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남자 축구)] [목차] == 개요 ==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축구]]의 남자 토너먼트 16강 경기 내용을 다룬다. 이 문서에서 사용되는 시간대는 현지시간(UTC+7)을 기준으로 한다. 16강 진출팀은 다음과 같다. || 진출팀 || 비고 || 진출팀 || 비고 || 진출팀 || 비고 || || 인도네시아 || A조 1위 || 팔레스타인 || A조 2위 || 홍콩 || A조 3위 || || 우즈베키스탄 || B조 1위 || 방글라데시 || B조 2위 || 아랍 에미리트 || C조 3위 || || 중국 || C조 1위 || 시리아 || C조 2위 || 바레인 || E조 3위 || || 베트남 || D조 1위 || 일본 || D조 2위 || 사우디아라비아 || F조 3위 || || 말레이시아 || E조 1위 || 대한민국 || E조 2위 || || 이란 || F조 1위 || 북한 || F조 2위 || == 조 3위간 성적 순위 == || '''조''' ||<-2> '''국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비고''' || || '''A''' ||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30]] || [[홍콩 축구 국가대표팀|{{{#373a3c,#dddddd '''홍콩'''}}}]] || 4 || 2 || 1 || 1 || 9 || 5 || '''+4''' || '''7''' || || || '''F'''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30]] || [[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373a3c,#dddddd '''사우디아라비아'''}}}]] || 3 || 1 || 1 || 1 || 3 || 3 || '''0''' || '''4''' || || || '''E''' || [[파일:바레인 국기.svg|width=30]] || [[바레인 축구 국가대표팀|{{{#373a3c,#dddddd '''바레인'''}}}]] || 3 || 1 || 1 || 1 || 5 || 10 || '''-5''' || '''4''' || || || '''C'''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30]] || [[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373a3c,#dddddd '''아랍에미리트'''}}}]] || 3 || 1 || 0 || 2 || 5 || 4 || '''+1''' || '''3''' || || || '''D''' || [[파일:파키스탄 국기.svg|width=30]] || [[파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373a3c,#dddddd '''파키스탄'''}}}]] || 3 || 1 || 0 || 2 || 2 || 8 || '''-6''' || '''3''' || || || '''B''' || [[파일:태국 국기.svg|width=30]] || [[태국 축구 국가대표팀|{{{#373a3c,#dddddd '''태국'''}}}]] || 3 || 0 || 2 || 1 || 2 || 3 || '''-1''' || '''2''' || || == 1경기: 팔레스타인 0 : 1 시리아 == || 경기일 ||<-2> 2018년 8월 23일 16시 || || 국가 ||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width=30]] 팔레스타인 || [[파일:시리아 국기.svg|width=30]] 시리아 || || 득점 || 0 || 1 || || 득점자 || - || 73' 아스카 아흐마드 || == 2경기: 베트남 1 : 0 바레인 == || 경기일 ||<-2> 2018년 8월 23일 19시 30분 || || 국가 || [[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30]] 베트남 || [[파일:바레인 국기.svg|width=30]] 바레인 || || 득점 || 1 || 0 || || 득점자 || 88' 응우옌 꽁 프엉 || - || == 3경기: 우즈베키스탄 3 : 0 홍콩 == || 경기일 ||<-2> 2018년 8월 23일 16시 || || 국가 ||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width=30]] 우즈베키스탄 ||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30]] 홍콩 || || 득점 || 3 || 0 || || 득점자 || 27' 알리베브 이크롬존[br]60' 시디코브 자보킬[br]65' 유린보에브 자빈킬로 || - || == [[김학범호/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이란전|4경기: 이란 0 : 2 대한민국]] == ||<-3>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축구/남자 16강|[[파일: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로고.svg|width=50]][br]{{{#1f2954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남자 축구 16강전'''}}}]][br]{{{#871996 '''2018년 8월 23일 목요일 19:30 (UTC+7)'''}}}[* 대한민국 시각 기준 2018년 8월 23일 목요일 21:30.] || ||<-3> {{{#ffffff '''위바와 묵티 스타디움 {{{#ffffff ([[인도네시아|{{{#ffffff '''인도네시아'''}}}]], [[찌카랑|{{{#ffffff '''찌카랑)'''}}}]]}}}'''}}} || ||<-3> {{{#ffffff '''주심: [[요르단|[[파일:요르단 국기.svg|width=30]]]] 아흐마드 야쿠브 이브라힘'''}}} || || [[파일:이란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100]] ||<|2> {{{+5 {{{#000000 '''0 : 2'''}}}}}} ||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2002~2019) 블랙.svg|height=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23%, #ff0000 23%, #ff0000 25%, #fff 25%, #fff 75%, #ff0000 75%, #ff0000 77%, #fff 77%)"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이란 국기.svg|width=30]] {{{#ff0000 '''이란'''}}}]]}}} ||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ffffff '''대한민국'''}}}]] || || '''-'''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000000 '''40' [[황의조|{{{#000000 '''황의조'''}}}]][br]55' [[이승우|{{{#000000 '''이승우'''}}}]]'''}}} || ||<-3> {{{#000000 '''[[https://m.youtube.com/watch?v=sBaF6U4RZ0U&pp=ygUN7ZWc6rWtIOydtOuegA%3D%3D|{{{#000000 '''경기 하이라이트'''}}}]]'''}}} || ||<-3> {{{#000000 '''경기 최우수 선수: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학범호/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이란전)] == 5경기: 중국 3 : 4 사우디아라비아 == || 경기일 ||<-2> 2018년 8월 24일 16시 || || 국가 ||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중국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30]] 사우디아라비아 || || 득점 || 3 || 4 || || 득점자 || 80' 야오준솅[br]88' 후앙진창[br]90+5' [[웨이스하오]] || 16, 33, 60' 카마라 하로우네 무사[br]29' 사드 알리 알셀로울리 || ---- 사우디아라비아가 4:0으로 크게 앞서면서 싱겁게 승리를 거두나 싶었지만 후반 중국의 추격도 만만치 않았다. 결국 경기 종료 직전인 90+5분 3번째 만회골까지 넣었지만 시간은 중국을 더 기다려주지 않았다. == 6경기: 인도네시아 2 (A.E.T. 3 : 4 PSO) 2 아랍에미리트 == || 경기일 ||<-2> 2018년 8월 24일 16시 || || 국가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30]] 아랍에미리트 ||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30]] 인도네시아 || || 득점 || 2(4) || 2(3) || || 득점자 || 20, 65' 알라메리 자예드 || 52' 알베르토 곤칼베스 다 코스타[br]90+4' 리리파리 스테파노 잔테 || ---- || 승부차기 결과 || 1 || 2 || 3 || 4 || 5 || || 인도네시아 || '''{{{#blue O}}}''' || '''{{{#red X}}}''' || '''{{{#blue O}}}''' || '''{{{#red X}}}''' || '''{{{#blue O}}}''' || || 아랍에미리트 || '''{{{#blue O}}}''' || '''{{{#blue O}}}''' || '''{{{#blue O}}}''' || '''{{{#red X}}}''' || '''{{{#blue O}}}''' || ---- 후반 추가시간에 인도네시아가 극적인 동점골을 넣어 토너먼트 최초로 연장전에 돌입했다. 연장전에서도 승부가 나지 않아 승부차기로 가게 되었다. 승부차기 순서는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때와 마찬가지로 ABBA 방식(ㄹ자 순서)이 아닌 기존 방식(Z자 순서)으로 진행하며, 인도네시아가 선축이었다. 첫 번째 차례는 양 팀이 나란히 성공, 두 번째 차례에서 인도네시아 측 키커가 홈런을 날려서 1:2로 기울기 시작했다. 세 번째 차례는 또 양 팀이 나란히 성공했다. 네 번째 차례에서 인도네시아 측 키커가 골키퍼에게 갖다주는 킥으로 또 실축하면서 아랍에미리트가 바로 끝내버릴 찬스가 왔으나 아랍에미리트 측 키커도 골을 성공시키지 못하고 크로스바를 때려 다섯 번째 차례까지 갔다. 그 뒤 다섯 번째 키커가 모두 성공하면서 3:4로 아랍에미리트가 승리했다. == 7경기: 방글라데시 1 : 3 북한 == || 경기일 ||<-2> 2018년 8월 24일 21시 30분 || || 국가 ||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width=30]] 방글라데시 || [[파일:북한 국기.svg|width=30]] 북한 || || 득점 || 1 || 3 || || 득점자 || 90'+1 우딘 사드 || 13' [[김유성]](PK)[br]38' [[한용태]][br]69' [[강국철]] || ---- 경기 내내 북한이 주도하면서 우위를 점한 결과 3골을 넣으면서 사실상 승리를 확정지었으며, 후반전 추가 시간에 방글라데시가 한 골을 만회한 게 전부였다. == 8경기: 말레이시아 0 : 1 일본 == || 경기일 ||<-2> 2018년 8월 24일 19시 30분 || || 국가 ||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30]] 말레이시아 ||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일본 || || 득점 || 0 || 1 || || 득점자 || - || 89' 우에다 아야세(PK) || ---- 경기 내내 지루한 공방전이 이어지다 종료 직전에 [[페널티킥]]을 얻은 일본이 승리했다. 이 경기를 마지막으로 8강 대진표가 완성되었다. [[분류: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축구]][[분류:김학범호/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