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오버워치 APEX Challengers/역대 대회)] ||<-5><:> '''[[오버워치 APEX Challengers|{{{#F99E1A 오버워치 APEX Challengers}}}]] {{{#ffffff 역대 시즌 · 승강제 일람 }}}''' || ||<:> [[오버워치 APEX SUPERWEEK 시즌 2|오버워치 APEX[br]SUPERWEEK 시즌 2]] ||<:> 강등 → ||<|3><:> '''2017 오버워치 [br] APEX Challengers 시즌 3''' ||<:> 승격 → ||<:> [[오버워치 HOT6 APEX 시즌 4]] || ||<:> [[2017 오버워치 APEX Challengers 시즌 2|2017 오버워치[br]APEX Challengers 시즌 2]] ||<:> 잔류 → ||<|2><:> (잔류)[* 본래 잔류할 예정인 팀이 2팀 있었으나 챌린저스 시즌 3가 끝나고 2팀 모두 해체해서 실질적으로 잔류하는 팀이 없다.] → ||<|2><:> [[2017 오버워치 APEX Challengers 시즌 4|2017 오버워치[br]APEX Challengers 시즌 4]] || ||<:> [[오버워치 전국 PC방 경쟁전]] ||<:> 우승 → || [[파일:external/img.lifestyler.co.kr/3XH2TCEYFJGWJ1YD3UQJ.jpg]] [목차] == 개요 == * [[http://program.interest.me/ongamenet/apexchallengers?rcnt=1|공식 사이트]] * 주관 방송사 : [[OGN]] PLUS * 후원사 :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 접수 기간 : 2017. 4. 26. (수) ~ 2017. 5. 2. (화) * 온라인 예선: 2017. 5. 6. (토) ~ 2017. 5. 7. (일) * 오프라인 예선: 2017. 5. 13. (토) * 대회 기간 : 2017. 5. 24. (수) ~ 2017. 7. 12. (수) * 8강 : 2017. 5. 24. (수) ~ 2017. 6. 22. (목) * 6강 : 2017. 6. 26. (월) ~ 2017. 7. 12. (수) * 경기요일: 월/수/목 * 총 상금: 645만원 * 파이트 머니: 15만 원 (승리팀 10만원, 패배팀 5만원) == 참가 팀 == [include(틀:2017 오버워치 APEX Challengers 시즌 3 참가 팀)] == 본선 == ||<-2>
<:> '''[[2017 오버워치 APEX Challengers 시즌 3|{{{#F99E1A 2017 오버워치 APEX Challengers 시즌 3}}}]] {{{#ffffff 경기 기록}}}''' || || [[2017 오버워치 APEX Challengers 시즌 3/1차 리그|1차 리그]] || [[2017 오버워치 APEX Challengers 시즌 3/2차 리그|2차 리그]] || == 순위 == 이하는 1차 리그의 성적과 2차 리그의 성적을 종합한 순위표이다. ||
<-9><:><#050099>'''{{{#white 최종 순위}}}'''|| ||<#ffffff><:>순위||||<#ffffff><:>팀명||<#ffffff><:>전||<#ffffff><:>승||<#ffffff><:>패||<#ffffff><:>세트 전적||<#ffffff><:>득실||<#ffffff><:>비고|| ||<:>'''1'''||<:>[[파일:팀LW.png]]||<:>[[Team LW|LW Red]]||<:>12||<:>10||<:>2||<:>34-15||<:>+19||<:><|5> '''APEX 승격''' || ||<:>'''2'''||<:>[[파일:gcbusanheight25.png]]||<:>[[GC Busan/오버워치/2017년 11월 이전|GC Busan]]||<:>12||<:>10||<:>2||<:>31-15||<:>+16|| ||<:>'''3'''||<:>[[파일:ncfoxesheight25.png]]||<:>[[NC Foxes]]||<:>12||<:>8||<:>4||<:>29-20||<:>+9|| ||<:>'''4'''||<:>[[파일:roxorcaslogoheight25.png]]||<:>[[ROX Orcas]]||<:>12||<:>5||<:>7||<:>25-23||<:>+2|| ||<:>'''5'''||<:>[[파일:metaheight25.png]]||<:>[[The Meta|Meta Bellum]]||<:>12||<:>4||<:>8||<:>20-27||<:>-7|| ||<:>'''6'''||<:>[[파일:Afreeca Freecs 로고(2016-2020).png|height=25]]||<:>[[Afreeca Freecs/오버워치|Afreeca Freecs Red]]||<:>12||<:>5||<:>7||<:>21-25||<:>-4||<|1><:>챌린저스 잔류|| ||<-9><:>1차 리그에서 탈락|| ||<:>'''7'''||<:>[[파일:MVPheight25.png]]||<:>[[MVP Infinity]]||<:> 7||<:> 1||<:> 6||<:>4-20||<:>-16||<:> 챌린저스 잔류 || ||<:>'''8'''||<:>[[파일:EHOMEheight25.png]]||<:>[[EHOME|EHOME Shield]]||<:> 7 ||<:> 0||<:> 7||<:>2-21||<:>-19||<:> 탈락 || == 기타 == * 이번 시즌부터는 1차 리그와 2차 리그로 나뉘어서 치르게 되었다. 풀리그 방식의 특성 상 중후반을 넘기면 승강전 진출팀과 탈락팀의 윤곽이 뚜렷해지기에 일부 팀의 사기 저하를 방지하고자 함이라고 한다. * 순위 집계 방식이 1부 리그와 동일하게 변경되었다. 지난 시즌의 이상한 순위 집계 방식 때문에 여러 팀이 피해를 봤던 것을 생각하면 아주 좋은 조치라는 평이다. * EHOME 소속의 장지수 선수가 해설에 참여하게 되었다. 지난 시즌 해설팀이 하나 같이 나사 빠졌다는 악평을 들을 정도로 안좋은 해설을 했는데 이전에도 개인적으로 에이펙스 해설을 맡았던 장지수가 참여하면서 꽤 괜찮은 해설이 되었다는 평가. * APEX 시즌 3에서 [[BK Stars]]와 [[Rhinos Gaming Wings]]가 16강 탈락 후 해체함으로 챌린저스 소속 팀들에게 기회가 더 생기게 되었다. 조 4위인 Rhinos Gaming Wings의 해체로 승강전 진출팀이 한팀 늘어나고, 잔류 확정이었던 BK Stars의 해체로 승강전에서 1부로 진출할 팀의 수가 하나 늘어날 가능성이 높아졌고, [[Mighty AOD]]는 팀명을 [[Ardeont]]로 변경해 해외리그로 떠남을 발표해 승강전에 참석하지 않게 되었다. 결국 7월 7일자 공지를 통해 '''상위 5팀이 승강전 없이''' 승격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분류:AP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