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Mid-Season Invitational 역대 대회)] ---- ||<-5> [[파일:Mid-Season Invitational 로고 화이트.svg|width=32]] '''[[Mid-Season Invitational|{{{#white Mid-Season Invitational}}}]]''' || || [[2017 Mid-Season Invitational]] || → || '''2018 Mid-Season Invitational''' || → || [[2019 Mid-Season Invitational]] || ||<-5> '''{{{#white 2018 Mid-Season Invitational 우승팀}}}''' || || [[T1/리그 오브 레전드|SK telecom T1]] || → || [[파일:RNG 로고 2017.svg|width=25]] '''[[Royal Never Give Up/리그 오브 레전드|Royal Never Give Up]]''' || → || [[G2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G2 Esports]] || ||<-5> '''{{{#white 2018 Mid-Season Invitational 결승 MVP}}}''' || || [[이재완]][br](SKT Wolf) || → || {{{#000 '''[[젠쯔하오]][br](RNG Uzi)'''}}} || → || [[라스무스 뷘터]][br](G2 Caps) || ---- [[파일:2018 msi winner.jpg|width=100%]] ---- [[파일:msi-header.jpg|width=1000]] ---- ||<-3>
[[Mid-Season Invitational|[[파일:MSI2018.webp|height=120]]]] || ||<-3> {{{+1 {{{#white '''2018 Mid-Season Invitational'''}}}}}} || || {{{#white '''대회 기간'''}}} ||<-2> [[2018년]] [[5월 3일]]~[[2018년]] [[5월 20일]] || || {{{#white '''주최''' }}} ||<-2><|2> [[라이엇 게임즈|[[파일:라이엇 게임즈 로고(2006-2019).svg|width=80]]]] || || {{{#white '''주관''' }}} || || {{{#white '''개최지'''}}} ||<-2> [[유럽|[[파일:유럽 연합 깃발.svg|width=30]]]] [[유럽]] || ||<|4> {{{#white '''경기장'''}}} ||<-2> {{{-3 {{{#white '''플레이-인/그룹 스테이지'''}}}}}} || ||<-2> [[독일|[[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베를린]] EU LCS 스튜디오 || ||<-2> {{{-3 {{{#white '''녹아웃 스테이지'''}}}}}} || ||<-2>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파리(프랑스)|파리]] 제니트 파리 라 빌레트 || || {{{#white '''조추첨식'''}}} ||<-2> [[2018년]] [[4월 24일]] || ||<|6> {{{#white '''일정'''}}} ||<-2> {{{-3 {{{#white '''플레이-인 스테이지'''}}}}}} || ||<-2> 5월 3일~5월 9일 || ||<-2> {{{-3 {{{#white '''그룹 스테이지'''}}}}}} || ||<-2> 5월 11일~5월 15일 || ||<-2> {{{-3 {{{#white '''녹아웃 스테이지'''}}}}}} || ||<-2> 5월 18일~5월 20일 || || {{{#white '''참가팀'''}}} ||<-2> 14개 팀[* 베트남의 VCS 리그가 GPL로부터 독립하여 13개 팀이 참가했던 지난 시즌에 비해 한 팀이 늘어났다.] || || {{{#white '''패치 버전'''}}} ||<-2> 8.8 || || {{{#white '''대한민국 중계'''}}} ||<-2> [[OGN|[[파일:OGN 로고(2015-2018).svg|width=100]]]][br]{{{-3 [[전용준]], [[김의중]] 캐스터/[[김동준(게임 해설가)|김동준]], [[이현우(게임 해설가)|이현우]] 해설 }}} || ||<-3> {{{#white {{{+1 '''대회 결과'''}}}}}} || || {{{#white '''우승'''}}} ||<-2> [[파일:RNG 로고 2017.svg|width=40]] '''[[Royal Never Give Up/리그 오브 레전드|Royal Never Give Up]]''' || || {{{#white '''준우승'''}}} ||<-2> [[파일:King_zone_DragonXlogo_square.png|width=25]] [[DRX/리그 오브 레전드|KING-ZONE DragonX]] || || {{{#white '''결승 MVP''' }}} ||<-2> '''[[젠쯔하오]] (RNG Uzi)'''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TsGlIkb13o, width=640, height=360)]}}}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rgxIpNcG0s, width=640, height=360)]}}} || || '''Make History''' || '''MSI 2018: Moments and Memories''' || [[2018년]] [[5월 3일]]부터 [[5월 20일]]까지 [[독일]]과 [[프랑스]]에서 개최된 제4회 [[Mid-Season Invitational]]. == 참가팀 == ||<-4>
'''{{{#white 그룹 스테이지}}}''' ||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파일:LCK white.png|width=32]]]]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white '''LCK'''}}}]] || [[Riot League Championship Series Europe|[[파일:LCS Europe_logo_white.png|width=32]]]] [[League of Legends European Championship|{{{#white '''EU LCS'''}}}]] || [[League of Legends Pro League|[[파일:LPL_White.png|width=32]]]] [[League of Legends Pro League|{{{#white '''LPL'''}}}]] ||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Series|[[파일:NA_LCS_white.png|width=32]]]]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Series|{{{#white '''LCS NA'''}}}]] || || [[DRX/리그 오브 레전드|[[파일:King_zone_DragonXlogo_square.png|width=100]]]] || [[Fnatic/리그 오브 레전드|[[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Fnaticlogo.png|width=100]]]] || [[Royal Never Give Up/리그 오브 레전드|[[파일:RNG 로고 2017.svg|width=100]]]] || [[Team Liquid/리그 오브 레전드|[[파일:Team Liquid 2023 아이콘.svg|width=100]]]] || || [[DRX/리그 오브 레전드|{{{#fff '''KING-ZONE[br]DragonX'''}}}]][* 3:1 vs [[Afreeca Freecs/리그 오브 레전드|Afreeca Freecs]]] || [[Fnatic/리그 오브 레전드|{{{#fff '''Fnatic'''}}}]][* 3:0 vs [[G2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G2 Esports]]] || [[Royal Never Give Up/리그 오브 레전드|{{{#fff '''Royal Never[br]Give Up'''}}}]][* 3:1 vs [[Edward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Edward Gaming]]] || [[Team Liquid/리그 오브 레전드|{{{#fff '''Team Liquid'''}}}]][* 3:0 vs [[100 Thieves/리그 오브 레전드|100 Thieves]]] || ||<-2>
'''{{{#white 플레이-인 녹아웃 스테이지}}}''' || || [[League of Legends Master Series|[[파일:LMS White.png|width=32]]]] [[League of Legends Master Series|{{{#white '''LMS'''}}}]] || [[Vietnam Championship Series|[[파일:VCS_white.png|width=32]]]] [[Vietnam Championship Series|{{{#white '''VCS'''}}}]] || || [[Flash Wolves/리그 오브 레전드|[[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Flash_Wolves.png|width=100]]]] || [[EVOS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파일:300px-EVOS_Esportslogo_square.png|width=100]]]] || || [[Flash Wolves/리그 오브 레전드|{{{#FFF100 '''Flash Wolves'''}}}]][* 3:0 vs [[G-Rex]]] || [[EVOS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fff '''EVOS Esports'''}}}]][* 3:2 vs [[GIGABYTE Marines]]] || ||<-4>
'''{{{#white 플레이-인 그룹 스테이지}}}''' || || [[Garena Premier League|[[파일:GPL WHITE LOGO.png|width=32]]]] '''[[Garena Premier League|{{{#fff GPL}}}]]''' || [[Turkey Champions League|[[파일:TCL oldlogo white.png|width=32]]]] '''[[Turkey Champions League|{{{#fff TCL}}}]]''' || [[Circuito Brasileiro de League of Legends|[[파일:CBLOL_white.png|width=32]]]] '''[[Circuito Brasileiro de League of Legends|{{{#fff CBLOL}}}]]''' || [[Copa Latinoamérica Sur|[[파일:CLS_lol-logo-white.png|height=32]]]] [[Copa Latinoamérica Sur|{{{#fff '''CLS'''}}}]] || || [[Ascension Gaming|[[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Ascension_Gaminglogo.png|width=100]]]] || [[SuperMassive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파일:external/am-a.akamaihd.net/supermassive-esports-57rm1o9y.png|width=100]]]] || [[KaBuM!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파일:KaBuM!_e-Sportslogo_square.png|width=100]]]] || [[Kaos Latin Gamers/리그 오브 레전드|[[파일:Kaos Latin Gamers.png|width=100]]]] || || [[Ascension Gaming|{{{#f7933f '''Ascension[br]Gaming'''}}}]][* 3:1 vs Kuala Lumpur Hunters] || [[SuperMassive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fff '''SuperMassive[br]eSports'''}}}]][* 3:1 vs [[Royal Youth/리그 오브 레전드|Royal Bandits]]] || [[KaBuM!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fff '''KaBuM![br]e-Sports'''}}}]][* 3:2 vs [[Vivo Keyd/리그 오브 레전드|Vivo Keyd]]] || [[Kaos Latin Gamers/리그 오브 레전드|{{{#e40616 '''Kaos Latin[br]Gamers'''}}}]][* 3:2 vs Rebirth eSports] || || [[LoL Continental League|[[파일:LCL_white.png|width=32]]]] [[LoL Continental League|{{{#fff '''LCL'''}}}]] || [[Oceanic Pro League|[[파일:OPL_white.png|width=32]]]] [[Oceanic Pro League|{{{#fff '''OPL'''}}}]] || [[League of Legends Japan League|[[파일:LJL_white.png|width=32]]]] [[League of Legends Japan League|{{{#fff '''LJL'''}}}]] || [[Liga Latinoamérica Norte|[[파일:lln-logo-white.png|height=32]]]] [[Liga Latinoamérica Norte|{{{#fff '''LLN'''}}}]] || || [[Gambit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파일:Gambit Esports.png|width=100]]]] || [[Dire Wolves/리그 오브 레전드|[[파일:external/lol.esportswikis.com/Dire_Wolveslogo_square.png|width=100]]]] || [[PENTAGRAM(LJL)|[[파일:300px-PENTAGRAMlogo_square.png|width=100]]]] || [[Rainbow7|[[파일:300px-Rainbow7logo_square.png|width=100]]]] || || [[Gambit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fff '''Gambit Esports'''}}}]][* 3:0 vs [[RoX(러시아 프로게임단)|RoX]]] || [[Dire Wolves/리그 오브 레전드|{{{#1aaa84 '''Dire Wolves'''}}}]][* 3:2 vs [[Chiefs Esports Club/리그 오브 레전드|Chiefs Esports Club]]] || [[PENTAGRAM(LJL)|{{{#d0281b '''PENTAGRAM'''}}}]][* 3:0 vs [[DetonatioN FocusMe/리그 오브 레전드|DetonatioN FocusMe]]] || [[Rainbow7|{{{#fff '''Rainbow7'''}}}]][* 3:1 vs [[Infinity eSports CR]]] || 지난 2년간의 월드 챔피언십, MSI 성적을 바탕으로 각 지역이 처음 시작할 단계를 배정한다. [[http://www.leagueoflegends.co.kr/?m=esports_intro&mod=esports_newsview&idx=962&p=1&category=&keyword=|#]] 참조. === [[/로스터|로스터]]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각 팀의 로스터, rd1=2018 Mid-Season Invitational/로스터)] == 경기의 진행 == [include(틀:2018 Mid-Season Invitational 경기 일람)] == [[/결산|총평 및 결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18 Mid-Season Invitational/결산)] == [[ESPN]] 선정 팀 파워 랭킹 == [[http://www.espn.com/esports/story/_/id/23378275/mid-season-invitational-2018-power-rankings|원문]] ||<#5c5c0a><:>'''{{{#fff 순위}}}''' ||<#5c5c0a><:>'''{{{#fff 팀}}}''' ||<#5c5c0a><:>'''{{{#fff 리그}}}''' ||<#5c5c0a><:>'''{{{#fff 지역}}}''' ||<#5c5c0a><:>'''{{{#fff 배치된 스테이지}}}''' ||<#5c5c0a><:>'''{{{#fff 결과}}}''' || || 1위 || [[DRX/리그 오브 레전드|KING-ZONE DragonX]] || LCK || 한국 || 그룹 || 준우승 || || 2위 || [[Royal Never Give Up/리그 오브 레전드|Royal Never Give Up]] || LPL || 중국 || 그룹 || '''우승''' || || 3위 || [[Team Liquid/리그 오브 레전드|Team Liquid]] || NA LCS || 북미 || 그룹 || 그룹 스테이지 탈락(5위) || || 4위 || [[Fnatic/리그 오브 레전드|Fnatic]] || EU LCS || 유럽 || 그룹 || 녹아웃 스테이지 탈락(4위) || || 5위 || [[Flash Wolves#s-4]] || LMS || 대만·홍콩·마카오 || 플레이-인 녹아웃 || 녹아웃 스테이지 탈락(3위) || || 6위 || [[SuperMassive eSports]] || TCL || 터키 || 플레이-인 그룹 || 플레이-인 녹아웃 스테이지 탈락(7위) || || 7위 || [[EVOS Esports]] || VCS || 베트남 || 플레이-인 녹아웃 || 그룹 스테이지 탈락(6위) || || 8위 || [[KaBuM! e-Sports]] || CBLOL || 브라질 || 플레이-인 그룹 || 플레이-인 그룹 스테이지 탈락(9위) || || 9위 || [[Gambit Esports]] || LCL || 독립국가연합 || 플레이-인 그룹 || 플레이-인 녹아웃 스테이지 탈락(8위) || || 10위 || [[Rainbow7]] || LLN || 중미 || 플레이-인 그룹 || 플레이-인 그룹 스테이지 탈락(10위) || || 11위 || [[Ascension Gaming]] || GPL || 동남아 || 플레이-인 그룹 || 플레이-인 그룹 스테이지 탈락(공동 12위) || || 12위 || [[Kaos Latin Gamers]] || CLS || 남미 || 플레이-인 그룹 || 플레이-인 그룹 스테이지 탈락(공동 12위) || || 13위 || [[Dire Wolves]] || OPL || 오세아니아 || 플레이-인 그룹 || 플레이-인 그룹 스테이지 탈락(11위) || || 14위 || [[PENTAGRAM(LJL)|PENTAGRAM]] || LJL || 일본 || 플레이-인 그룹 || 플레이-인 그룹 스테이지 탈락(14위) || 5대 메이저 지역이 상위권을 차지하며 대부분 납득할 만한 순위가 나왔지만 [[Team Liquid/리그 오브 레전드|Team Liquid]]가 [[Fnatic/리그 오브 레전드|Fnatic]]보다 높은 순위를 받았다. 또한 플레이-인 그룹 스테이지에 출전한 [[SuperMassive eSports]]가 녹아웃 스테이지에서 대기하고 있던 [[EVOS Esports]]보다 높은 순위를 받았던 점도 눈에 띈다. 이후 대회가 진행되고 여러 우여곡절이 있었다. 5위를 받았던 FW가 조별리그에서 엄청난 학살극을 보여주며 눈도장을 단단히 찍었고 이번에도 유럽이 북미보다 좋은 성적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랭킹 1, 2위인 KZ과 RNG의 결승전이 성사되었고 RNG가 우승을 차지했다. == 기념 스킨 == === 정복자 바루스(Conqueror Varus) === ||<-4> [[파일:varus_Conqueror.jpg|width=100%]] || || '''가격''' || 975RP[br](한정판) || '''동영상''' || [[https://youtu.be/UqSCDELqsxY|#]] || >유럽에서 개최된 2018 미드시즌 인비테이셔널 기념 스킨 2018 Mid-Season Invitational 기념 스킨으로 나오는 정복자 스킨 시리즈의 일원이다. 짧은 백발을 하고, 안광과 공격이 붉은 빛을 띠는 점에서는 정복자 카르마와 유사하나 카르마에 비해서 복장에 검은색이 많이 들어갔다. == 여담 == * [[SK텔레콤 T1/리그 오브 레전드|SK telecom T1]]이 LCK 스프링 시즌 우승에 실패하면서 베식타스 시절에도 MSI에 진출했던 TCL의 [[SuperMassive eSports]]가 유일한 MSI 개근 팀이 되었다. 한편 3년 연속 입상 기록은 SKT와 [[Flash Wolves]]가 가지게 되었다. * 베트남 리그가 이번 시즌부터 개별 리그로 승격하였고, 이번 대회에서는 플레이-인 녹아웃 스테이지로 직행하였다. * LPL은 이번 스프링 결승을 4월 28일에 하기 때문에 조 추첨식을 할 때까지 MSI 참가 팀을 알 수 없는 유일한 리그가 되었지만 [[Royal Never Give Up/리그 오브 레전드|Royal Never Give Up|]]과 [[Edward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Edward Gaming]]의 결승 대진이 확정되면서 유일하게 매년 MSI 참가 팀이 달랐던 LPL의 징크스가 깨지게 되었고 RNG가 스프링 시즌을 우승하며 LPL 최초 MSI 2회 출전이라는 영광을 안게 되었다. 거기다 RNG가 MSI를 우승해 LPL에게 국제 대회에서 LCK를 제외한 우승팀 2팀을 최초로 배출한 리그라는 영광을 안게 해주었다. * 2015 우승 팀인 EDG와 2016, 2017 우승 팀인 SKT 모두 이번 MSI 진출에 실패하면서 이번 대회에서 새로운 MSI 우승 팀이 탄생하게 되었다. * 이번 MSI에 참가하는 LMS를 제외한 메이저 지역 팀들의 원딜은 모두 2015, 2016 올스타전에 참가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5대 지역 중 대만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월드클래스이면서 자국 리그의 스타 플레이어인 선수가 모이는 대회가 된 지라 이들의 대결 구도가 주목 되고 있다. 특히 서양권에서는 [[마르틴 라르손|Rekkles]]와 [[피터 펭|Doublelift]]의 맞대결이 최대 관심사. * SKT 대신 LCK의 새로운 1인자로 우뚝 선 [[KING-ZONE DragonX/리그 오브 레전드|KING-ZONE DragonX]]가 MSI도 제패할지도 초미의 관심사. 전세계 화제성 2위 팀이던 중국 [[Invictus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Invictus Gaming]]가 포스트시즌 탑솔러 부상 변수와 원딜러 경험 변수로 허무하게 무너진 시점, 단기 대회 변수만 제거하면 킹존의 우승이 매우 유력하다고 평가받고 있'''었'''다. [[2018 Mid-Season Invitational/결승|그러나....]] * 한국 중계를 전담한 [[OGN]]에서 객원 해설을 초청했는데 다음과 같다. || [[홍민기(프로게이머)|MadLife]] || 플레이-인 스테이지 3일차[br]녹아웃 스테이지 4강 2일차 || || [[허승훈|Huni]] || 그룹 스테이지 1, 2일차 || || [[엄성현|UmTi]] || 그룹 스테이지 1일차 4~6경기[br]녹아웃 스테이지 4강 1일차 || || [[이호종|Flame]] || 그룹 스테이지 2일차 1~3경기 || || [[권상윤|Sangyoon]] || 그룹 스테이지 3일차 || || [[이성진(프로게이머)|CuVee]] || 그룹 스테이지 4일차 1~3경기 || || [[조용인|CoreJJ]] || 그룹 스테이지 4일차 4~6경기 || || [[노회종|SnowFlower]] || 그룹 스테이지 5일차 1~3경기 || || [[이동근(프로게이머)|IgNar]] || 그룹 스테이지 5일차 4~6경기 || * 이와는 별개로 OGN 중계 한정으로 관전 포인트, 밴픽, 경기 종료 등 BGM은 최근 사용된 [[리그 오브 레전드 2017 시즌 월드 챔피언십|2017 롤드컵]],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 2017|2017 롤스타전]] 당시 사용하는 BGM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 이번 대회에 참가한 팀 중에 한국 선수가 로스터로 등록되어 있는 팀은 LCK의 [[KING-ZONE DragonX]][* [[김동하(프로게이머)|김동하]](Khan), [[문우찬]](Cuzz), [[한왕호]](Peanut), [[곽보성]](Bdd), [[김종인(프로게이머)|김종인]](PraY), [[강범현]](GorillA)] NA LCS의 [[Team Liquid]][* [[정언영]](Impact), [[김주성(프로게이머)|김주성]](Olleh), --유진 박(Pobelter)--], LMS의 [[Flash Wolves]][* [[김무진]](Moojin)], TCL의 [[SuperMassive eSports]][* [[이창석(프로게이머)|이창석]](GBM), [[노회종]](SnowFlower)], LJL의 [[PENTAGRAM(LJL)|PENTAGRAM]][* [[장세영(프로게이머)|장세영]](Once), 양광우(Gaeng)]이며 참가한 한국 선수는 총 13명이다. * 5대 리그의 참가 팀들 중 [[KING-ZONE DragonX/리그 오브 레전드|한 팀]]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 팀들은 서머 시즌마저 우승하며 2018 롤드컵에 각 지역 1시드로 출전에 성공했다. * 5년뒤인 [[2023 Mid-Season Invitational|2023년]] 유럽은 다시 한번 MSI 개최지가 되었고, 결과도 [[JDG Intel Esports Club/리그 오브 레전드|LPL팀]]의 우승으로 끝나며 비슷한 느낌을 받게 되었다.[* 차이점이라면 이때는 메이저리그는 두 팀씩 참가했기 때문에 JDG의 상대는 같은 리그의 [[Bilibili Gaming Pingan Bank|BLG]]였다.] == 둘러보기 == [include(틀:LoL e스포츠 국제 대회)] [[분류:2018 Mid-Season Invitation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