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클래식 테트리스 월드 챔피언십 대회 일람)] [목차] == 개요 == ||[youtube(ThrrYKPmIQ4)]|| || 2017 CTWC 예고편 || * 기간: 2017년 10월 21-22일 * 스폰서: 테트리스 컴퍼니, 세가[* 8강 시작 전 [[뿌요뿌요 테트리스]] 광고가 나온다.], Rensselaer * 해설진 * 32강~16강: Chris Bidwell, Adam Cornelius * 8강~결승: Chris Tang, James Chen * 방송 송출 플랫폼: [[트위치]] * 종목: [[닌텐도 테트리스|NES 테트리스]], [[테트리스 더 그랜드 마스터|TGM]], [[SNES]][* 다만 결과는 찾기 힘들다.] * NES 부문 상금: 우승 $1,000, 준우승 $500 * NES 부문 우승 - Jonas Neubauer * NES 부문 준우승 - Alex Kerr * NES 부문 3, 4위 - Hauser, Matt Buco * TGM 부문 우승 - Koryan * SNES 부문 우승 - Heather Ito[* [[https://www.instagram.com/p/BahmeP4gY9I/|#]]] * 기타사항: * 현재로서는 SNES 부문이 개최된 마지막 대회이다. == 지역 대회들 == * CTEC * NES 부문 우승: Svavar Gunnarsson * 마니토바 * 우승: Mikel Rondeau == NES 부문 경기 진행 == ||<:>[[파일:2017ctwc.png|width=750]]|| || 대진표 || || '''각주(아랫첨자)''' || '''비고''' || || A || 점수로 앞선 상황에서 상대방이 먼저 탑아웃하여 승리한 경우 || || B || 점수로 앞선 상황에서 플레이어가 먼저 탑아웃했지만 상대방이 점수를 따라잡지 못하고 탑아웃하여 승리한 경우 || || C || 점수가 뒤처진 상황에서 상대방이 먼저 탑아웃하고 상대방의 점수를 따라잡아 승리한 경우 || || D || 기타 이유 (기술적 문제 등) || === 본선 진출자들 === ||
'''시드''' || '''플레이어''' || '''예선 점수''' ||<|17>|| '''시드''' || '''플레이어''' || '''예선 점수''' || || 1 || Koryan[* 본명 니시오 코지] || 999,999 x2 || 17 || Alex Kerr || 790,309 || || 2 || Harry Hong || 990,173 || 18 || Peter Grisafi || 779,940 || || 3 || Jonas Neubauer || 984,700 || 19 || Sean Miller || 743,310 || || 4 || Bo Steil || 952,214 || 20 || SQR[* 본명 아카키 쇼] || 676,675 || || 5 || Hauser[*스포일러 본명 Sean Ritchie. Quaid에서 닉네임을 바꾸었다. 근데 가발과 안경을 쓰고 나와서 4강까지 '''해설자들이 동일인물이란걸 눈치채지 못했다.'''] || 904,573 || 21 || Rigel Pearce || 645,269 || || 6 || Trey Harrison || 892,695 || 22 || Sam Parry || 635,311 || || 7 || Matt Buco || 884,829 || 23 || Frank Westphal || 634,713 || || 8 || Jani Herlevi || 868,480 || 24 || Stacy Schierholz || 630,004 || || 9 || Ben Mullen || 866,399 || 25 || Gin Morgan || 625,809 || || 10 || Jeff Moore || 858,890 || 26 || Robin Mihara || 614,348 || || 11 || Chad Muse || 852,720 || 27 || Kevin Birrell || 589,075 || || 12 || Chris Brady || 852,280 || 28 || Greg Vander Velden || 538,695 || || 13 || Eli Markstrom || 839,816 || 29 || Paul Tesi || 520,358 || || 14 || Mike Winzinek || 837,307 || 30 || Mary Powell || 509,616 || || 15 || Joey Parker || 828,314 || 31 || Douglas Arcadi || 504,443 || || 16 || Matt Schoolmaster || 816,252 || 32 || Vince Clemente || 499,744 || * 2010년 첫 CTWC 대회부터 개근한 여성 플레이어 Dana Wilcox를 이번 대회 본선에서는 볼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그녀의 개근 기록은 7년 (2010~2016)에서 멈추게 되었으며, 대회 창설 이후 본선 개근자는 이제 Jonas Neubauer, Harry Hong, Matt Buco 3명 뿐이다. * 스트리머 KevinDDR(Kevin Birrell)이 2012 CTWC 이후 5년 만에 다시 출전했다. * 일본에서 플레이어가 한 명 더 유입되었다. Koryan을 따라 SQR이 20시드로 진출. 참고로 둘 다 TGM 플레이어 출신이다. * 2017년 예선전에서 일본 선수 Koryan이 예선에서 Max-Out (999,999) 을 '''2번이나''' 기록하여 화제가 되었다. [youtube(rb9HbWvMy_A)] === 32강 === ==== 메인 스테이지 ==== ||
[youtube(Sxz7rtCz48A)]|| ||
<-9><:> 1경기 || ||<-2><:>Jani Herlevi,,8,,|| '''2''' || 라인 클리어 횟수 ||<:>시작 레벨 || 라인 클리어 횟수 || 0 ||<-2><:>Gin Morgan,,25,,|| || 1세트 점수 || 334,400,,C,, || ○ || 116 ||<|2> 18 || 108 || × || 311,644 || 1세트 점수 || || 2세트 점수 || 459,700,,C,, || ○ || 187 || 142 || × || 453,844 || 2세트 점수 || ||<#32CD32><-3><:>'''16강 진출'''||<-3><:><#007FFF> '''결과'''||<#CD5C5C><-3><:>탈락|| ||
<-9><:> 2경기 || ||<-2><:>Matt Schoolmaster,,16,,|| 0 || 라인 클리어 횟수 ||<:>시작 레벨 || 라인 클리어 횟수 || '''2''' ||<-2><:>Alex Kerr,,17,,|| || 1세트 점수 || 308,081 || × || 123 ||<|2> 18 || 126 || ○ || 455,240,,A,, || 1세트 점수 || || 2세트 점수 || 441,244 || × || 142 || 141 || ○ || 515,420,,A,, || 2세트 점수 || ||<#CD5C5C><-3><:>탈락||<-3><:><#007FFF> '''결과'''||<#32CD32><-3><:>'''16강 진출'''|| ||
<-9><:> 3경기 || ||<-2><:>Rigel Pearce,,21,,|| 0 || 라인 클리어 횟수 ||<:>시작 레벨 || 라인 클리어 횟수 || '''2''' ||<-2><:>Chris Brady,,12,,|| || 1세트 점수 || 57,388 || × || 40 || 18 || 44 || ○ || 121,256 || 1세트 점수 || || 2세트 점수 || 282,865 || × || 140 || 15 || 144 || ○ || 393,125 || 2세트 점수 || ||<#CD5C5C><-3><:>탈락||<-3><:><#007FFF> '''결과'''||<#32CD32><-3><:>'''16강 진출'''|| 이 경기에서는 재미있게도, 1세트와 2세트의 두 플레이어의 라인 클리어 횟수가 둘 다 정확히 100줄 차이가 났다. ||
<-9><:> 4경기 || ||<-2><:>SQR,,20,,|| 0 || 라인 클리어 횟수 ||<:>시작 레벨 || 라인 클리어 횟수 || '''2''' ||<-2><:>Eli Markstrom,,13,,|| || 1세트 점수 || 462,505 || × || 135 ||<|2> 18 || 170 || ○ || 483,150,,C,, || 1세트 점수 || || 2세트 점수 || 86,459 || × || 29 || 37 || ○ || 93,145,,A,, || 2세트 점수 || ||<#CD5C5C><-3><:>탈락||<-3><:><#007FFF> '''결과'''||<#32CD32><-3><:>'''16강 진출'''|| ||
<-9><:> 5경기 || ||<-2><:>Joey Parker,,15,,|| 0 || 라인 클리어 횟수 ||<:>시작 레벨 || 라인 클리어 횟수 || '''2''' ||<-2><:>Peter Grisafi,,18,,|| || 1세트 점수 || 406,867 || × || 132 ||<|2> 18 || 184 || ○ || 408,725,,C,, || 1세트 점수 || || 2세트 점수 || 151,454 || × || 42 || 59 || ○ || 153,140,,C,, || 2세트 점수 || ||<#CD5C5C><-3><:>탈락||<-3><:><#007FFF> '''결과'''||<#32CD32><-3><:>'''16강 진출'''|| 2016년 32강 리매치. Peter가 작년의 패배를 설욕하고 16강 진출에 성공한다. ||
<-9><:> 6경기 || ||<-2><:>Robin Mihara,,26,,|| 0 || 라인 클리어 횟수 ||<:>시작 레벨 || 라인 클리어 횟수 || '''2''' ||<-2><:>Matt Buco,,7,,|| || 1세트 점수 || '''2 (...)'''[* 하필 시작부터 19-드라우트 때문에 한 줄도 지우지 못했다. 참고로, 0줄 클리어 경기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고 2015년 32강 사이드 스테이지 경기에서는 Ryan Ritchie가 2세트에서 '''0'''점으로 패한 적이 있긴 하다.] || × || 0 || 18 || 9 || ○ || 26,667,,A,, || 1세트 점수 || || 2세트 점수 || 383,930 || × || 143 || 15 || 182 || ○ || 385,127,,C,, || 2세트 점수 || ||<#CD5C5C><-3><:>탈락||<-3><:><#007FFF> '''결과'''||<#32CD32><-3><:>'''16강 진출'''|| ||
<-9><:> 7경기 || ||<-2><:>Sean Miller,,19,,|| '''2''' || 라인 클리어 횟수 ||<:>시작 레벨 || 라인 클리어 횟수 || 1 ||<-2><:>Mike Winzinek,,14,,|| || 1세트 점수 || 429,750 || × || 145 ||<|3> 18 || 154 || ○ || 456,076,,B,, || 1세트 점수 || || 2세트 점수 || 464,720,,A,, || ○ || 143 || 150 || × || 224,612 || 2세트 점수 || || 3세트 점수 || 251,940,,A,, || ○ || 61 || 58 || × || 118,146 || 3세트 점수 || ||<#32CD32><-3><:>'''16강 진출'''||<-3><:><#007FFF> '''결과'''||<#CD5C5C><-3><:>탈락|| ||
<-9><:> 8경기 || ||<-2><:>Trey Harrison,,6,,|| '''2''' || 라인 클리어 횟수 ||<:>시작 레벨 || 라인 클리어 횟수 || 0 ||<-2><:>Kevin Birrell,,27,,|| || 1세트 점수 || 215,621,,A,, || ○ || 72 || 18 || 66 || × || 103,769 || 1세트 점수 || || 2세트 점수 || 398,251,,B,, || ○ || 144 || 15 || 198 || × || 351,053 || 2세트 점수 || ||<#32CD32><-3><:>'''16강 진출'''||<-3><:><#007FFF> '''결과'''||<#CD5C5C><-3><:>탈락|| ==== 사이드 스테이지 ==== ||<:><-4>'''32강 사이드 스테이지'''|| || Koryan,,1,, ||'''2'''|| 0 || Vince Clemente,,32,, || || Ben Mullen,,9,, ||'''2'''|| 0 || Stacy Schierholz,,24,, || || Bo Steil,,4,, ||'''2'''|| 0 || Paul Tesi,,29,, || || Hauser,,5,, ||'''2'''|| 0 || Greg Vander Velden,,28,, || || Harry Hong,,2,, ||'''2'''|| 0 || Douglas Arcadi,,31,, || || Jeff Moore,,10,, ||'''2'''|| 0 || Frank Westphal,,23,, || || Jonas Neubauer,,3,, ||'''2'''|| 0 || Mary Powell,,30,, || || Chad Muse,,11,, ||'''2'''|| 1 || Sam Parry,,22,, || === 16강 === 16강부터는 모든 매치가 레벨 18에서 시작된다. ==== 메인 스테이지 ==== ||
[youtube(tf-AO25wuK8)]|| ||
<-8><:> 1경기 || ||<-2><:>Jani Herlevi,,8,, || '''2''' ||<-2><:> 라인 클리어 횟수 || 1 ||<-2><:>Ben Mullen,,9,, || || 1세트 점수 || 569,700 || × || 184 || 223 || ○ || '''933,420,,A,,'''[* 본선에서 첫 맥스아웃이 나올 뻔한 경기였다! 아쉽게도 드라우트 때문에 레벨 28에서 탑아웃하긴 했지만.] || 1세트 점수 || || 2세트 점수 || 343,140,,A,, || ○ || 103 || 92 || × || 192,674 || 2세트 점수 || || 3세트 점수 || 142,880,,A,, || ○ || 62 || 54 || × || 107,256 || 3세트 점수 || ||<#32CD32><-3><:>'''8강 진출'''||<-2><:><#007FFF> '''결과'''||<#CD5C5C><-3><:>탈락|| ||
<-8><:> 2경기 || ||<-2><:>Alex Kerr,,17,, || '''2''' ||<-2><:> 라인 클리어 횟수 || 1 ||<-2><:>Koryan,,1,, || || 1세트 점수 || 659,260 || × || 207 || 213 || ○ || 712,700,,A,, || 1세트 점수 || || 2세트 점수 || 552,900,,C,, || ○ || 205 || 165 || × || 552,020 || 2세트 점수 || || 3세트 점수 || 512,860,,A,, || ○ || 157 || 151 || × || 472,820 || 3세트 점수 || ||<#32CD32><-3><:>'''8강 진출'''||<-2><:><#007FFF> '''결과'''||<#CD5C5C><-3><:>탈락|| ||
<-8><:> 3경기 || ||<-2><:>Jeff Moore,,10,, || 0 ||<-2><:> 라인 클리어 횟수 || '''2''' ||<-2><:>Matt Buco,,7,, || || 1세트 점수 || 250,420 || × || 60 || 78 || ○ || 278,713,,C,, || 1세트 점수 || || 2세트 점수 || 552,676 || × || 200 || 197 || ○ || 639,149,,B,, || 2세트 점수 || ||<#CD5C5C><-3><:>탈락||<-2><:><#007FFF> '''결과'''||<#32CD32><-3><:>'''8강 진출'''|| ||
<-8><:> 4경기 || ||<-2><:>Eli Markstrom,,13,, || '''2''' ||<-2><:> 라인 클리어 횟수 || 1 ||<-2><:>Bo Steil,,4,, || || 1세트 점수 || 615,797 || × || 195 || 187 || ○ || 651,791,,A,, || 1세트 점수 || || 2세트 점수 || 460,243,,A,, || ○ || 126 || 108 || × || 310,855 || 2세트 점수 || || 3세트 점수 || 139,383,,A,,[* Bo가 탑아웃함과 동시에 점수차를 뒤집었다.] || ○ || 56 || 36 || × || 126,925 || 3세트 점수 || ||<#32CD32><-3><:>'''8강 진출'''||<-2><:><#007FFF> '''결과'''||<#CD5C5C><-3><:>탈락|| ||
<-8><:> 5경기 || ||<-2><:>Chris Brady,,12,, || 0 ||<-2><:> 라인 클리어 횟수 || '''2''' ||<-2><:>Hauser,,5,, || || 1세트 점수 || 423,700 || × || 148 || 145 || ○ || 424,721,,C,, || 1세트 점수 || || 2세트 점수 || 530,747 || × || 134 || 184 || ○ || 531,097,,C,, || 2세트 점수 || ||<#CD5C5C><-3><:>탈락||<-2><:><#007FFF> '''결과'''||<#32CD32><-3><:>'''8강 진출'''|| ==== 사이드 스테이지 ==== ||<:><-4>'''16강 사이드 스테이지'''|| || Harry Hong,,2,, ||'''2'''|| 0 || Peter Grisafi,,18,, || || Jonas Neubauer,,3,, ||'''2'''|| 0 || Sean Miller,,19,, || || Chad Muse,,11,, ||'''2'''|| 1 || Trey Harrison,,6,, || === 8강 === * 격투게임 대회 [[EVO]] 해설자 제임스 첸 (James Chen)이 깜짝 출연해 크리스 탕와 함께 8강부터 해설진에 합류했다. 2016년 GDQ HOTFIX 이벤트전에서 온라인으로 같이 해설한 적이 있지만 CTWC에서 라이브로 해설하는 건 이번이 처음. ||
[youtube(fwDF-ZGBA2Q)]|| ||
<-8><:> 1경기 || ||<-2><:>Matt Buco,,7,, || '''2''' ||<-2><:> 라인 클리어 횟수 || 1 ||<-2><:>Harry Hong,,2,, || || 1세트 점수 || 723,028,,C,, || ○ || 232 || 231 || × || 697,824 || 1세트 점수 || || 2세트 점수 || 329,894 || × || 131 || 153 || ○ || 478,362,,A,, || 2세트 점수 || || 3세트 점수 || 704,918,,C,, || ○ || 218 || 217 || × || 662,892 || 3세트 점수 || ||<#32CD32><-3><:>'''4강 진출'''||<-2><:><#007FFF> '''결과'''||<#CD5C5C><-3><:>탈락|| ||
<-8><:> 2경기 || ||<-2><:>Chad Muse,,11,, || 1 ||<-2><:> 라인 클리어 횟수 || '''2''' ||<-2><:>Jonas Neubauer,,3,, || || 1세트 점수 || 496,700,,B,, || ○ || 130 || 138 || × || 430,960 || 1세트 점수 || || 2세트 점수 || 541,260 || × || 132 || 137 || ○ || 563,940,,A,, || 2세트 점수 || || 3세트 점수 || 359,860 || × || 98 || 106 || ○ || 362,914,,C,, || 3세트 점수 || ||<#CD5C5C><-3><:>탈락||<-2><:><#007FFF> '''결과'''||<#32CD32><-3><:>'''4강 진출'''|| 1경기와 2경기가 동시에 생중계되는 가운데 Jonas Neubauer과 Harry Hong이 '''둘 다 1세트를 내주는''' 이변이 일어났다. Jonas는 이후 두 세트를 가져가며 4강 진출에 성공했지만, Harry는 안타깝게도 그러지 못했다. ||
<-8><:> 3경기 || ||<-2><:>Hauser,,5,, || '''2''' ||<-2><:> 라인 클리어 횟수 || 0 ||<-2><:>Eli Markstrom,,13,, || || 1세트 점수 || 474,360,,A,, || ○ || 180 || 183 || × || 392,552 || 1세트 점수 || || 2세트 점수 || 415,210,,A,, || ○ || 133 || 142 || × || 385,677 || 2세트 점수 || ||<#32CD32><-3><:>'''4강 진출'''||<-2><:><#007FFF> '''결과'''||<#CD5C5C><-3><:>탈락|| Hauser의 무난한 승리. Eli는 2세트 내내 40만대를 넘지 못하며 탑아웃하고 패배했다. ||
<-8><:> 4경기 || ||<-2><:>Jani Herlevi,,8,, || 1 ||<-2><:> 라인 클리어 횟수 || '''2''' ||<-2><:>Alex Kerr,,17,, || || 1세트 점수 || 39,140,,A,, || ○ || 19 || 8 || × || 6,840 || 1세트 점수 || || 2세트 점수 || 482,200 || × || 193 || 205 || ○ || 529,000,,A,, || 2세트 점수 || || 3세트 점수 || 742,040 || × || 230 || 230 || ○ || 778,920,,B,, || 3세트 점수 || ||<#CD5C5C><-3><:>탈락||<-2><:><#007FFF> '''결과'''||<#32CD32><-3><:>'''4강 진출'''|| Alex Kerr이 작년 8강에 이어 1세트에서 뇌절하며 패배했으나, 2,3세트에서 접전끝에 승리하며 4강 진출에 성공했다. 특히 3세트는 1경기를 능가하는 점수 명승부가 나올 정도. === 4강 === ||
[youtube(vukZku_UVdg)]|| ||
<-8><:> 1경기 || ||<-2><:>Hauser,,5,, || 1 ||<-2><:> 라인 클리어 횟수 || '''2''' ||<-2><:>Alex Kerr,,17,, || || 1세트 점수 || 502,095,,C,, || ○ || 183 || 147 || × || 500,040 || 1세트 점수 || || 2세트 점수 || 643,963 || × || 224 || 224 || ○ || 677,820,,B,, || 2세트 점수 || || 3세트 점수 || 582,621 || × || 192 || 188 || ○ || 681,100,,B,, || 3세트 점수 || ||<#CD5C5C><-3><:>탈락||<-2><:><#007FFF> '''결과'''||<#32CD32><-3><:>'''결승 진출'''|| 알렉스 커가 1세트를 내주었으나 2,3세트를 내리 가져가며 자신의 2번째 결승 진출에 성공한다.[* 2011년 결승 진출 경력 있음] ||
<-8><:> 2경기 || ||<-2><:>Matt Buco,,7,, || 0 ||<-2><:> 라인 클리어 횟수 || '''2''' ||<-2><:>Jonas Neubauer,,3,, || || 1세트 점수 || 498,061 || × || 193 || 194 || ○ || 642,310,,A,, || 1세트 점수 || || 2세트 점수 || 572,386 || × || 178 || 185 || ○ || 715,007,,A,, || 2세트 점수 || ||<#CD5C5C><-3><:>탈락||<-2><:><#007FFF> '''결과'''||<#32CD32><-3><:>'''결승 진출'''|| 8강에서 돌풍을 일으킨 Matt Buco는 아쉽게 4강에서 행보를 마무리했다. 그래도 오랜만의 4강 진출이니 선전했다고 볼 수 있다. 참고로 4강에서 탈락한 Hauser의 진짜 정체는 눈치챈 사람도 있겠지만 '''사실 Quaid였다'''. 분명 2016년에 은퇴를 선언했는데 말이다 (...). 탈락 확정 뒤 소품을 모두 벗어 던지고 "F**k this s**t"을 외치며 퇴장하는 부분이 압권.[* 스포츠맨십을 버렸다고 까일 여지가 있긴 하지만 장난성 이벤트였다. --그리고 가발은 Koryan이 가졌다--] 더 웃긴건 '''해설자들마저 이 일이 있기 전까지 Hauser가 Quaid인지를 알지 못했다'''.[* 그래서 James Chen 해설자가 "테트리스계의 마이클 조던"이라고 드립을 쳤다. 은퇴 번복이라는 공통점 때문에(...)] 결국 대회가 끝나고 "HAUSER IS A FRAUD" (하우저는 가짜다) 라는 밈이 성행했다.[* 경기 시작 전 실제로 Hauser is a Fraud라는 문구를 아이패드에 써 보인 관객이 있었다. 그때 그것이 무슨 뜻인지 해설진들은 알았을 지...] === 결승 === ||[youtube(6rNgSitjDjk)]|| ||
<-8><:> 결승 (5판 3선승) || ||<-2><:>Jonas Neubauer,,3,, || '''3''' ||<-2><:> 라인 클리어 횟수 || 0 ||<-2><:>Alex Kerr,,17,, || || 1세트 점수 || 743,546,,A,, || ○ || 210 || 200 || × || 727,700 || 1세트 점수 || || 2세트 점수 || 735,900,,C,, || ○ || 218 || 210 || × || 734,440 || 2세트 점수 || || 3세트 점수 || 180,120,,C,, || ○ || 52 || 43 || × || 175,180 || 3세트 점수 || ||<#FFD700><-3><:>'''우승'''||<-2><:><#007FFF> '''결과'''||<#C0C0C0><-3><:>준우승|| 1세트에서 Jonas가 무려 '''12만점''' 차이를 따라잡으며 승리했다. 상당한 명경기로 회자되는 경기. 2세트도 Jonas의 막판 역전승으로 끝났으며, 3세트에서는 Alex가 이른 시점에서 실수해 탑아웃하며 Jonas가 무난하게 7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당연하다듯이 1위 트로피를 건네주는 관계자[* Adam Cornelius. 대회 프로듀서 중 한명이자 영화 감독이다.]는 덤(...). Alex에겐 굉장히 아쉬운 피니시였다. 2세트를 연속으로 석패해서 그런지 3세트에서 겨우 43줄밖에 못 지우고 말았는데, 이로써 오래된 숙적인 Jonas를 이번에도 이기지 못하고 고배를 마셔야 했다.[* 사실 Jonas vs Harry라는 라이벌 관계에 밀려서 그렇지 Alex Kerr도 Jonas와 라이벌 사이다. 2011년 결승, 2015년 4강, 2016년 8강, 그리고 2017년 결승에서 만났는데 모두 패해서 극상성이 있긴 하지만...] === 결과 === * [[https://thectwc.com/results/|공식 순위표]] ||<:>'''순위'''||<:>'''플레이어'''||<:>'''시드'''||<:>'''최종 성적'''||<:>'''비고'''|| ||<:> '''1''' || Jonas Neubauer || 3 || '''우승''' 상금 $1,000 || || ||<:> '''2''' || Alex Kerr || 17 || 준우승 상금 $500 || || ||<:> '''3''' || Hauser (Sean Ritchie) || 5 ||<|2><:>4강|| || ||<:> '''4''' || Matt Buco || 7 || || ||<:> '''5''' || Jani Herlevi || 8 ||<|4><:>8강|| || ||<:> '''6''' || Harry Hong || 2 || || ||<:> '''7''' || Chad Muse || 11 || || ||<:> '''8''' || Eli Markstrom || 13 || || ||<:> '''9''' || Koryan (니시오 코지) || 1 ||<|8><:>16강|| || ||<:> '''10''' || Trey Harrison || 6 || || ||<:> '''11''' || Bo Steil || 4 || || ||<:> '''12''' || Ben Mullen || 9 || || ||<:> '''13''' || Sean Miller || 19 || || ||<:> '''14''' || Chris Brady || 12 || || ||<:> '''15''' || Jeff Moore || 10 || || ||<:> '''16''' || Peter Grisafi || 18 || || ||<:> '''17''' || Sam Parry || 22 ||<|16><:>32강 || 본선 첫 진출 || ||<:> '''18''' || Mike Winzinek || 14 || || ||<:> '''19''' || Frank Westphal || 23 || || ||<:> '''20''' || Gin Morgan || 25 || || ||<:> '''21''' || Matt Schoolmaster || 16 || || ||<:> '''22''' || Joey Parker || 15 || || ||<:> '''23''' || SQR (아카키 쇼) || 20 || 본선 첫 진출 || ||<:> '''24''' || Kevin Birrell || 27 || || ||<:> '''25''' || Stacy Schierholz || 24 || 본선 첫 진출 || ||<:> '''26''' || Vince Clemente || 32 || || ||<:> '''27''' || Paul Tesi || 29 || 본선 첫 진출 || ||<:> '''28''' || Robin Mihara || 26 || || ||<:> '''29''' || Rigel Pearce || 21 || || ||<:> '''30''' || Mary Powell || 30 || 본선 첫 진출 || ||<:> '''31''' || Douglas Arcadi || 31 || 본선 첫 진출 || ||<:> '''32''' || Greg Vander Velden || 28 || 본선 첫 진출 || == TGM 부문 경기 진행 == === 규칙 === * 예선에서 Grand Master 칭호를 가장 빠른 시간내에 달성한 8명이 본선에 진출한다. * 4인 1조로 2개의 조로 나뉘며[* 한 조는 1, 4, 5, 8시드, 다른 한 조는 2, 3, 6, 7시드로 구성된다.] 각 조에서 2명이 결승에 진출한다. * 플레이어 4명이 동시에 게임을 진행하며, 각 세트당 GM 칭호를 달성한 순서에 따라 제공되는 점수는 다음과 같다. || '''순위''' || '''포인트''' || || 1 || 4 || || 2 || 2 || || 3 || 1 || || 4 || 0 || * 조별리그에서는 2세트, 결승전에서는 3세트를 플레이한다. 조별리그에서는 두 세트가 끝난 후 합계 점수가 가장 높은 2명이 결승에 진출하며, 결승에서는 3세트가 모두 끝난 후 합계 점수가 가장 높은 플레이어가 우승한다. === 조별리그 === || [youtube(a0xTEkejOtI)] || [youtube(wSh6CZsVRhI)] || || 조별리그 1조 || 조별리그 2조 || ||<:><-5>'''2017 CTWC TGM 부문 조별리그 1조'''|| || || KevinDDR || GyRo || Kitaru (Alex Kerr) || SQR || || 1세트 || '''2위''' (2점) 09:59.66 || '''4위''' (0점) GM 달성 실패 || '''3위''' (1점) 10:21.41 || '''1위''' (4점) 09:46.58 || || 2세트 || '''1위''' (4점) 09:49.33 || '''3위''' (1점) GM 달성 실패[* SQR이 먼저 탑아웃했다.] || '''2위''' (2점) 10:29.75 || '''4위''' (0점) GM 달성 실패 || || '''결과''' || '''6점''' '''조 1위, 결승 진출''' || 1점 조 4위, 탈락 || 3점 조 3위, 탈락 || '''4점''' '''조 2위, 결승 진출''' || ||<:><-5>'''2017 CTWC TGM 부문 조별리그 2조'''|| || || aperturegrillz || Koryan || mat || Qlex || || 1세트 || '''3위''' (1점) 10:14.41 || '''2위''' (2점) 09:53.43 || '''4위''' (0점) GM 달성 실패 || '''1위''' (4점) 09:51.78 || || 2세트 || '''1위''' (4점) 09:51.15 || '''2위''' (2점) 09:58.80 || '''3위''' (1점) GM 달성 실패[* Qlex가 먼저 탑아웃했다.] || '''4위''' (0점) GM 달성 실패 || || '''결과''' || '''5점''' '''조 1위, 결승 진출''' || '''4점''' '''조 2위, 결승 진출''' || 1점 조 4위, 탈락 || 4점 조 3위, 탈락[* 점수는 Koryan과 동일하나 2세트에서 Qlex가 GM 달성을 실패해서 Koryan이 달성 수(2회)에서 우위를 점했다.] || === 결승 === ||[youtube(qz_alXUk0jg)]|| || 결승전 || ||<:><-5>'''2017 CTWC TGM 부문 결승'''|| || || KevinDDR || Koryan || aperturegrillz || SQR || || 1세트 || '''2위''' (2점) 09:40.23 || '''1위''' (4점) 09:35.18 || '''4위''' (0점) 10:15.11 || '''3위''' (1점) 09:49.93 || || 2세트 || '''3위''' (1점) 09:52.61 || '''2위''' (2점) 09:43.23 || '''4위''' (0점) 10:22.80 || '''1위''' (4점) 09:36.65 || || 3세트 || '''1위''' (4점) 09:42.41 || '''3위''' (1점) 09:43.21 || '''4위''' (0점) 10:39.00 || '''2위''' (2점) 09:43.00 || || '''결과''' || '''7점''' || '''7점''' || 0점 4위 || '''7점''' || '''그야말로 피 튀기는 결승전.''' 조별리그와는 달리 리타이어가 단 한 번도 없었으며, 3세트에서 KevinDDR, Koryan, SQR이 거의 동시에 GM을 달성하면서 1위와 3위의 시간 차이가 '''단 0.8초'''라는 미친 상황이 연출된다. 하지만 그보다 더 경악할 만한 것은 3세트 종료 직후 '''이 세 명의 점수 합이 모두 7점으로 똑같았다는 것.''' 이 전례없는 상황이 펼쳐지자 심판들은 다급히 회의를 한 끝에 세 명의 각 세트 GM 달성 시간을 모두 더해 총 시간이 가장 짧은 사람이 우승을 차지하는 것으로 결정했다. 그리고 그 결과는... || '''순위''' || '''플레이어''' || '''총합 시간''' || || '''우승''' || '''Koryan''' || '''29:01.62''' || || 준우승 || SQR || 29:09.58 || || 3위 || KevinDDR || 29:15.25 || 그렇게 Koryan이 작년 TGM2 부문 우승에 이어 2017년 TGM 부문을 우승했다. === 결과 === ||<:>'''순위'''||<:>'''플레이어'''||<:>'''비고'''|| ||<:> '''1''' || Koryan || '''우승''' || ||<:> '''2''' || SQR || 준우승 || ||<:> '''3''' || KevinDDR || || ||<:> '''4''' || Aperturegrillz || || ||<|2><:> '''5''' || Qlex ||<|2>조 3위|| || Kitaru (Alex Kerr) || ||<|2><:> '''7''' || mat ||<|2>조 4위|| || GyRo || == 여담 == * 여러모로 이변이 많은 대회였는데, 일본 선수 SQR과 Koryan[* 2016년에 4강까지 진출.]이 각각 32강, 16강에서 탈락해 버렸다. 또한 조나스의 라이벌인 해리 홍도 8강에서 탈락해 고배를 마셔야 했다. 2016년 준우승자인 제프 무어도 16강에서 탈락했다. * [[조나스 뉴바우어]]가 워낙 독보적인 플레이어다 보니 2017년에는 그의 명장면들을 모아놓은 동영상과 우승 후 인터뷰 영상이 올라왔다. 그러나 이후 2018-2020 CTWC에서는 우승컵을 들지 못했고, '''안타깝게도 2021년 1월에 뉴바우어가 사망하면서 이 대회는 그가 마지막으로 우승한 대회이자, 그의 마지막 불꽃으로 남게 되었다.''' || [youtube(_XM0_i3HtDE)] || [youtube(YuIIUmM0lzI)] || || 조나스의 2017 CTWC 명장면 TOP 10 || 인터뷰 || == 외부 링크 == [[분류:클래식 테트리스 월드 챔피언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