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2020 도쿄 올림픽)] [include(틀:2020 도쿄 올림픽)] ---- ||<-2> [[2020 도쿄 올림픽|[[파일:2020 도쿄 올림픽 로고_White.svg|width=50]]]][br]'''올림픽 양궁''' || ||<-2> [[파일:2020 도쿄 올림픽 양궁 픽토그램_원형.svg|width=2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f6njA71YEc,width=100%)]}}} || || '''종목''' ||[[양궁|{{{#black,#white 양궁}}}]] || || '''참가 인원''' ||128명 || || '''참가국''' ||51개국 || || '''기간''' ||2021년 7월 23일(금) ~ 31일(토) || || '''경기장''' ||[[유메노시마|{{{#black,#white 유메노시마}}}]] 공원 양궁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0 도쿄 올림픽]] 중 양궁에 대해 서술하는 문서. 경기장은 [[유메노시마]] 공원 양궁장이다. 단체전의 경우 상위 12개팀이 본선에 진출하고, 상위 4개팀은 부전승으로 8강에 직행하며, 나머지 8개팀은 16강전부터 시작한다. 다만 혼성 단체전은 부전승 없이 16개팀 토너먼트이다. 개인전은 별도의 부전승 없이 64명이 모두 토너먼트를 진행한다. 토너먼트 트리가 랭킹라운드 결과에 따른 시드 분배 구조이기 때문에, 후반에 가서야 상위 선수들끼리 만나게 된다. 이론상 상위 4명은 준결승 이전에는 만나지 않는다. 혼성 단체전은 이번에 신설된 종목으로서, 이제 양궁에서도 3관왕이 나올 수 있게 되었다. 결국 [[안산(양궁)|안산]]선수가 3관왕을 달성했다. == 남자 == === 개인전 (7월 27~31일) === ==== 랭킹 라운드 (7월 23일) ==== ||<-5> {{{#002063 [[파일:2020 도쿄 올림픽 로고.svg|width=25]] '''양궁 남자 개인 랭킹 라운드'''}}} || || '''순위''' || '''선수''' || '''국가''' || '''점수''' || '''비고''' || || 1 || [[김제덕]] || [[대한민국|{{{#!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30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대한민국 (KOR) || 688점 || || || 2 || [[브래디 엘리슨]] || [[미국|{{{#!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30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 (USA) || 682점 || || || 3 || [[오진혁]] || [[대한민국|{{{#!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30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대한민국 (KOR) || 681점 || || || 4 || [[김우진(양궁)|김우진]] || [[대한민국|{{{#!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30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대한민국 (KOR) || 681점 || || 개막식 전에 치러지는 사전경기이다. 세계기록은 브래드 엘리슨이 [[2019 리마 팬아메리칸 게임]]에서 기록한 702점, 올림픽기록은 김우진이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서 기록한 700점이다. 올림픽 개막 전에 이미 64명의 본선 진출자가 가려져 있으므로 컷오프를 위한 경기는 아니고, 오로지 개인전과 단체전 대진을 위한 시드번호만을 결정한다. 72발을 쏴서 랭킹을 정하고, 이 랭킹의 1위와 64위, 2위와 63위, 3위와 62위, 4위와 61위가 대결하는 식으로 개인전 토너먼트를 진행하게 된다. ==== 64~32강 (7월 27~29일) ==== 64강 경기를 먼저 진행하여 32강 진출자가 모두 가려진 후 32강을 치르는 방식이 아니라, 16개 조[* 1차전을 치르는 두 사람의 시드번호 합계는 65여야 하고, 이에 따라 한 조 4명의 시드번호 합계는 130이 되며, 각 조 상위 2명의 시드번호 합계는 33이어야 한다. 예컨대 4번 시드자의 조에는 61, 29, 36번이 들어가게 된다.]로 나누어 각 조는 1시간 내에 64강과 32강을 모두 치러 1명의 16강 진출자를 선발한다. 여자부보다 더 많은 이변이 발생하였다. 이미 64강 32경기에서 10명의 하위시드자가 승리하였고, 32강을 마친 후 1번 시드 김제덕, 3번 시드 오진혁을 비롯하여 랭킹라운드 상위자들이 대거 탈락하면서 각 조 최상위시드자들이 16명 중에서는 6명만 16강에 남았고, 나머지 10명은 17번 시드 밖에서 진출하였다. 한 자리수 시드까지 좁혀 보면 2번 시드 브레이디 엘리슨과 4번 시드 김우진만 생존하였고, 나머지 7명은 모조리 탈락하였으며, 여자부에서는 단 한 명도 16강에 진출하지 못한 40~60번대 시드에서도 4명이나 생존했다. 랭킹라운드 최하위 16강 진출자는 무려 꼴찌에서 다섯번째인 60위(635점)이었던 이스라엘의 이타이 샤니. ==== 16강 ==== ||<-5> {{{#002063 [[파일:2020 도쿄 올림픽 로고.svg|width=25]] '''양궁 남자 16강'''}}} || || '''날짜''' || '''선수''' || '''선수''' || '''결과''' || '''비고''' || ||<|8> 7월 31일[br]09:30~ || 크리스핀 두에나스[16] (CAN) [[파일:캐나다 국기.svg|height=15]] || '''플로리안 운루[33]'''[* 32강에서 1번 시드 김제덕에게 7-3으로 승리했던 선수이다. 물론 완전 듣보잡은 아니고 세계랭킹 10위이다.] (GER) [[파일:독일 국기.svg|height=15]] || 2 - 6 || || || '''[[마우로 네스폴리]][24]''' (ITA) [[파일:이탈리아 국기.svg|height=15]] || 마르쿠스 달메이다[40] (BRA) [[파일:브라질 국기.svg|height=15]] || 6 - 0 || || || '''[[탕즈쥔]][12]''' (TPE)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height=15]] || 이타이 샤니[60] (ISR) [[파일:이스라엘 국기.svg|height=15]] || 6 - 5 || || || '''[[김우진(양궁)|김우진]][4]''' (KO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 [[카이룰 아누아르 모하마드]][20] (MAS)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height=15]] || 6 - 0 || || || 아타누 다스[35][* 32강에서 3번 시드 오진혁에게 슛오프 끝에 6-5로 승리했으나, 16강에서는 패했다.] (IND) [[파일:인도 국기.svg|height=15]] || '''[[후루카와 다카하루]][46]''' (JPN) [[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 4 - 6 || || || '''리자룬[11]''' (CHN) [[파일:중국 국기.svg|height=15]] || 일파트 압둘린[27] (KAZ)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height=15]] || 6 - 5 || || || '''[[메테 가조즈]][10]''' (TUR) [[파일:튀르키예 국기.svg|height=15]] || 테일러 워스[39] (AUS) [[파일:호주 국기.svg|height=15]] || 7 - 1 || || || '''[[브래디 엘리슨]][2]''' (USA) [[파일:미국 국기.svg|height=15]] || 제이컵 우키[47] (USA) [[파일:미국 국기.svg|height=15]] || 7 - 3 || || ||<-5> [ ] 내 숫자는 랭킹라운드 순위 || 16강부터 결승까지는 하루에 모두 치러진다. 모하맛 선수도 3세트 합계 83점을 쏘며 분전했지만, 김우진은 전체 화살 9발 모두 10점을 기록하는 엄청난 경기력을 보여 주며 8강에 진츨했다. 홈 경기를 치르고 있는 후루카와 다카하루를 제외하고, 이변을 일으켰던 40번대 이상 시드자들은 16강에서 모두 탈락하였다. ==== 8강 ==== ||<-5> {{{#002063 [[파일:2020 도쿄 올림픽 로고.svg|width=25]] '''양궁 남자 8강'''}}} || || '''날짜''' || '''선수''' || '''선수''' || '''결과''' || '''비고''' || ||<|4> 7월 31일[br]14:45~ || '''마우로 네스폴리[24]''' (ITA) [[파일:이탈리아 국기.svg|height=15]] || 플로리안 운루[33][* 32강에서 1번 시드 김제덕에게 7-3으로 승리했던 선수이다. 물론 완전 듣보잡은 아니고 세계랭킹 10위이다. 리사 운루의 남편이다.] (GER) [[파일:독일 국기.svg|height=15]] || 6 - 4 || || || 김우진[4] (KO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 '''탕즈쥔[12]''' (TPE)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height=15]] || 4 - 6 || || || 리자룬[11] (CHN) [[파일:중국 국기.svg|height=15]] || '''후루카와 다카하루[46]''' (JPN) [[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 0 - 6 || || || 브레이디 엘리슨[2] (USA) [[파일:미국 국기.svg|height=15]] || '''메테 가조즈[10]''' (TUR) [[파일:튀르키예 국기.svg|height=15]] || 3 - 7 || || 일본의 후루카와 다카하루는 3세트 연속 29점을 쏘며 중국의 리자룬을 6:0으로 꺾고 준결승에 진출하였다. 한국의 김우진은 대만의 탕즈쥔한테 패하면서 한국의 양궁 전종목 석권은 3년 후를 다시 기약하게 되었다. 김우진의 탈락 직후 8강에 진출한 선수들 중 금메달 리스트는 브레이디 앨리슨이 제일 유력했지만, [[메테 가조즈|예상 밖의 선수]]에게 탈락하는 이변이 일어났다. ==== 준결승 ==== ||<-5> {{{#002063 [[파일:2020 도쿄 올림픽 로고.svg|width=25]] '''양궁 남자 준결승'''}}} || || '''날짜''' || '''선수''' || '''선수''' || '''결과''' || '''비고''' || ||<|2> 7월 31일[br]15:45~ || '''마우로 네스폴리[\24]''' (ITA) [[파일:이탈리아 국기.svg|height=15]] || 탕즈쥔[\12] (TPE)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height=15]] || 6 - 2 || || || 후루카와 다카하루[\46] (JPN) [[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 '''메테 가조즈[\10]''' (TUR) [[파일:튀르키예 국기.svg|height=15]] || 3 - 7 || || 준결승 직후 김우진 선수의 탈락 직후 벌어진 경기라서 국내에서는 TV 중계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SNS에서는 준결승에서 일본의 후루카와 다카하루와 대결을 하게된 메테 가조즈를 [[적의 적은 나의 친구|응원]][[한국-터키 관계|하는]] 한국인이 늘어났고 자국 선수를 응원하던 터키인들이 의아해 할 정도였다.(...) 오히려 탕즈쥔과 네스폴리의 경기보다 메테 가조즈와 후루카와 다카하루 경기 결과가 주목 받은 것은 덤(...) 그리고 결국 이런 한국인들의 응원에 부응해(?) 메테 가조즈 선수가 결승에 진출했다. ==== 결승 ==== ||<-5> {{{#002063 [[파일:2020 도쿄 올림픽 로고.svg|width=25]] '''양궁 남자 결승'''}}} || || '''날짜''' || '''선수''' || '''선수''' || '''결과''' || '''비고''' || || 7월 31일[br]16:45~ || [[마우로 네스폴리]][\24] (ITA) [[파일:이탈리아 국기.svg|height=15]] || '''[[메테 가조즈]][\10]''' (TUR) [[파일:튀르키예 국기.svg|height=15]] || 4 - 6 || || || 7월 31일[br]16:30~ || '''[[후루카와 다카하루]][\46]''' (JPN) [[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 [[탕즈쥔]][\12] (TPE)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height=15]] || 7 - 3 || [*동메달] || 터키의 메테 가조즈가 이탈리아의 마우로 네스폴리를 6-4로 꺾고 금메달을 차지하였다. 터키 대표팀은 이번 대회 최초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또한 터키 양궁 역사상 최초로 금메달 리스트가 나온 경기가 되었다. === 단체전 (7월 26일) === * '''출전 선수 및 결과'''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include(틀:금메달)] * '''[[김우진(양궁)|김우진]]''' * '''[[김제덕]]''' * '''[[오진혁]]''' * '''대만'''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height=15]] [include(틀:은메달)] * '''[[웨이쥔항]]''' * '''[[탕즈쥔]]''' * '''덩위청'''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include(틀:동메달)] * '''[[후루카와 다카하루]]''' * '''가와타 유키''' * '''무토 히로키''' ==== 랭킹 라운드 ==== ||<-4> {{{#002063 [[파일:2020 도쿄 올림픽 로고.svg|width=25]] '''양궁 남자 단체 랭킹 라운드'''}}} || || '''순위''' || '''국가''' || '''점수''' || '''비고''' || || 1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대한민국 (KOR) || 2049점 || || || 2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네덜란드 (NED) || 2012점 || || || 3 ||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중국 (CHN) || 2011점 || || || 4 ||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일본 (JPN) || 1988점 || || || 5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 (USA) || 1987점 || || || 6 ||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width=30]] 중화 타이베이 (TPE) || 1985점 || || || 7 ||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30]] 인도네시아 (INA) || 1979점 || || || 8 ||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width=30]] 카자흐스탄 (KAZ) || 1973점 || || || 9 || [[파일:인도 국기.svg|width=30]] 인도 (IND) || 1961점 || || || 10 || [[파일:영국 국기.svg|width=30]] 영국 (GBR) || 1959점 || || || 11 || [[파일:호주 국기.svg|width=30]] 호주 (AUS) || 1949점 || || || 12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프랑스 (FRA) || 1941점 || || 개인전 랭킹 라운드 3명의 합계 216발 성적을 합산한 순위이다. 세계기록 겸 올림픽기록은 대한민국 남자대표팀이 [[2012 런던 올림픽]]에서 기록한 2087점이다. 4위까지는 8강 시드가 주어지고, 5위와 12위 승자가 4위와, 6위와 11위 승자가 3위와, 7위와 10위 승자가 2위와, 8위와 9위 승자가 1위와 대결한다. ==== 8강 진출전[* 보기에 따라 이를 16강(최초 서술)으로 볼 것인지 12강으로 볼 것인지 시각이 다를 수 있으므로, [[https://olympics.com/tokyo-2020/olympic-games//en/results/archery/brackets-men-s-team.htm|공식 페이지]]의 명칭인 1/8 Elimination Round에 의함.] ==== ||<-5> {{{#002063 [[파일:2020 도쿄 올림픽 로고.svg|width=25]] '''남자 16강'''}}} || || '''날짜''' || '''국가''' || '''국가''' || '''결과''' || '''비고''' || ||<|4> 7월 26일 || 카자흐스탄 (KAZ)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height=15]] || '''인도 (IND)''' [[파일:인도 국기.svg|height=15]] || 2 - 6 || || || '''미국 (USA)''' [[파일:미국 국기.svg|height=15]] || 프랑스 (FRA) [[파일:프랑스 국기.svg|height=15]] || 6 - 0 || || || 인도네시아 (INA)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height=15]] || '''영국 (GBR)''' [[파일:영국 국기.svg|height=15]] || 0 - 6 || || || '''중화 타이베이 (TPE)'''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height=15]] || 호주 (AUS) [[파일:호주 국기.svg|height=15]] || 5 - 4 || || ==== 8강 ==== ||<-5> {{{#002063 [[파일:2020 도쿄 올림픽 로고.svg|width=25]] '''남자 8강'''}}} || || '''날짜''' || '''국가''' || '''국가''' || '''결과''' || '''비고''' || ||<|4> 7월 26일 || '''대한민국 (KO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 인도 (IND) [[파일:인도 국기.svg|height=15]] || 6 - 0 || || || '''일본 (JPN)''' [[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 미국 (USA) [[파일:미국 국기.svg|height=15]] || 5 - 1 || || || 중국 (CHN) [[파일:중국 국기.svg|height=15]] || '''중화 타이베이 (TPE)'''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height=15]] || 1 - 5 || || || '''네덜란드 (NED)''' [[파일:네덜란드 국기.svg|height=15]] || 영국 (GBR) [[파일:영국 국기.svg|height=15]] || 5 - 3 || || 중국을 제외하고, 상위시드 국가들이 모두 준결승에 진출했다. 미국은 랭킹라운드 2위이자 랭킹라운드 72발 세계기록(702점) 보유자 브레이디 엘리슨이 6발 중 10점을 3발이나 쏘면서 분전했지만 나머지 두 선수가 뒤를 받쳐 주지 못하며 일본에 완패했다. ==== 준결승 ==== ||<-5> {{{#002063 [[파일:2020 도쿄 올림픽 로고.svg|width=25]] '''남자 준결승'''}}} || || '''날짜''' || '''국가''' || '''국가''' || '''결과''' || '''비고''' || ||<|2> 7월 26일 || '''대한민국 (KO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 일본 (JPN) [[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 5 - 4 || || || 네덜란드 (NED) [[파일:네덜란드 국기.svg|height=15]] || '''중화 타이베이 (TPE)'''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height=15]] || 0 - 6 || || 준결승에서는 [[한일전]]이 성사되었는데, 한일 모두 높은 수준을 선보이며 서로 2세트씩 득점했다. 슛오프도 28점으로 동점이었으나, 화살 위치부터 10점 위치까지의 거리가 한국 3.3cm[* X10 경계], 일본 5.7cm[* 10점 경계]로 기록되어 겨우 '''2.4cm'''의 차이로 한국이 일본을 꺾고 결승전에 진출했다. 비록 일본이 아깝게 패배했지만, 간발의 차이로 명승부를 보여주고 석패한 것에 박수를 보내줬다. 한편 16강부터 치른 팀 중 유일하게 살아남은 대만은 랭킹라운드 3위 중국, 2위 네덜란드를 연파하며 결승 진출을 이루어냈다. ==== 결승 ==== ||<-5> {{{#002063 [[파일:2020 도쿄 올림픽 로고.svg|width=25]] '''양궁 남자 결승'''}}} || || '''날짜''' || '''국가''' || '''국가''' || '''결과''' || '''비고''' || ||<|2> 7월 26일 || '''대한민국 (KO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 중화 타이베이 (TPE)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height=15]] || 6 - 0 || || || '''일본 (JPN)''' [[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 네덜란드 (NED) [[파일:네덜란드 국기.svg|height=15]] || 5 - 4 || [*동메달 동메달 결정전] || ||
'''풀영상 다시보기''' || ||<#ffffff,#191919><:> {{{#!wiki style="margin:0 5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KBS ]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 -5px -10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navertv(21542392)]}}}||}}}}}}}}}{{{#!wiki style="margin:0 5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MBC ]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 -5px -10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navertv(21542383)]}}}||}}}}}}}}}{{{#!wiki style="margin:0 5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SBS ]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 -5px -10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navertv(21542346)]}}}||}}}}}}}}}|| 결승전답게 대만도 상당한 실력을 선보였다. 하지만 한국은 1세트에서 1발을 제외하고 전부 10점을 맞춰 59점으로 가볍게 따내고, 2세트에서도 58점이라는 고득점을 기록한 대만을 상대로 '''60점 만점'''을 기록하는 등 한수 위의 기량을 펼쳤다.[* 대만 입장에서 얼마나 황당한 일인가 하면, 대만은 16강부터 4강까지 10세트 동안 58점 이상을 단 두 번 기록했고, 그 중 세트포인트 2점을 따지 못한 경우는 한 번도 없었다. 혼신의 힘을 다하여 58점을 기록했는데 정작 세트는 내주었으니 맥이 풀릴 수밖에 없는 것.] 결국 한국이 대만에게 단 1세트도 내주지 않고 6-0으로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대만도 8점 한 번을 빼고는 모두 9점 이상을 쏘았으나, 대한민국은 18발 전부가 9점 이상이었고, 그 중 무려 13발을 10점에 꽂으며 절정의 기량을 보여주었다. 한편 동메달 결정전에서 일본과 네덜란드는 서로 2세트씩 가져가며 슛오프가 펼쳐졌다. 점수는 양측 모두 28점으로 동점이었으나, 일본 팀이 마지막 화살을 x-10에 맞히며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한편 이후 이 경기에 참가했던 대만 선수 중 한명이 [[Fate 시리즈]]의 [[아처(도쿄 1차)|아라쉬]]를 좋아한다는 사실이 밝혀져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 어느 팬이 개인 메시지로 "활 쏠 때 [[언리미티드 블레이드 워크스|I am the born of my sword]] 외움?"이라고 물었다가 [[스텔라(Fate 시리즈)|STELLAR!]]라고 한다고 답했다고. 이 에피소드가 알려지자 [[자폭|금메달을 못 딴 이유]]가 있었다는 드립도 딸려 나왔다.] == 여자 == === 개인전 (7월 27~30일) === * '''출전 선수 및 결과''' * '''[[안산(양궁)|안산]]''' (KO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include(틀:금메달)] * '''[[엘레나 오시포바]]''' (ROC) [[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height=15]] [include(틀:은메달)] * '''[[루칠라 보아리]]''' (ITA) [[파일:이탈리아 국기.svg|height=15]] [include(틀:동메달)] ==== 랭킹 라운드 (7월 23일) ==== ||<-5> {{{#002063 [[파일:2020 도쿄 올림픽 로고.svg|width=25]] '''양궁 여자 개인 랭킹 라운드'''}}} || || '''순위''' || '''선수''' || '''국가''' || '''점수''' || '''비고''' || || 1 || [[안산(양궁)|안산]]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대한민국 (KOR) || 680점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9px; background: #002063; font-size: .8em; margin-top:-10px;" {{{#ffffff '''OR'''}}}}}} || || 2 || [[장민희]]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대한민국 (KOR) || 677점 || || || 3 || [[강채영]]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대한민국 (KOR) || 675점 || || || 4 || [[알레한드라 발렌시아]]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30]] 멕시코 (MEX) || 674점 || || || 5 || [[매켄지 브라운]]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 (USA) || 668점 || || || 22 || [[엘레나 오시포바]] || [[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width=30]]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ROC) || 651점 || || || 23 || [[루칠라 보아리]]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이탈리아 (ITA) || 651점 || || 개막식 전에 치러지는 사전경기이다. 세계기록은 강채영이 2019 [[스헤르토헨보스]] 세계선수권에서 기록한 692점이고, 종전 올림픽기록은 리나 헤라시멘코(우크라이나)[* 정작 토너먼트에서는 탈락하여 23위를 기록했다.]가 [[1996 애틀랜타 올림픽]]에서 기록한 673점이었다. 올림픽 개막 전에 이미 64명의 본선 진출자가 가려져 있으므로 컷오프를 위한 경기는 아니고, 오로지 개인전과 단체전 대진을 위한 시드번호만을 결정한다. 72발을 쏴서 랭킹을 정하고, 이 랭킹의 1위와 64위, 2위와 63위, 3위와 62위, 4위와 61위가 대결하는 식으로 개인전 토너먼트를 진행하게 된다. ==== 64~32강 (7월 27~29일) ==== 64강 경기를 먼저 진행하여 32강 진출자가 모두 가려진 후 32강을 치르는 방식이 아니라, 16개 조[* 1차전을 치르는 두 사람의 시드번호 합계는 65여야 하고, 이에 따라 한 조 4명의 시드번호 합계는 130이 되며, 각 조 상위 2명의 시드번호 합계는 33이어야 한다. 예컨대 8번 시드자의 조에는 57, 25, 40번이 들어가게 된다.]로 나누어 각 조는 1시간 내에 64강과 32강을 모두 치러 1명의 16강 진출자를 선발한다. 64강에서는 단 4명을 제외하고 랭킹라운드에서 상위시드를 받은 선수들이 모두 승리하였으나, 32강에서는 2번 시드 [[장민희]]를 비롯하여 상위시드자들이 상당수 탈락하면서, 각 조 최상위시드자들 16명 중에서는 8명만 16강에 오르고, 17번 시드 밖에서도 8명이 진출하였다. 랭킹라운드 최하위 16강 진출자는 39위(633점)이었던 벨라루스의 한나 마루사바. 특히 장민희와 강채영이 속한 B그룹은 32강 이변이 많이 발생하면서, 8개 조 중에서 강채영을 제외하고는 각 조 최상위시드자들이 단 한 명도 살아남지 못했다. 반대로 안산이 속한 A그룹은 단 한 조에서만 이변이 발생하고 나머지 7개 조에서는 각 조 최상위시드자들이 모두 살아남으며 [[죽음의 조]]가 되었다. ==== 16강 ==== ||<-5> {{{#002063 [[파일:2020 도쿄 올림픽 로고.svg|width=25]] '''양궁 여자 16강'''}}} || || '''날짜''' || '''선수''' || '''선수''' || '''결과''' || '''비고''' || ||<|8> 7월 30일[br]09:30~ || '''안산[1]''' (KO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 하야카와 렌[16][* 1987년 전주에서 태어났고, 원래 이름은 엄혜련. 2009년 일본으로 귀화한 후 2010년 전일본양궁대회에서 우승하였고, 2011년부터 일본 국가대표로 국제대회에 참가하고 있다.] (JPN) [[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 6 - 4 || || || 세냐 페로바[8] (ROC) [[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height=15]] || '''디피카 쿠마리[9]''' (IND) [[파일:인도 국기.svg|height=15]] || 5 - 6 || || || '''매켄지 브라운[5]''' (USA) [[파일:미국 국기.svg|height=15]] || 린자언[21] (TPE)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height=15]] || 6 - 2 || || || '''[[알레한드라 발렌시아]][4]''' (MEX) [[파일:멕시코 국기.svg|height=15]] || [[리사 바르블랭]][13] (FRA) [[파일:프랑스 국기.svg|height=15]] || 6 - 0 || || || '''[[강채영]][3]''' (KO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 [[야세민 아나괴즈]][19] (TUR) [[파일:튀르키예 국기.svg|height=15]] || 6 - 2 || || || '''[[옐레나 오시포바]][22]''' (ROC) [[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height=15]] || 브리오니 피트만[38] (GBR) [[파일:영국 국기.svg|height=15]] || 6 - 0 || || || '''[[루칠라 보아리]][23]''' (ITA) [[파일:이탈리아 국기.svg|height=15]] || 한나 마루사바[39] (BLR) [[파일:벨라루스 국기.svg|height=15]] || 6 - 5 || || || '''우자신[18]''' (CHN) [[파일:중국 국기.svg|height=15]] || 나카무라 미키[31][* 32강에서 2번 시드 장민희에게 6-2로 승리하는 이변을 일으켰으나 16강의 벽을 넘지 못했다.] (JPN) [[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 7 - 1 || || ||<-5> [ ] 내 숫자는 랭킹라운드 순위 || 16강부터 결승까지는 하루에 모두 치러진다. 16강에서는 단 1경기를 제외하고 모두 상위시드자가 8강에 진출하였다. ==== 8강 ==== ||<-5> {{{#002063 [[파일:2020 도쿄 올림픽 로고.svg|width=25]] '''양궁 여자 8강'''}}} || || '''날짜''' || '''선수''' || '''선수''' || '''결과''' || '''비고''' || ||<|4> 7월 30일[br]14:45~ || '''안산[1]''' (KO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 디피카 쿠마리[9] (IND) [[파일:인도 국기.svg|height=15]] || 6 - 0 || || || 알레한드라 발렌시아[4] (MEX) [[파일:멕시코 국기.svg|height=15]] || '''매켄지 브라운[5]''' (USA) [[파일:미국 국기.svg|height=15]] || 5 - 6 || || || 강채영[3] (KO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 '''옐레나 오시포바[22]''' (ROC) [[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height=15]] || 1 - 7 || || || 우자신[18] (CHN) [[파일:중국 국기.svg|height=15]] || '''루칠라 보아리[23]''' (ITA) [[파일:이탈리아 국기.svg|height=15]] || 2 - 6 || || 1번 시드 안산은 무난히 준결승에 진출하였으나, 나머지 대진에서는 모두 하위시드자가 경기를 가져갔고, 강채영은 8강에서 탈락하였다. ==== 준결승 ==== ||<-5> {{{#002063 [[파일:2020 도쿄 올림픽 로고.svg|width=25]] '''양궁 여자 준결승'''}}} || || '''날짜''' || '''선수''' || '''선수''' || '''결과''' || '''비고''' || ||<|2> 7월 30일[br]15:45~ || '''안산[1]''' (KO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 매켄지 브라운[5] (USA) [[파일:미국 국기.svg|height=15]] || 6 - 5 || || || '''옐레나 오시포바[22]''' (ROC) [[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height=15]] || 루칠라 보아리[23] (ITA) [[파일:이탈리아 국기.svg|height=15]] || 6 - 0 || || A그룹 준결승에서는 안산이 슛오프에서 10-9로 승리하며 결승에 진출했다. 정규 5세트 양 선수 합계 스코어가 143-143(무려 평균 28.6점이다), 10점을 쏜 횟수도 9-8이었다. 매켄지 브라운은 단 한 개도 노란 표적을 벗어나지 않고 모두 9점 이상이라는 놀라운 기록을 남겼지만, 안산에 단 한 점이 뒤지면서 결승 진출이 좌절되었다. B그룹에서는 8강에서 강채영을 꺾고 올라온 옐레나 오시포바가 합계 스코어 83-77로 세트당 평균 2점 차이를 벌이며 무난히 승리하였고, 여자 단체전에 이어 한-러 결승 재대결이 성사되었다. ==== 결승 ==== ||<-5> {{{#002063 [[파일:2020 도쿄 올림픽 로고.svg|width=25]] '''양궁 여자 결승'''}}} || || '''날짜''' || '''선수''' || '''선수''' || '''결과''' || '''비고''' || || 7월 30일[br]16:45~ || '''안산[1]''' (KO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 옐레나 오시포바[22] (ROC) [[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height=15]] || 6 - 5 || || || 7월 30일[br]16:30~ || 매켄지 브라운[5] (USA) [[파일:미국 국기.svg|height=15]] || '''루칠라 보아리[23]''' (ITA) [[파일:이탈리아 국기.svg|height=15]] || 1 - 7 || [*동메달] || ||
'''풀영상 다시보기''' || ||<#ffffff,#191919><:> {{{#!wiki style="margin:0 5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KBS ]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 -5px -10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navertv(21620478)]}}}||}}}}}}}}}{{{#!wiki style="margin:0 5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MBC ]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 -5px -10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navertv(21620198)]}}}||}}}}}}}}}{{{#!wiki style="margin:0 5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SBS ]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 -5px -10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navertv(21619148)]}}}||}}}}}}}}}|| 준결승에 이은 명경기였다. 안산이 슛오프에서 10-8로 승리하며 금메달을 획득했다. 정규 5세트 양 선수 합계 스코어 141-141, 10점을 쏜 횟수도 10-8이었다. 옐레나 오시포바 역시 단 한 개도 노란 표적을 벗어나지 않고 모두 9점 이상이라는 놀라운 기록을 남겼지만, 정작 마지막 슛오프에서 8점을 기록하며 이번 대회 2개째 은메달을 획득하게 되었다. 이로써 안산은 혼성 단체전, 여자 단체전에 이어 개인전까지 우승하며 올림픽 양궁 역사상 세계 최초로 한 대회 3관왕이라는 기록을 수립하였다. 한편 준결승에서 맥없이 패했던 루칠라 보아리는 동메달결정전에서 영점이 잡혔는지, 준결승에서 모든 것을 다 쏟아부은 매켄지 브라운을 스코어 합계 112-107로 물리치고 동메달을 획득했다. === 단체전 (7월 25일) === * '''출전 선수 및 결과'''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include(틀:금메달)] * '''[[안산(양궁)|안산]]''' (광주여대) * '''[[강채영]]''' (현대모비스) * '''[[장민희]]''' (인천대) *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height=15]] [include(틀:은메달)] * '''스베틀라나 곰보예바''' * '''[[엘레나 오시포바]]''' * '''케시냐 페로바''' *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height=15]] [include(틀:동메달)] * '''미셸 크로펜''' * '''찰린 슈바르츠''' * '''[[리사 운루]]''' ==== 랭킹 라운드 ==== ||<-4> {{{#002063 [[파일:2020 도쿄 올림픽 로고.svg|width=25]] '''양궁 여자 단체 랭킹 라운드'''}}} || || '''순위''' || '''국가''' || '''점수''' || '''비고''' || || 1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대한민국 (KOR) || 2032점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9px; background: #002063; font-size: .8em; margin-top:-10px;" {{{#ffffff '''OR'''}}}}}} || || 2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30]] 멕시코 (MEX) || 1976점 || || || 3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 (USA) || 1970점 || || || 4 ||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일본 (JPN) || 1957점 || || || 5 ||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중국 (CHN) || 1952점 || || || 6 || [[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width=30]]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ROC) || 1945점 || || || 7 ||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width=30]] 중화 타이베이 (TPE) || 1937점 || || || 8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이탈리아 (ITA) || 1936점 || || || 9 || [[파일:영국 국기.svg|width=30]] 영국 (GBR) || 1916점 || || || 10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독일 (GER) || 1909점 || || || 11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30]] 우크라이나 (UKR) || 1889점 || || || 12 || [[파일:벨라루스 국기.svg|width=30]] 벨라루스 (BLR) || 1882점 || || 개인전 랭킹 라운드 3명의 합계 216발 성적을 합산한 순위이다. 세계기록은 대한민국 여자대표팀이 2018 [[안탈리아]] 양궁월드컵에서 기록한 2053점이고, 종전 올림픽기록은 역시 대한민국 여자대표팀이 [[2008 베이징 올림픽]]에서 기록한 2004점이었다. 4위까지는 8강 시드가 주어지고, 5위와 12위 승자가 4위와, 6위와 11위 승자가 3위와, 7위와 10위 승자가 2위와, 8위와 9위 승자가 1위와 대결한다. ==== 8강진출전 ==== ||<-5> {{{#002063 [[파일:2020 도쿄 올림픽 로고.svg|width=25]] '''양궁 여자 12강'''}}} || || '''날짜''' || '''국가''' || '''국가''' || '''결과''' || '''비고''' || ||<|4> 7월 25일 || '''이탈리아 (ITA)''' [[파일:이탈리아 국기.svg|height=15]] || 영국 (GBR) [[파일:영국 국기.svg|height=15]] || 5 - 3 || || || 중국 (CHN) [[파일:중국 국기.svg|height=15]] || '''벨라루스 (BLR)''' [[파일:벨라루스 국기.svg|height=15]] || 3 - 5 || || || 중화 타이베이 (TPE)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height=15]] || '''독일 (GER)''' [[파일:독일 국기.svg|height=15]] || 2 - 6 || || ||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ROC)''' [[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height=15]] || 우크라이나 (UKR)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height=15]] || 6 - 2 || || ==== 8강 ==== ||<-5> {{{#002063 [[파일:2020 도쿄 올림픽 로고.svg|width=25]] '''양궁 여자 8강'''}}} || || '''날짜''' || '''국가''' || '''국가''' || '''결과''' || '''비고''' || ||<|4> 7월 25일 || 멕시코 (MEX) [[파일:멕시코 국기.svg|height=15]] || '''독일 (GER)''' [[파일:독일 국기.svg|height=15]] || 2 - 6 || || || '''대한민국 (KO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 이탈리아 (ITA) [[파일:이탈리아 국기.svg|height=15]] || 6 - 0 || || || 미국 (USA) [[파일:미국 국기.svg|height=15]] ||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ROC)''' [[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height=15]] || 0 - 6 || || || 일본 (JPN) [[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 '''벨라루스 (BLR)''' [[파일:벨라루스 국기.svg|height=15]] || 3 - 5 || || 남자부와 반대로, 대한민국을 제외한 상위시드 국가들이 모두 16강전을 거친 팀에 패하여 탈락하였다. 벨라루스는 랭킹라운드 최하위였음에도 16강과 8강에서 연속 풀세트 접전 끝에 5:3으로 신승하며 4강에 진출하였다. ==== 준결승 ==== ||<-5> {{{#002063 [[파일:2020 도쿄 올림픽 로고.svg|width=25]] '''양궁 여자 준결승'''}}} || || '''날짜''' || '''국가''' || '''국가''' || '''결과''' || '''비고''' || ||<|2> 7월 25일 || '''대한민국 (KO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 벨라루스 (BLR) [[파일:벨라루스 국기.svg|height=15]] || 5 - 1 || || ||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ROC)''' [[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height=15]] || 독일 (GER) [[파일:독일 국기.svg|height=15]] || 5 - 1 || || 벨라루스는 애당초 대한민국의 상대가 될 만한 팀은 아니었지만,[* 3명의 랭킹라운드 순위가 29, 39, 61위였다.] 3세트 53:53을 기록하며 결국 이번 올림픽 대한민국 여자대표팀을 상대로 유일하게 세트포인트를 따낸 팀이 되었다. ==== 결승 ==== ||<-5> {{{#002063 [[파일:2020 도쿄 올림픽 로고.svg|width=25]] '''양궁 여자 결승'''}}} || || '''날짜''' || '''국가''' || '''국가''' || '''결과''' || '''비고''' || ||<|2> 7월 25일 || '''대한민국 (KO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ROC) [[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height=15]] || 6 - 0 || || || '''독일 (GER)''' [[파일:독일 국기.svg|height=15]] || 벨라루스 (BLR) [[파일:벨라루스 국기.svg|height=15]] || 5 - 1 || [*동메달] || ||
'''풀영상 다시보기''' || ||<#ffffff,#191919><:> {{{#!wiki style="margin:0 5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KBS ]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 -5px -10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navertv(21524001)]}}}||}}}}}}}}}{{{#!wiki style="margin:0 5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MBC ]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 -5px -10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navertv(21523543)]}}}||}}}}}}}}}{{{#!wiki style="margin:0 5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SBS ]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 -5px -10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navertv(21522820)]}}}||}}}}}}}}}|| [[1988 서울 올림픽]]에서부터 이번 [[2020 도쿄 올림픽]]까지 우리나라 여자 양궁은 단체전에서 '''올림픽 양궁 역사상 최초로 단일 종목 9연패'''라는 역사를 쓰게 되었다.[[https://programs.sbs.co.kr/sports/tokyo2020/clip/69737/22000419254|#]] 3경기 모두 압도적인 실력을 발휘하며 모두 3세트에서 승부를 결정지었다. 참고로 지난 올림픽에서도 상대는 러시아였으며, 2회 대회 연속으로 러시아에게 결승전 패배를 안겨 주었다. 안산은 혼성 단체전에 이어 2관왕에 올랐고, 5일 후 개인전까지 우승하며 올림픽 양궁 역사상 세계 최초로 한 대회 3관왕이라는 기록을 수립하였다. == 혼성 단체전 (7월 24일) == * '''출전 선수 및 결과'''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include(틀:금메달)] * '''[[김제덕]]''' (경북일고) * '''[[안산(양궁)|안산]]''' (광주여대) * '''네덜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height=15]] [include(틀:은메달)] * '''가브리엘라 슬루서르'''[* 멕시코 태생의 선수로, 2016 하계올림픽까지 멕시코 국가대표로 활동하였으나 2018년 네덜란드인과 결혼 후 남편의 국적으로 귀화하여 네덜란드 국가대표로 활동하는 선수이다.] * '''스티브 베일러르''' * '''멕시코''' [[파일:멕시코 국기.svg|height=15]] [include(틀:동메달)] * '''루이스 알바레스 무리요''' * '''[[알레한드라 발렌시아]]''' === 랭킹 라운드 === ||<-4> {{{#002063 [[파일:2020 도쿄 올림픽 로고.svg|width=25]] '''양궁 혼성 단체 랭킹 라운드'''}}} || || '''순위''' || '''국가''' || '''점수''' || '''비고''' || || 1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대한민국 (KOR) || 1368점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9px; background: #002063; font-size: .8em; margin-top:-10px;" {{{#ffffff '''OR'''}}}}}} || || 2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 (USA) || 1350점 || || || 3 ||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일본 (JPN) || 1343점 || || || 4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30]] 멕시코 (MEX) || 1336점 || || || 5 ||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중국 (CHN) || 1328점 || || || 6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네덜란드 (NED) || 1327점 || || || 7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30]] 터키 (TUR) || 1321점 || || || 8 ||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width=30]] 중화 타이베이 (TPE) || 1319점 || || || 9 || [[파일:인도 국기.svg|width=30]] 인도 (IND) || 1319점 || || || 10 || [[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width=30]]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ROC) || 1317점 || || || 11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이탈리아 (ITA) || 1316점 || || || 12 || [[파일:영국 국기.svg|width=30]] 영국 (GBR) || 1311점 || || || 13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독일 (GER) || 1309점 || || || 14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프랑스 (FRA) || 1307점 || || || 15 ||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30]] 인도네시아 (INA) || 1297점 || || || 16 ||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width=30]] 방글라데시 (BAN) || 1297점 || || 개인전 랭킹 라운드 남녀 각 1명의 합계 144발 성적을 합산한 순위이다. 세계기록은 대한민국 혼성대표팀이 2019 [[스헤르토헨보스]] 세계선수권에서 기록한 1388점이다. 남녀별 단체전과 달리 시드 없이 1위와 16위, 2위와 15위, 3위와 14위 식으로 전원이 16강부터 대결한다. 다른 나라와 달리, 대한민국은 사전선발 없이 랭킹 라운드가 끝난 후 남녀 각 1위 선수를 선발하였다. === 16강 === ||<-5> {{{#002063 [[파일:2020 도쿄 올림픽 로고.svg|width=25]] '''양궁 혼성 16강'''}}} || || '''날짜''' || '''국가''' || '''국가''' || '''결과''' || '''비고''' || ||<|8> 7월 24일 || 중화 타이베이 (TPE)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height=15]] || '''인도 (IND)''' [[파일:인도 국기.svg|height=15]] || 3 - 5 || || || 중국 (CHN) [[파일:중국 국기.svg|height=15]] || '''영국 (GBR)''' [[파일:영국 국기.svg|height=15]] || 3 - 5 || || || '''멕시코 (MEX)''' [[파일:멕시코 국기.svg|height=15]] || 독일 (GER) [[파일:독일 국기.svg|height=15]] || 6 - 2 || || || 미국 (USA) [[파일:미국 국기.svg|height=15]] || '''인도네시아 (INA)'''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height=15]] || 4 - 5 || || || '''터키 (TUR)''' [[파일:튀르키예 국기.svg|height=15]] ||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ROC) [[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height=15]] || 6 - 2 || || || '''네덜란드 (NED)''' [[파일:네덜란드 국기.svg|height=15]] || 이탈리아 (ITA) [[파일:이탈리아 국기.svg|height=15]] || 6 - 0 || || || 일본 (JPN) [[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 '''프랑스 (FRA)''' [[파일:프랑스 국기.svg|height=15]] || 3 - 5 || || || '''대한민국 (KO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 방글라데시 (BAN)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height=15]] || 6 - 0 || || 1세트 4발이라는 특성상 의외의 결과가 속출하였다. 랭킹라운드 2, 3, 5, 8위 팀이 모두 탈락. 1, 4위가 속한 A그룹은 그나마 1, 4, 9, 12위 중에 한 팀이 결승에 진출하지만, B그룹은 6, 7, 14, 15위 팀의 대결로 결승진출 팀을 가리게 되었다. === 8강 === ||<-5> {{{#002063 [[파일:2020 도쿄 올림픽 로고.svg|width=25]] '''양궁 혼성 8강'''}}} || || '''날짜''' || '''국가''' || '''국가''' || '''결과''' || '''비고''' || ||<|4> 7월 24일 || '''멕시코 (MEX)''' [[파일:멕시코 국기.svg|height=15]] || 영국 (GBR) [[파일:영국 국기.svg|height=15]] || 6 - 0 || || || '''대한민국 (KO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 인도 (IND) [[파일:인도 국기.svg|height=15]] || 6 - 2 || || || '''터키 (TUR)''' [[파일:튀르키예 국기.svg|height=15]] || 인도네시아 (INA)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height=15]] || 6 - 2 || || || '''네덜란드 (NED)''' [[파일:네덜란드 국기.svg|height=15]] || 프랑스 (FRA) [[파일:프랑스 국기.svg|height=15]] || 5 - 4 || || 8강에서는 랭킹라운드 상위팀이 모두 승리하여, 1위와 4위, 6위와 7위의 대결이 성사되었다. === 준결승 === ||<-5> {{{#002063 [[파일:2020 도쿄 올림픽 로고.svg|width=25]] '''양궁 혼성 준결승'''}}} || || '''날짜''' || '''국가''' || '''국가''' || '''결과''' || '''비고''' || ||<|2> 7월 24일 || '''대한민국 (KO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 멕시코 (MEX) [[파일:멕시코 국기.svg|height=15]] || 5 - 1 || || || '''네덜란드 (NED)''' [[파일:네덜란드 국기.svg|height=15]] || 터키 (TUR) [[파일:튀르키예 국기.svg|height=15]] || 5 - 3 || || 4강에서도 랭킹라운드 상위팀이 모두 승리하였고, 이는 결승전과 3-4위전까지 이어졌다. === 결승 === ||<-5> {{{#002063 [[파일:2020 도쿄 올림픽 로고.svg|width=25]] '''양궁 혼성 결승'''}}} || || '''날짜''' || '''국가''' || '''국가''' || '''결과''' || '''비고''' || ||<|2> 7월 24일 || '''대한민국 (KO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 네덜란드 (NED) [[파일:네덜란드 국기.svg|height=15]] || 5 - 3 || || || '''멕시코 (MEX)''' [[파일:멕시코 국기.svg|height=15]] || 터키 (TUR) [[파일:튀르키예 국기.svg|height=15]] || 6 - 2 || [*동메달] || ||
'''풀영상 다시보기''' || ||<#ffffff,#191919><:> {{{#!wiki style="margin:0 5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KBS ]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 -5px -10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navertv(21515722)]}}}||}}}}}}}}}{{{#!wiki style="margin:0 5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MBC ]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 -5px -10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navertv(21515959)]}}}||}}}}}}}}}{{{#!wiki style="margin:0 5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SBS ]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 -5px -10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navertv(21515654)]}}}||}}}}}}}}}|| 7월 24일 열린 혼성 단체전에서 이번 대회 대한민국 선수단의 첫 금메달을 수확했다. 방글라데시, 인도, 멕시코를 차례로 꺾은 김제덕과 안산은 결승전에서 네덜란드의 가브리엘라 슬루서르-스티브 베일러르와 맞붙었다. 4강까지 여유 있게 승리해 왔지만, 자신들의 기량을 100% 가깝게 끌어낸 네덜란드[* 네덜란드는 16강부터 4강까지 4경기 11세트 동안 38점 이상을 단 한 차례만 기록했었는데, 이 결승에서만 두 세트에서 각각 38, 39점을 쏘았다.]역시 만만하지 않은 상대였다. 총점에서는 147:146 단 한 점 차였는데, 화살 수가 적을수록 언제든 돌발상황이 생길 수 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상기시킨 대결이었고, 그런 타이트한 상황에서 대한민국 대표팀의 멘탈이 얼마나 대단한지를 보여준 경기이기도 했다. 첫 세트를 35:38로 네덜란드에게 내주었지만 2세트를 37:36의 스코어로 따내었고, 3세트에 베일러르가 두번째 발을 6점을 쏘는 등 네덜란드가 33점으로 다소 흔들리는 사이 36점을 기록하며 4:2의 세트 포인트를 만들어내었다. 4세트에 들어서 네덜란드 선수들이 차례로 9점, 10점을 쏘자, 김제덕과 안산이 모두 10점을 쏘았고, 뒤이어 네덜란드의 두 선수가 모두 10점을 쏘았지만, 김제덕과 안산이 각가 10점과 9점을 쏘며 4세트는 39:39로 종료, 두 팀이 세트 포인트를 1점씩 획득해 세트포인트 5:3으로 대한민국의 김제덕과 안산 선수가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https://programs.sbs.co.kr/sports/tokyo2020/clip/69776/22000419093|#]] == 총평 == === [[대한민국]]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0 도쿄 올림픽/대한민국/양궁)] 개막식이 열리는 7월 23일 사전 경기로 치러진 랭킹 라운드에서부터 대한민국 선수들은 매우 좋은 경기를 보여주었다. 여자 개인 랭킹 라운드에서는 안산, 장민희, 강채영이 각각 680점, 677점, 675점을 기록하며 랭킹 라운드 1, 2, 3위를 싹쓸었다. 세 선수 모두 1996 애틀랜타 올림픽에서 우크라이나의 리나 헤라시멘코가 세운 올림픽 기록 673점을 넘어섰다. 또한, 세 선수의 점수를 합산하여 순위를 내는 단체 랭킹전에서도 2032점을 기록하여 2008 베이징 올림픽에서 대한민국이 세운 올림픽 기록(2004점)을 깼다. 남자 개인 랭킹 라운드에서는 김제덕이 688점으로 1위, 오진혁과 김우진이 각각 681점과 680점으로 3위와 4위를 기록했다. 김제덕은 세계기록 보유자이자 직전 시즌 MVP인 미국의 [[브레디 엘리슨]]을 6점 차이로 꺾고 1위에 올랐다. 랭킹 라운드에서 대한민국 선수들이 좋은 결과를 내면서 개인전 최상의 대진표도 손에 넣었다. 남녀 모두 준결승까지 한국 선수끼리 만나지 않게 되었다. 대한민국 선수들이 계속 승리할 경우 여자 개인전에서는 장민희와 강채영이 준결승에서 만나고, 안산은 결승에 올라야 한국 선수를 만날 수 있다. 남자 개인전에서도 마찬가지로 김제덕과 김우진이 준결승에서 만나며, 오진혁은 결승에 올라야 한국 선수를 만날 수 있다. 이로써 개인전에 걸린 6개의 메달을 모두 가져오는 것에도 도전할 수 있게 되었다. 더불어, 경기 전 대한민국 양궁 대표팀은 랭킹 라운드 남녀 각각 1위를 혼성 단체전에 출전시키기로 했고, 경기 결과에 따라 안산과 김제덕이 대표로 나서게 되었다. 이 두 선수는 이번 대회에서 '''대한민국 최초 단일 경기 양궁 3관왕'''에 도전한다. 결국 안산은 여자 단체전과 개인전에서 모두 우승하며 '''올림픽 세계 최초 양궁 3관왕 겸 대한민국 최초 하계 올림픽 3관왕'''에 올랐고, 김제덕은 남자 단체전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개인전은 최종 17위, 2관왕으로 대회를 마무리했다. === [[벨라루스]] === 벨라루스는 여자 단체전 8강전에서 세계 랭킹이 높은 일본을 이기고 준결승에 진출하는 이변을 연출하면서 [[한일전]]은 성사되지 않았다. 물론 벨라루스는 대한민국의 상대가 되지 못했고, 동메달 결정전에서도 독일에게 패배하면서 4위로 대회를 끝냈다. ===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 러시아는 여자 단체전, 여자 개인전에서 결승에 진출하였으나, 2종목 모두 대한민국에게 패배하면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대회를 끝냈다. == 여담 == * 대회 기간 내내 유메노시마 양궁장에서 [[LiSA(1987)|LiSA]]의 [[紅蓮華|홍련화]]를 틀어주었다. 하지만 우리나라 지상파 중계방송에서는 일본 노래의 노출이 어렵다는 이유여서인지, 노래가 전혀 들리지 않았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2020 도쿄 올림픽/대한민국/양궁, version=53)] [[분류:2020 도쿄 올림픽]][[분류:양궁 대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