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오버워치 국제 e스포츠)] ||<-5>
[[오버워치 컨텐더스|[[파일:The_Gauntlet_logo.png|width=120]]]] || ||<-5> [[오버워치 컨텐더스|{{{#8ebb15 '''오버워치 컨텐더스'''}}}]] {{{#fff ''' 건틀릿 일람'''}}} || || ''출범'' || {{{+1 →}}} || '''2019 시즌''' || {{{+1 →}}} || [[2020 오버워치 컨텐더스 건틀릿|2020 시즌]][br][[2020 오버워치 컨텐더스 건틀릿/아시아|아시아]] | [[2020 오버워치 컨텐더스 건틀릿/남미|남미]] | [[2020 오버워치 컨텐더스 건틀릿/북미|북미]] | [[2020 오버워치 컨텐더스 건틀릿/유럽|유럽]] || [[파일:KPF2BN9YNGR11570995279102.jpg|align=center]] ||<-3>
 [br][[오버워치 컨텐더스|[[파일:2019 오버워치 컨텐더스 건틀릿.png|width=100%]]]][br] || ||<-3> [[오버워치 컨텐더스|{{{#8ebb15 '''2019 오버워치 컨텐더스'''}}}]] {{{#fff ''' 건틀릿'''}}} || || {{{#fff '''대회 기간'''}}} ||<-2> [[2019년]] [[10월 9일]] ~ [[10월 13일]] || || {{{#fff '''주최/주관'''}}} ||<-2>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파일: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로고.svg|width=70]]]] || || {{{#fff '''제작'''}}} ||<-2> [[OGN|[[파일:OGN 로고.svg|width=70]]]] || || {{{#fff '''경기장'''}}} ||<-2> [[서울 OGN e스타디움#s-3.1|서울 OGN e스타디움 GiGA 아레나]][* OGN 스타디움의 주경기장으로, 오버워치 APEX가 진행됐던 그 경기장이다. 따라서 대회 연출은 OGN이 담당한다.] || || {{{#fff '''대회 서버 버전'''}}} ||<-2> 1.40 || || {{{#fff '''참가 팀'''}}} ||<-2> 총 10개 팀 || ||<-3> {{{#white '''중 계''' }}} || ||<-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6>
{{{#fff '''플랫폼'''}}} ||<-2> {{{-3 {{{#fff '''TV'''}}} }}} || ||<-2> || ||<-2> {{{-3 {{{#fff '''온라인'''}}} }}} || || [[한국어|[[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https://www.twitch.tv/playoverwatch_kr|[[파일:트위치 아이콘.svg|height=20]]]] || || [[영어|[[파일:글로벌 아이콘.svg|width=20]]]] ||[[https://www.twitch.tv/overwatchcontenders|[[파일:트위치 아이콘.svg|height=20]]]] || || [[중국어|[[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https://www.zhanqi.tv/topic/oc|[[파일:ZhanQi-TV.png|height=20]]]] [[https://live.bilibili.com/21316976|[[파일:빌리빌리 아이콘.svg|height=20]]]] [[https://cc.163.com/zt/oc|cc.163.com]] [[https://www.huya.com/660131|[[파일:후야 아이콘.png|height=20]]]] || ||<|12> {{{#fff '''중계진'''}}} ||<-2> {{{-3 {{{#fff '''중계 / 해설'''}}} }}} || ||<|3> [[한국어|[[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 중계 [[정소림]], [[심지수]] || || 해설 [[김정민(게임 해설가)|김정민]], [[황규형]], [[장지수(해설가)|장지수]], [[정인호]] || || 리포터 [[공진혁]] || || [[영어|[[파일:글로벌 아이콘.svg|width=20]]]] || [[울프 슈뢰더]], 아킬리오스, AVRL, JAWS, LEGDAY, PIXIE || || [[중국어|[[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 9DUO, TIME, PEACH, LAOCHEN || }}} || ||<-3> {{{#white '''일 정''' }}} || ||<-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ff '''토너먼트'''}}} ||<-2> [[10월 9일]] ~ [[10월 13일]] || || {{{#fff '''결승'''}}} ||<-2> [[10월 13일]] EM vs ATL || }}} || ||<-3> {{{#white '''상 금''' }}} || ||<-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ff '''총 상금''' }}} ||<-2> ''' $250,000 (한화 약 2억 8천만 원)''' || ||<|7> {{{#fff '''순위'''}}} || '''우승''' || '''$100,000''' || || 준우승 || $45,000 || || 3위 || $25,000 || || 4위 || $20,000 || || 5~6위 || $12,500 || || 7~8위 || $10,000 || || 9~10위 || $7,500 || }}} || ||<-3> {{{#white '''결 과''' }}} || ||<-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ff '''우승''' }}} ||<-2> '''[[Element Mystic/오버워치|Element Mystic]]''' || || {{{#fff '''준우승''' }}} ||<-2> [[애틀랜타 레인#s-5|ATL Academy]]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오버워치 컨텐더스]] 건틀릿의 2019 시즌을 다루는 문서. == 대회 규정 == *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차이나, 퍼시픽, 유럽, 북미 지역에서 좋은 성적을 거둔 10개의 팀이 참가한다. (호주 / 남미 지역 시드권 없음) * 2019 오버워치 컨텐더스 쇼다운에서 승리하여 추가로 시드권을 얻은 코리아, 북미 지역의 우승 팀은 부전승으로 '''파이널 브래킷'''에 진출한다. 북미의 경우 북미 동부와 북미 서부의 우승팀이 대결하여 승리한 한 팀이 부전승으로 파이널 브래킷에 진출한다. * '''건틀릿 그룹''' * 부전승으로 파이널 브래킷에 진출하지 못한 나머지 8팀은 A조와 B조로 4팀씩 나누어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로 경기를 진행한다. * 각 그룹에서 패자 1라운드에서 패배한 팀이 탈락하여 그룹별로 3팀씩 총 6팀이 '''파이널 브래킷'''에 진출한다. * '''파이널 브래킷''' * 총 8팀이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로 경기를 진행한다. * 건틀릿 그룹에서 1번 패배한 상태로 파이널 브래킷으로 진출할 경우 패배가 누적되어 패자 1라운드에서 시작하며 파이널 브래킷에서 1번 패배 시 탈락한다. * 승자 결승, 패자 결승, 건틀릿 결승은 4선승제(First to 4)로 진행하며, 이 외 모든 경기는 3선승제(First to 3)로 진행한다. * 공격 2명, 돌격 2명, 지원 2명이 고정되는 역할 고정(Role Lock)이 적용된다. == 참가 팀 == [include(틀:2019 오버워치 컨텐더스 건틀릿 참가 팀)]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로스터, rd1=2019 오버워치 컨텐더스 건틀릿/로스터)] == 순위 및 최종 결과 == === [[2019 오버워치 컨텐더스 건틀릿/건틀릿 그룹|건틀릿 그룹]] === ||<-8>
[[2019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2|[[파일:오버워치 컨텐더스 로고.svg|width=40]]]] {{{-1 [[2019 오버워치 컨텐더스 건틀릿|{{{#8ebb15 '''2019 건틀릿'''}}}]] {{{#fff '''건틀릿-그룹 A조 순위'''}}} }}} || || '''순위''' ||<-2> '''팀''' || '''승''' || '''패''' || '''세트 득실''' || '''득실차''' || '''비고''' || || '''1''' || [[파일:pic-20170822-200x200-6850597588.png|height=25]] || [[Element Mystic/오버워치|EM]] || 2 || 0 || 6-0-3 || +3 || || || '''2''' || [[파일:600px-Talon_Esports_logo_2019.png|height=20]] || [[Talon Esports#s-2|TLN]] || 2 || 1 || 8-0-5 || +3 || || || '''3''' || [[파일:XL2_Academy_edit.png|height=15]] || [[XL2 아카데미|XL2]] || 1 || 2 || 6-0-6 || 0 || || || '''4''' || [[파일:hsl only logo.png|height=25]] || HSL || 0 || 2 || 0-0-6 || -6 || 세트 전패 || ||<-8> {{{-2 {{{#aaddff 하늘색:}}} {{{#white 파이널 브래킷 4강 진출 |}}} {{{#ffff99 노란색:}}} {{{#white 파이널 브래킷 패자 1라운드 진출 |}}} {{{#ffaaaa 빨간색:}}} {{{#white 탈락}}} {{{#white |}}} {{{#white 볼드체: 순위 확정}}}}}} || ||<-8>
[[2019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2|[[파일:오버워치 컨텐더스 로고.svg|width=40]]]] {{{-1 [[2019 오버워치 컨텐더스 건틀릿|{{{#8ebb15 '''2019 건틀릿'''}}}]] {{{#fff '''건틀릿-그룹 B조 순위'''}}} }}} || || '''순위''' ||<-2> '''팀''' || '''승''' || '''패''' || '''세트 득실''' || '''득실차''' || '''비고''' || || 1 || [[파일:Gen.G 로고 심플.svg|height=20]] || [[Gen.G Esports/오버워치|GEN]] || 2 || 0 || 6-0-2 || +4 || || || 2 ||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Envyus_Logo.png|height=25]] || [[Team Envy/오버워치|NV]] || 2 || 1 || 8-0-3 || +5 || || || 3 || [[파일:GLEGION.png|height=25]] || [[LA 글래디에이터즈#s-4|GLL]] || 1 || 2 || 3-0-6 || -3 || || || 4 || [[파일:LGE_Logo_2018.png|height=25]] || [[LinGan e-Sports#s-2.1|LGEHY]] || 0 || 2 || 0-0-6 || -6 || 세트 전패 || ||<-8> {{{-2 {{{#aaddff 하늘색:}}} {{{#white 파이널 브래킷 4강 진출 |}}} {{{#ffff99 노란색:}}} {{{#white 파이널 브래킷 패자 1라운드 진출 |}}} {{{#ffaaaa 빨간색:}}} {{{#white 탈락}}} {{{#white |}}} {{{#white 볼드체: 순위 확정}}}}}} || === [[2019 오버워치 컨텐더스 건틀릿/파이널 브래킷|파이널 브래킷]] === ||<-7>
[[2019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2|[[파일:오버워치 컨텐더스 로고.svg|width=40]]]] {{{-1 [[2019 오버워치 컨텐더스 건틀릿|{{{#8ebb15 '''2019 건틀릿'''}}}]] {{{#fff '''최종 순위'''}}} }}} || || 순위 || 팀명 || 승 || 패 || 세트 전적 || 득실 || 비고 || || '''1''' || '''[[Element Mystic/오버워치|EM]]''' || 5 || 0 || 17-0-8 || +9 || '''우승''' || || '''2''' || [[애틀랜타 레인#s-5|ATL]] || 3 || 2 || 13-0-7 || +5 || '''준우승''' || || '''3''' || [[러너웨이/오버워치|RUN]] || 1 || 2 || 5-0-8 || -3 || 패자 조 결승 패배 || || '''4''' || [[Gen.G Esports/오버워치|GEN]] || 3 || 2 || 9-0-10 || -1 || 패자 조 3라운드 패배 || ||<|2> '''5-6''' || [[Talon Esports|TLN]] || 3 || 2 || 13-0-8 || +5 || 패자 조 2라운드 패배 || || [[XL2 아카데미|XL2]] || 2 || 3 || 9-0-9 || 0 || 패자 조 2라운드 패배 || ||<|2> '''7-8''' || [[Team Envy/오버워치|NV]] || 2 || 2 || 8-0-6 || +2 || 패자 조 1라운드 패배 || || [[LA 글래디에이터즈#s-4|GLL]] || 1 || 3 || 3-0-9 || -6 || 패자 조 1라운드 패배 || == 경기 진행 == [include(틀:2019 오버워치 컨텐더스 건틀릿 경기 일람)] == 여담 == * 쇼다운 순위에 따라 건틀릿 출전권이 달라진다. 건틀릿 출전권은 기존 쇼다운 출전권을 그대로 가져가되, 1위 팀 지역은 +1장, 5~6위 팀 지역은 -1장을 얻게 돼 퍼시픽 5장, 아틀란틱 5장, 총 10장이 된다. * OWL 2019 시즌이 끝난 뒤 열리는 국제 대회인지라 이 대회에서 두각을 드러낸 팀은 2020 시즌엔 OWL로 콜업될 확률이 높다. 실제로 리그 팀에서 각 대표 1명씩 파견하여 건틀릿 대회를 참관할 예정이다. 모든 오버워치 리그 팀들의 대표를 서울로 초청했고, 참가하는 모든 팀의 선수들에게 직접 인터뷰를 한다고 한다. * [[2019 오버워치 컨텐더스 퍼시픽 쇼다운]]에서 건틀릿 대회가 상암의 [[서울 OGN e스타디움]]에 있는 GiGA 아레나에서 열리게 된다는 발표가 났는데 이 경기장은 바로 [[오버워치 APEX]]가 진행되었던 경기장이다. 이 때문에 [[OGN]]이 오버워치 대회의 몇몇 중계권을 다시 가져가는게 아니냐는 추측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2019년 6월 21일 이후로 [[SBS AfreecaTV]]가 컨텐더스의 상위 리그인 [[오버워치 리그]]의 TV 생중계를 확정지었기 때문에 단순히 경기장만 빌린 것뿐이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2019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2]]의 플레이오프 오프라인 경기의 연출을 성남 e스포츠 페스티벌의 운영을 맡은 [[OGN]]이 담당한다는 소식 때문에 의견이 분분한 상황이다. 시즌 2 종료 이후 러너가 꽃빈 방송중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owgenji&no=822837|OGN이 건틀릿을 주관한다]]는 말을 했었는데, 한 기자가 OGN에 확인한 결과 주최와 주관은 블리자드가 맡고 OGN은 연출만 담당한다고 한다. [[https://m.gamemeca.com/view.php?gid=1580442|#]] * 건틀릿에 출전하는 팀에 관련해서 다음과 같이 흥미로운 내용들이 나왔다. * [[러너웨이/오버워치|러너웨이]][* 코치까지 포함하면 [[김대극]] 쿠키 포함.], [[Element Mystic/오버워치|엘미]], [[Gen.G Esports/오버워치|젠지]], [[XL2 아카데미]]가 건틀릿 출전권을 획득하면서, [[MVP(프로게임단)/오버워치|MVP 스페이스]] 시절 한솥밥을 먹었던 [[유성준|큐오큐]], [[김준기(프로게이머)|야키]], 운디네, [[함은상|오베론]], 비앙카가 다른 팀으로 만나게 되었다. 챌린저스 시절 선수진까지 포함하면 당시 MVP 소속이었던 현 [[LA 글래디에이터즈|글래디에이터즈 리전]] 소속의 [[이민성(프로게이머)|워터]]도 포함. * [[Element Mystic/오버워치|엘미]] 선수 MCD와 [[LinGan e-Sports|LGE.후야]] 선수인 증맥은 작년 컨텐더스 당시 [[White Whale Incheon eSports|FOXES]] 선수였다. 그러나 두 선수는 다른 조에 배정되었다. * APEX 시절 수많은 명언을 배출한 경기전 ~~도발~~ 인터뷰 영상도 제공되었다. 각종 자뻑, 허세, 도발이 난무하여 지난 APEX의 시절의 인터뷰를 떠올리게 하였다. ~~다만 선수들의 연기가 부족할 뿐~~ * 승자 인터뷰를 [[공진혁|미로]]가 진행한다. 사전에 공개되지 않은 깜짝 등장이어서 의외라는 평. 미로가 해설로서 참여했을 때는 선수 출신으로서 자신의 의견과 견해로 호평을 받았지만, 역시 리포터 분야에 있어서는 일반인에 불과했기에 버벅이고 선수 이름을 잘못부르는등 실수가 잦았다. 평소 말을 잘하는 선수와의 인터뷰에선 미로가 인터뷰를 하는게 아니라 선수가 미로를 인터뷰한다는 평을 받기도 했다. * 이전 APEX를 주관했던 [[OGN]]답게 오프닝 영상미와 옵저버의 기량 등에 대해 시청자들은 우호적인 반응을 보였다. 동일 영웅간의 미러전에서 서열 정리 직후, 두 선수의 얼굴을 표정을 잡아 주는 것 역시 여전하다. 다만 아쉽게도 BGM--ㅇㅇㄱㄹ--은 바뀌지 않았는데, 이는 블리자드가 직접 주최하는 컨텐더스의 틀을 유지하기 위함인 것으로 추측된다.[* 주관 방송사가 여러번 바뀌었음에도 그래픽 디자인에 변함이 없는 것도 이와 같은 이유로 보인다.] [[분류:오버워치/대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