant_kr| [[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 ||<|10> {{{#white '''중계진'''}}} ||<-2> {{{-3 {{{#white '''캐스터'''}}} }}} || ||<-2> [[채민준]], [[김수현(아나운서)|김수현]] || ||<-2> {{{-3 {{{#white '''해설자'''}}} }}} || ||<-2> [[정인호]], [[빈본]], [[딩셉션]] || ||<-2> {{{#white {{{-3 '''분석데스크'''}}}}}} || ||<-2> 최광원, 정유현, [[미르다요]], 바일, 조조, 코브라, 갓라이크, 김만두, TS || ||<-2> {{{#white {{{-3 '''통역'''}}}}}} || ||<-2> [[초브라]], 엔딩라이프 || ||||}}} || ||<-3> [[https://valesports.co.kr/?page=schedule|{{{#white '''일 정''' }}}]] || ||<-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2> {{{#black '''결승 제외 라운드'''}}} ||<-2> {{{-3 {{{#black '''결승 제외 라운드'''}}} }}} || ||<-2> 2021년 5월 24일~5월 30일 KST 23시 30분~ || ||<-2> {{{-3 {{{#black '''결승'''}}} }}} || ||<-2> 2021년 5월 31일 KST 01시 30분 || ||||}}} || ||<-3> {{{#white '''결 과''' }}} || ||<-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1 {{{#white '''우승'''}}} }}} ||<-2> [[Sentinels/발로란트|Sentinels]] || || {{{#white '''준우승'''}}} ||<-2> [[Fnatic/발로란트|Fnatic]] || || {{{#white '''결승 MVP'''}}} ||<-2> [[타이슨 응오]] (SEN TenZ) || ||||}}} || [목차] [clearfix] == 개요 == || [youtube(S2uAVrgqQsQ)] || > '''Evolve or Die''' > 진화 혹은 죽음을 > ----- > 발로란트 마스터스 Stage 2 메인 캐치프레이즈 || [youtube(O1NiVLof2Q8)] || [[발로란트]]의 첫 오프라인 국제대회로, [[아이슬란드]]의 [[레이캬비크]]에서 열린다. 코로나19 전염 방지를 위해 개막전부터 결승전까지 단일 경기장에서만 진행한다. == 참가팀 == ||<-5> [[파일:VCT_whitelogo.png|width=25]] '''{{{#white 참가팀}}}''' || || {{{#white '''KR'''}}}[br]{{{#white (대한민국)}}} ||<-2> {{{#white '''NA'''}}}[br]{{{#white (북아메리카)}}} ||<-2> {{{#white '''EMEA'''}}}[br]{{{#white (유럽,중동,아프리카)}}} || || [[NUTURN Gaming|[[파일:NUTURN_Gaming_only.png|height=150]]]] || [[Sentinels/발로란트|[[파일:Sentinels_Logo.png|width=150]]]] || [[파일:Version1_2021.png|width=150]] || [[Team Liquid/발로란트|[[파일:Team_Liquid_2020.png|height=150]]]] || [[Fnatic/발로란트|[[파일:Fnatic 로고.svg|width=150]]]] || || '''[[NUTURN Gaming]]''' || '''[[Sentinels/발로란트|Sentinels]]''' || '''Version1''' || '''[[Team Liquid/발로란트|Team Liquid]]''' || '''[[Fnatic/발로란트|Fnatic]]''' || ||<-2> {{{#white '''BR'''}}}[br]{{{#white (브라질)}}} || {{{#white '''LATAM'''}}}[br]{{{#white (라틴아메리카)}}} || {{{#white '''JPN'''}}}[br]{{{#white (일본)}}} || {{{#white '''SEA'''}}}[br]{{{#white (동남아시아)}}} || || [[파일:Team_Vikings_2021.png|height=150]] || [[파일:Sharks_Esports.png|width=150]] || [[파일:KRU_Esports.png|height=150]] || [[파일:Crazy_Raccoon_2021.png|height=150]] || [[파일:X10_Esports_new.png|width=150]] || || '''Team Vikings''' || '''[[YNG Sharks]]''' || '''[[KRÜ Esports]]''' || '''[[Crazy Raccoon]]''' || '''X10 Esports''' || * [[대한민국]] 대표: [[NUTURN Gaming]] - [[강근철|"solo" 강근철]] ([[대한민국]]) - [[김종민(프로게이머)|"Lakia" 김종민]] ([[대한민국]]) - [[서재영(2002)|"Suggest" 서재영]] ([[대한민국]]) - [[정범기|"peri" 정범기]] ([[대한민국]]) - [[박상욱(프로게이머)|"allow" 박상욱]] ([[대한민국]]) * [[북아메리카]] 대표 1위: [[Sentinels/발로란트|Sentinels]] - "ShahZaM" 샤지브 칸 ([[미국]]) - "SicK" 헌터 마임스 ([[미국]]) - "dapr" 마이클 굴리노 ([[미국]]) - "zombs" 자레드 기틀린 ([[미국]]) - [[타이슨 응오|"TenZ" 타이슨 응오]] ([[캐나다]])[*용병 기존 플레이어의 불참으로 인한 대타 출전] * 북아메리카 대표 2위: Version1 - "jammyz" 자말 뱅가쉬 ([[미국]])[*용병 기존 플레이어의 불참으로 인한 대타 출전] - "Zellsis" 조던 몬테머로 ([[미국]]) - "penny" 에릭 페니 ([[캐나다]]) - "effys" 로익 소베쥬 ([[캐나다]]) - "vanity " 앤서니 말라스피나 ([[미국]]) * [[유럽]], [[중동]], [[아프리카]] 대표[* 이름과는 달리 실제 시드권역은 유럽 & [[독립국가연합]]에 해당한다.] 1위: [[Team Liquid/발로란트|Team Liquid]] - [[돔 설카스|"soulcas" 돔 설카스]] ([[영국]]) - "Kryptix" 제임스 애플렉 ([[영국]]) - "L1NK" 트래비스 멘도자 ([[영국]]) - "ScreaM" 아딜 비나리텀 ([[모로코]], [[벨기에]]) - [[엘리아스 올크코넨|"Jamppi" 엘리아스 올크코넨]] ([[핀란드]]) * [[유럽]], [[중동]], [[아프리카]] 대표 2위: [[Fnatic/발로란트|Fnatic]] - [[니키타 시르미테프|"Derke" 니키타 시르미테프]] ([[핀란드]], [[러시아]]) - "Doma" 도마고이 판세프 ([[크로아티아]]) - [[제이크 하울렛|"Boaster" 제이크 하울렛]] ([[영국]]) - "Mistic" 제임스 오르필라 ([[영국]]) - "Magnum" 마르틴 페니코프 ([[체코]]) * [[일본]] 대표: CRAZY RACOON - [[변상범|"Munchkin" 변상범]] ([[대한민국]]) - "Medusa" 안민철 ([[대한민국]]) - [[마츠다 유스케|"neth" 마츠다 유스케]] ([[일본]]) - "rion" 타테노 히로토 ([[일본]]) - "zepher" 마츠다 죠스케 ([[일본]]) * [[동남아시아]] 대표: X10 Esports - [[이티리드 은감사드|"foxz" 이티리드 은감사드]] ([[태국]]) - [[타나메스크 마하타나누유트|"Crws" 타나메스크 마하타나누유트]] ([[태국]]) - [[판야왓 서브시리로즈|"sushiboys" 판야왓 서브시리로즈]] ([[태국]]) - [[눗차폰 마타랏|"sScary" 눗차폰 마타랏]] ([[태국]]) - [[빠띠판 차이웡|"Patiphan" 빠띠판 차이웡]] ([[태국]]) * [[라틴아메리카]] 대표: [[KRÜ Esports/발로란트|KRÜ Esports]] - [[니콜라스 페라리|"Klaus" 니콜라스 페라리]] ([[아르헨티나]]) - "bnj" 벤자민 라비노비치 ([[아르헨티나]]) - "Mazino" 로베르토 리바스 ([[칠레]]) - [[후안 파블로 로페즈|"NagZ" 후안 파블로 로페즈]] ([[칠레]]) - "delz1k" 호아킨 에스피노자 ([[칠레]]) * [[브라질]] 대표 1위: Team Vikings - "frz" 레안드로 고미스 ([[브라질]]) - "sutecas" 가브리에우 디아즈 ([[브라질]]) - "Sacy" 구스타부 호시 ([[브라질]]) - "gtnziN" 구스타부 모우라 ([[브라질]]) - [[마티아스 델리페트로|"Saadhak" 마티아스 델리페트로]] ([[아르헨티나]]) * [[브라질]] 대표 2위: Sharks Esports - "prozin" 왈라시 살리스 ([[브라질]]) - "gaabxx" 가브리에우 칼리 ([[브라질]]) - "DeNaro" 마테우스 히폴리투 ([[브라질]]) - "fra" 마테우스 프라고주 ([[브라질]]) - "light" 위니시우스 알비스 세자르 ([[브라질]]) == 경기 일정 == [[파일:2021vctmasters2standings.png|width=95%]] * [[2021 VALORANT Champions Tour Stage 2 Masters Reykjavík/하위 브라켓|패자조]] * [[2021 VALORANT Champions Tour Stage 2 Masters Reykjavík/상위 브라켓|승자조, 최종결승전]] === 총평 및 최종 순위 === * 우승: [[Sentinels/발로란트|Sentinels]](NA) - $200,000 & 400pt * CS:GO와 마찬가지로 유럽의 두팀이 가장 우력한 우승후보로 거론되는 가운데 [[전승 우승]]으로 북미가 [[TSM/리그 오브 레전드|이번에는 진짜로 세계를 놀라게 했다.]] 모든 맵을 압도적인 차이로 찍어눌렀다고는 할수 없으나, 결과적으로는 단 하나의 맵도 내주지 않으면서 현 시점 세계 최강의 발로란트 팀이라는것을 보여줬다. 연습 기간이 짧았던 Tenz와 Shazham의 눈부신 활약에 힘입어 Upper Bracket Round 1때 만났던 Fnatic과의 리매치에서도 스윕승을 거두면서 당당하게 우승을 차지하였다. * 준우승: [[Fnatic/발로란트|Fnatic]](EMEA) - $100,000 & 350pt * 유럽의 1시드 [[Team Liquid/발로란트|TL]]보다 한수 아래라는 평을 받았지만, Lower Bracket에서 TL을 잡고 Nuturn까지 분전끝에 이겨내면서 결승전에 진출하였다. Upper Bracket Round 1에서 Sentinels에게 2:0 스윕패를 당한 이후 결승에서마저 3:0 스윕패를 당했지만, 세 맵 모두 매우 비등비등한 경기력으로 근 매치포인트까지 끌고가면서 유럽의 자존심을 지키는데에는 성공했다. * 3위: [[NUTURN Gaming]](KR) - $80,000 & 300pt * 이번 마스터즈로 한국이 전통적인 FPS장르에서 약세를 보인다는 악평을 씻어낼수 있는지에 대한 관심이 매우 컸었는데, 결론부터 말하자면 '''씻어냈다.''' 브라질의 YNG Sharks와 북미의 Version1을 잡아내면서 Upper Bracket 결승까지 진출하는것에 성공했고, 이후 챔피언 Sentinels에게 스윕패, Lower Bracket 결승에서 준우승팀 Fnatic을 상대로 2-1 분전끝에 3위로 대회를 마감했다. 물론 아쉬움도 남았겠지만, Top3에 한국팀이 안착했다는것 만으로도 성공적인 첫 마스터즈라는 평이 대다수. 유럽-브라질-북미 트리오가 Top 6을 모두 독식하리라는 예상을 정면으로 뒤집으면서, NUTURN뿐만 아니라 한국 지역 전체의 기대감까지 끌어올리는 성적을 거두었다. * 4위: [[Team Liquid/발로란트|Team Liquid]](EMEA) - $60,000 & 250pt * 북미와 한국, 그리고 유럽의 2시드 FNC까지 나름 만족스러운 결과를 낸 와중에 가장 아쉬운 성적을 거둔 팀. 전통적인 CS:GO의 강자였던 유럽의 1시드였던 만큼 강력한 우승후보로 점쳐진것과는 반대로, 첫 경기부터 영원한 라이벌인 북미의 2시드 Version1 에게 패하는 충격적인 결과 이후 Lower Bracket으로 추락하는 추태를 보였다. 이후 KRU와 Vikings를 가볍게 2:0으로 잡아내면서 어느정도 반등하나 싶었으나, 같은 지역의 2시드였던 FNC에게 스윕패를 당하며 완전히 체면을 구겼다. 이후의 Masters 3나 Champions에서 반드시 설욕해야할 굴욕이 늘어난 셈. * 공동 5위: Version1(NA), Team Vikings(BR) - $40,000 & 200pt * Version1은 북미의 모든 기대가 Sentinels에게 집중된 가운데 꽤나 선방한 결과를 내주었다. Upper Bracket에서 무려 유럽의 1시드인 TL을 잡아내면서 북미가 유럽에게 완승을 거두는데에 일조했고 ~~NA>EU 드립이 난무하는 가운데~~, 라운드 2에서 아쉽게 NUTURN에게 패했다. 이후 프나틱에게 스윕당하면서 대회를 마무리 했지만, 북미의 다크호스로써의 잠재력은 충분히 입증했다. * 반면 Vikings는 어느정도 실망스러운 결과를 낸 감이 있는데, 최약체라고 평가받던 동남아시아의 X10을 잡아낸것 이외에는 별다른 수확을 거두지 못했기 때문. 브라질의 2시드였던 Sharks는 3위를 차지한 Nuturn을 상대로 맵을 하나 따내기라도 했지, Vikings는 질때는 시원하게 모두 스윕패를 당하면서 변명의 여지도 남기지 못하고 실망스러운 결과를 냈다고 볼수있다. * 공동 7위: X10 Esports(SEA), KRÜ Esports(LATAM) - $25,000 & 175pt * 동남아의 [[CS:GO]] 전문팀이었던 X10은 아시아에선 나름 강팀 소리를 들었던 팀[* ALPHA Red/Beyond Esports 라는 팀이었다. [[CS:GO Major Championship|메이저]] APAC 예선에서 중국과 호주의 강팀들에게 대등하게 싸우며 자주 상위권에 들었다.]이지만 서양권에게는 힘을 못쓰는, 세계적인 강팀은 되지 못하지만 권역 내 강팀인 입지였던 그런 팀이었고 발로란트로 전격 전향 후 첫 국제대회에 출전하여 상황이 좋아질 것을 기대했겠지만 결과는 카스나 발로란트나 똑같은 '아시아팀만 잘 잡는' 정도로 끝났다. 남미의 KRÜ는 카스에선 정상급 강국인 브라질의 Sharks를 잡아내는 성과는 있었지만 다른 강력한 시드권인 북미와 유럽 모두 극복하지 못하고 말았다. 기존 카스에선 모두 세계 무대에서의 약세 권역으로서 발로란트에선 반등할 수 있을지 첫 시험대에 오른 것인데 아직은 더 많은 성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공동 9위: Sharks Esports(BR), Crazy Racoon(JPN) - $15,000 & 150pt * 일본의 Crazy Racoon은 선수 개개인으로만 보면 상당한 명성과 경력을 쌓은 선수들이라서 약간의 성과를 기대할 수 있었지만 결국 택티컬FPS 종목에서 동양과 서양 팀의 격차를 가장 뼈저리게 느끼고 말았다. 거기다 카스와 마찬가지로 동남아에게도 뚜렷하게 부족한 실력 차이를 드러내며 패배했고, 대회 전체에서 단 한 세트도 승리하지 못한 유일한 팀으로 남았다. Sharks 또한 카스에서 보유한 나름 이름값이 있는 팀과는 다르게 큰 힘을 내지 못하며 탈락했는데, 특히 자신보다 전력 상 열세로 추측되었던 시드권인 남미 및 한국의 팀에게 모두 패배하며 꼴등으로 망신을 당했다. 공동 9위의 두 팀 모두 자국에서의 인기가 높지만 대회에서의 실력은 그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굴욕을 겪었다. == 글로벌 파트너 == * [[레드불]] * Secret Lab * [[하이퍼X]] * [[아마존 프라임|프라임 게이밍]] == 이모저모 == * 원칙 상 대회 기간 이전에 출시된 브리즈를 포함하여 모든 맵을 사용할 수 있으나, 참가한 플레이어들의 지역 별 연습 환경의 차이로 인해 불합리한 장단점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며 브리즈는 사용이 금지되었다. * EMEA(유럽/중동/아프리카) 대표팀들이 북미 대표팀들과 동시에 승자조 8강에서 만났으며, 두 경기 모두 북미 대표 팀이 승리했다. * EMEA 대표 2위 Fnatic이 1위 Team Liquid에게 승리하였으며 더 높은 최종 순위의 성적을 기록했다. * 북미 대표 1위 Sentinels는 유일하게 코치 없이 참가했다. * 우승팀인 Sentinels는 이 대회에서 만난 모든 상대에게 단 한 세트도 패배하지 않았다. 이번 우승으로 [[VALORANT Champions 2021]]에 참가가 확정된 포인트를 획득했다. * 북미 대표 두 팀 모두 용병을 기용하여 출전하였다. Sentinels의 TenZ는 기존 플레이어인 [[sinatraa]][* 징계로 인한 출전 금지 기간]를 대신하여, Version1의 jammyz는 기존 플레이어인 wippie[* 비자 문제로 인한 입국 불가]를 대신하여 대타로 출전했다. * 가장 적은 경기를 플레이한 팀은 총 4세트 출전한 일본 대표 Crazy Racoon이며, 가장 많은 경기를 플레이한 팀은 총 16세트 출전한 Fnatic이다. Crazy Racoon은 패자조 1차 패배로 가장 먼저 탈락한 팀이며, Fnatic은 최종결승전 진출로 가장 오랫동안 생존한 팀이다. == 여담 == * 한국 대표 [[NUTURN Gaming]]이 기대를 매우 뛰어넘는 3위를 기록하며 경쟁력을 드러냈다. 대회 기간 내내 VCT 공식 SNS에서 King Slayer[* 반역자 내지는 왕을 무찌르는 자 정도로 해석할 수 있다.]라는 칭호로 부를 정도로 대단히 큰 충격을 가한 이변을 일으켰다. * 반대로 다른 아시아의 두 팀들은 각각 공동 7위, 9위라는 저조한 성적을 기록하였다. 그나마 꼴찌를 면한 동남아 대표 X10이 승리를 기록한 유일한 상대가 같은 아시아팀인 일본 대표 Crazy Racoon이다. 두 팀 모두 그 외에 브라질, 북미, 유럽 등의 타 지역 대표팀들을 상대했으나 모두 패배했다. * VCT 이전의 대체적인 여론은 [[카운터 스트라이크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유럽이 가장 강세일 것이고, 뒤이어 남미(+브라질), 북미, 아시아 순으로 예상되었다. 하지만 첫 국제 경기인 이번 스테이지2 마스터즈에서 북미가 압도적인 경기력을 보이며 우승을 차지했고, 남미와 브라질은 아시아보다 그다지 나은 게 없는 성적을 기록[* 그 중 한국이 최종 3위를 기록하면서 권역 별 똑같은 3장의 시드 슬롯을 배정 받고도 결과적으로 보면 최약체인 아시아보다도 나쁜 성적이다.]하여 종합적으로 대회 결과는 예상과 크게 달라진 채 마무리되었다. 유럽은 우승을 빼앗겼지만 두 팀 모두 4강에 들어 간신히 체면은 지켰다. * [[라이엇 게임즈|같은 게임사]]에서 주관한 [[2021 Mid-Season Invitational]]과 같은 장소에서 개최하게 되었고 실제로 MSI 결승 이후 다음 날에 이 대회가 개최되었다.[* 그리고 [[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 역시 아이슬란드의 레이캬비크에서 개최한다는 발표가 나오면서 2021년 한 해에만 라이엇 주관 세 번의 국제대회가 모두 레이캬비크에서 개최하게 되었다.] [[분류:2021 발로란트 챔피언스 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