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CK 역대 대회)] ---- ||<-5> [[파일:CK_white_only.png|width=32]] '''{{{#fff 역대}}} [[League of Legends Challengers Korea|{{{#fff LOL Challengers Korea}}}]] {{{#fff 일람}}}''' || || [[ESC Shane|ESC EVER]] ||<|2> {{{+1 →}}} || [[KONGDOO MONSTER]] ||<|2> {{{+1 →}}} || [[Ever8 Winners]] || || [[2016 네네치킨 LoL Challengers Korea Spring|2016 LoL Challengers Korea Spring]] || '''2016 LoL Challengers Korea Summer''' || [[2017 LoL Challengers Korea Spring]] || [목차] == 개요 == [include(틀:2016 LoL Challengers Korea Summer 참가팀)] * 주최: 라이엇게임즈 * 주관: [[나이스게임TV]] * 중계진: ~~김경우~~[* LCS-롤챌스 듀얼 캐스터 등 상당한 노동 시간을 자랑했으나 SNS 문제 발언 업로드로 자진 퇴사.], [[정진호(1976)|정진호]], [[김의중]] 캐스터[* 월, 화요일은 ~~김경우~~ → 정진호, 목요일은 김의중 캐스터 담당], [[하광석]], [[강퀴|강승현]] 해설 * 스폰서: 각주 참고.[* 이번 시즌에는 네이밍 스폰서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방송 시작시 자막으로 나오는 스폰서에는 [[네네치킨]], [[다나와]], [[뉴에라]], [[도루코]] PACE7, [[인텔]] SSD, ETRON 등이 기재되어 있다.] * 캐치프레이즈: * 장소: 신도림 나이스게임TV 스튜디오 * 우승팀: [[콩두 몬스터]] * 준우승팀: [[SBENU KOREA]] * 리그 기간: 2016년 5월 30일(월)~2016년 8월 13일(토) * 정규시즌: 2016년 5월 30일(월)~2016년 7월 21일(목) * 플레이오프: 2016년 7월 26일(화)~2016년 8월 13일(토) * 진행 방식 * 오프라인 풀 리그/'''3전 2선승제''' * 개막전: [[Ever8 Winners]] vs [[SBENU KOREA]] * 결승전: 2016년 8월 13일 * 결승전 장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프릭 업 스튜디오]] * 인터넷 방송: 네이버 스포츠, [[아프리카TV]], [[다음팟]], [[http://www.azubu.tv/ngtv|아주부TV]] * VOD: [[https://www.youtube.com/channel/UCVR8eG4I5Fies8NQFWF-KsA|유튜브]], [[https://tv.kakao.com/channel/2658142/playlist/54427|카카오TV]] * 특이 사항 * [[League of Legends Challengers Korea]] 출범 후 시행되는 다섯 번째 대회이자 '''Bo3 풀 리그'''로 진행되는 첫 번째 대회. * 지난 시즌과 마찬가지로 주 3일제를 도입. 월/화/목 오후 5시부터 1경기씩 진행하나 예외적으로 5주차부터 8주차까지의 화요일에는 '''오후 2시부터 2경기씩 진행한다.''' * 역시 지난 시즌처럼 모든 경기를 신도림 나이스게임TV 스튜디오[* 나겜 PC방으로 알려진 그 곳과 같은 층에 있다.]에서 오프라인으로 진행하며 전 경기 무료 직관이 가능하다. * 이번 시즌부터 플레이오프 진출 팀의 숫자가 4개에서 6개로 증가하였으며, 최종 순위 상위 2팀은 승강전에 진출한다. * ESC Ever와 MVP 두 팀 모두 승격에 성공하면서 [[롤러와]]에서 나온 썰들에 따르면 제 2의 에버, MVP를 꿈꾸며 팀들이 모두 고조되어있다고 한다. * 팀 전력 자체가 많이 바뀐 팀들도 많고 스타더스트 같이 거의 공중분해되어 리빌딩한 팀들도 있는 상황. 다만 이러한 선수들이 해외로 진출한 케이스도 있고 스타더스트 소속이던 [[박재혁(1998)|Ruler]](당시 닉네임 Bung)같이 롤챔스 팀으로 영입된 케이스도 있고 많이 얻어맞긴 했어도 그래도 롤챔스 경험이 있는 스베누, 콩두 같은 팀이 해체되지 않고 잔류하면서 팬들의 관심도도 많이 높아진 상태다. ~~스프링때보다 홍보만 많이 하면 좋을거 같은데..~~ * 여기에 더해, 나겜 자체에서도 인력 유출이 심한 편이다. 먼저 기존에 OGN에서 얼굴을 보이던 단군 김의중 캐스터가 월/화요일 롤챔스 OGN 온라인 중계를 맡게 되면서 롤챌스에서는 목요일에만 마이크를 잡게 되었고[* 월/화요일은 상술된 것처럼 '에스퍼란자' 김경우 캐스터가 진행했었다.], 방송 진행의 핵심 인력 중 하나였던 배다솔 PD의 경우도 스포티비 측에서 스카웃되어 이탈하는 등 방송 내/외적으로 중요한 인력이 상당히 유출된 상황이다. 인벤에서는 '선수만 올려보내는 게 아니라 방송 스태프들도 올려보낸다'라는 말이 나왔을 정도. * 상술된 것처럼 플레이오프 시작 시점에서 김경우 캐스터가 문제 발언을 SNS에 올리면서 논란이 되어 자진 퇴사.[* [[나이스게임TV/사건 사고]] 문서 참고.] 플레이오프부터는 김경우 캐스터의 역할을 홀스 정진호 사장이 직접 대신한다. ~~직원이 싼 똥 다 치우는 홀사장~~ == 경기의 진행 == ||<-6> '''2016 LoL Challengers Korea Summer 참가팀''' || ||<-6> '''[[2016 코카-콜라 제로 LoL Champions Korea Summer/승강전|{{{#white 2016 롤챔스 Summer 승강전 강등}}}]]''' || ||<-3> [[SBENU KOREA]] ||<-3> [[콩두 몬스터]] || ||<-6> '''[[2016 네네치킨 LoL Challengers Korea Spring|{{{#white 2016 롤챌스 Spring 출전}}}]]''' || ||<-2> [[Ever8 Winners]] ||<-2> [[StarDust(프로게임단)|Stardust]] ||<-2> [[Pathos]] || ||<-6> '''{{{#white 2016 롤챌스 Summer 예선 통과}}}'''[* 나이스게임TV 공지에 올라온 순서대로 정렬.] || ||<-2> [[Virtuoso Gaming]] ||<-2> [[Rising Star Gaming]] ||<-2> [[I Gaming Star]] || ||<-7> '''2016 LoL Challengers Korea Summer 정규시즌 순위표''' || || {{{#white '''순위'''}}} || {{{#white '''팀명'''}}} || {{{#white '''승'''}}} || {{{#white '''패'''}}} || {{{#white '''득실'''}}} || {{{#white '''비고'''}}} || || '''1''' || '''[[SBENU KOREA]]''' || '''7''' || 0 || +12 || '''[[전승준|전승 준우승]]''' || || '''2''' || '''[[콩두 몬스터|KONGDOO MONSTER]]''' || '''5''' || 2 || +5 || '''우승''', 롤챔스 승격 || || '''3''' || '''[[Ever8 Winners]]''' || '''4''' || 3 || +3 || || || '''4''' || '''[[StarDust(프로게임단)|Stardust]]''' || '''4''' || 3 || +3 || || || '''5''' || '''[[Rising Star Gaming]]''' || '''4''' || 3 || +2 || || || '''6''' || '''[[I Gaming Star]]''' || '''2''' || 5 || -5 || || || '''7''' || '''[[Virtuoso Gaming]]''' || '''1''' || 6 || -9 || || || '''8''' || '''[[Pathos]]''' || '''1''' || 6 || -11 || || ||<-6> • 하늘색: 준결승 직행, 분홍색: 플레이오프 진출, 빨간색 : 탈락. 볼드체 : 순위 확정 || * 지난 시즌 5위 [[Dark Wolves]]는 챌린저스 확정 참가 시드권이 존재하였으나 챌린저스 참여 포기를 선언하였다. 이로 인해 예선에서 1자리를 추가로 뽑게 되었다.[* Virtuoso Gaming(구 Wolves Gaming)은 다크 울브즈에 소속되었던 선수가 1명 있었으나 두 팀간 직접적인 연관성은 없다고.] * 지난 시즌 꼴찌였던 WAY의 경우 7위였던 스퀘어처럼 챌린저스-클럽 시리즈 승강전(챌린저스 예선)을 치렀어야 했으나 팀이 해체되면서 승강전 참가를 포기했다. == [[2016 LoL Challengers Korea Summer/정규시즌|정규시즌]] == [[2016 LoL Challengers Korea Summer/정규시즌]] 문서 참고. == [[2016 LoL Challengers Korea Summer/포스트시즌|포스트시즌]] == [[2016 LoL Challengers Korea Summer/포스트시즌]] 문서 참고. == [[2017 LoL Champions Korea Spring/승강전|승강전]] == [[2017 LoL Champions Korea Spring/승강전]] 참고. == 총평 == == 관련 문서 == * [[2016 코카-콜라 제로 LoL Champions Korea Summer]] * [[2017 LoL Champions Korea Spring/승강전]] [[분류:2016 LoL Challengers Korea Summ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