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2019년]] 시행된 [[센코배 월드 바둑 여류 최강전]]. 제2회 대회이다. == 상세 == [[2019년]] [[2월 21일]] 개회식, [[2월 22일]] 8강, [[2월 23일]] 4강, [[2월 24일]] 결승 및 3-4위 전, 시상식으로 4일간 열렸다. === 본선 멤버 === * [[일본]]: 쓰쿠다 아키코 五단, 만나미 나오 四단, [[우에노 아사미]] 二단, [[뉴 에이코]] 二단 * [[한국]]: [[최정(바둑기사)|최정]] 九단 * [[중국]]: [[위즈잉]] 六단 * [[대만]]: [[헤이자자]] 七단 * [[유럽]]: 나탈리아 코발레바 아마 5단([[슬로바키아]]) === 8강전 === ||<:> 대국 ||<:> 일정 ||<:> 대국자(흑) ||<:> 대국자(백) ||<:> 해설진||<:> 승리 || ||<:> 1국 ||<:><|4> [[2019년]] [[2월 22일]][br]10:00 ||<:> 뉴에이코 ||<:> 최정 ||<|4><:> [[바둑TV]] : 장혜연(캐스터), [[백홍석(1986)|백홍석]]九단(해설), [[김채영]]五단(객원해설)[br][[K바둑]] : 김미리(캐스터), [[안형준(바둑)|안형준]](해설)||<:> 180수 백 불계승 || ||<:> 2국 ||<:> 우에노 아사미 ||<:> 헤이자자 ||<:> 208수 백 불계승 || ||<:> 3국 ||<:> 나탈리아 코발레바(A) ||<:> '''쓰쿠다 아키코''' ||<:> 170수 백 불계승 || ||<:> 4국 ||<:> '''위즈잉''' ||<:> 만나미 나오 ||<:> 203수 흑 불계승 || 헤이자자, 최정, 쓰쿠다 아키코, 위즈잉이 4강에 진출했다. === 4강전 === ||<:> 대국 ||<:> 일정 ||<:> 대국자(흑) ||<:> 대국자(백) ||<:> 해설진||<:> 승리 || ||<:> 1국 ||<:><|2> [[2019년]] [[2월 23일]] 10:00 ||<:> 헤이자자 ||<:> '''최정''' ||<|2><:>바둑TV : 장혜연(캐스터), [[이현욱]]九단(해설), [[오정아]]三단(객원해설)[* 바둑TV 편성표에 공개가 되어있지 않아, 대국일 때 추가되었다.][br]K바둑 : 김미리(캐스터), 안형준(해설)||<:> 253수 백 2집반승 || ||<:> 2국 ||<:> '''위즈잉''' ||<:> 쓰쿠다 아키코 ||<:> 213수 흑 불계승 || 최정과 위즈잉이 결승에 진출했다. === 결승/3-4위전 === ||<:> 대국 ||<:> 일정 ||<:> 대국자(흑) ||<:> 대국자(백) ||<:> 해설진||<:> 승리 || ||<:> 결승 ||<:><|2> [[2019년]] [[2월 24일]] 10:00 ||<:> '''위즈잉''' ||<:> 최정 ||<|2><:> 바둑TV:장혜연(캐스터), [[이현욱]]九단(해설), [[오유진(바둑기사)|오유진]]六단(객원해설)[br]K바둑 : 김미리(캐스터), [[안형준(바둑)|안형준]](해설) ||<:> 298수 흑 1집반승 || ||<:> 3•4위전 ||<:> 츠쿠다 아키코 ||<:> '''헤이자자''' ||<:> 166수 백 불계승 || [[분류:나무위키 바둑 프로젝트]][[분류:센코배 월드 바둑 여류 최강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