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15 개정 교육과정]] [include(틀:상위 문서, top1=2015 개정 교육과정/영어과/고등학교)]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과목을 계승한 2022 개정 교육과정, rd1=2022 개정 교육과정/영어과/고등학교/영어 독해와 작문)] [include(틀: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영어)] [목차] == 개요 == [[2015 개정 교육과정]] 영어과의 일반 선택 과목으로, 보통 학교에서는 고3때 배우지만[* 교과 자체는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도입되었다. 이때는 일반 교과와 심화 교과(심화 영어 독해와 작문)로 구분되었다.], 고2때 배우는 학교도 있다.[* 영역별 성취 기준을 보면 영어Ⅱ의 기준이 영어 독해와 작문보다 더 높다.] 독해만 주야장천 배우며 작문은 수행평가 외에는 아예 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 고3에 개설된 경우 [[수능특강]], [[수능완성]], 모의고사 지문으로 진도를 나간다. 사실 이건 영어 회화를 비롯한 영어 과목 전체가 그렇긴 하다. 그러나 영어 I과 영어 II의 경우 교과서 진도를 나가긴 한다. 약칭은 영독. == 영어 독해와 작문 == === 읽기 === * 그림, 사진, 도표, 대상, 줄거리, 주제, 요지 * 일이나 사건의 순서/전후 관계/원인/결과, 필자의 의도/목적/심정/태도 * 문맥 속 낱말/어구/문장의 의미, 글의 숨겨진 의미 *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세부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주제 및 요지를 파악할 수 있다. *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내용의 논리적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필자의 의도나 글의 목적을 파악할 수 있다. *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필자의 심정이나 태도를 추론할 수 있다. *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함축적 의미를 추론할 수 있다. === 쓰기 === * 대상, 상황, 의견, 감정, 그림, 사진, 도표, 경험, 계획, 주제, 요지 * 서식, 이메일, 메모, 미래의 계획, 진로, 그림, 도표 * 일반적 주제에 관하여 듣거나 읽고 세부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 일반적 주제에 관하여 듣거나 읽고 간단하게 요약할 수 있다. * 일반적 주제에 관해 자신의 의견이나 감정을 쓸 수 있다. * 학업과 관련된 서식, 이메일, 메모 등을 작성할 수 있다. * 미래의 계획이나 진로 등에 관하여 글을 쓸 수 있다. * 일반적 주제에 관한 그림, 도표 등을 설명하는 글을 쓸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