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2012년 투아레그 반란'''}}}[br]'''Tuareg Rebellion of 2012'''}}} || ||<-2> [[말리 내전]]과 [[투아레그 반란]] 중 일부, [[아랍의 봄]]의 여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100%]]}}} || ||<-2> '''{{{#fff 기간}}}''' || ||<-2> [[2012년]] [[1월 16일]] ~ [[2012년]] [[4월 6일]] || ||<-2> '''{{{#fff 장소}}}''' || ||<-2> [[말리]] 북부 지역 || ||<-2> '''{{{#fff 교전국 및 교전 세력}}}''' || ||<|1>[include(틀:국기, 국명=말리)][br] ----- [[아자와드 아랍 운동]][br][[간다 이소]]||<|1>[[파일:아자와드 국기.svg|width=25]] [[아자와드]][br][[파일:아자와드 국기.svg|width=25]] [[아자와드 민족해방운동]][br] ----- [[파일:지하드 깃발.svg|width=25]] [[안사르 디네]][br][[파일:지하드 깃발.svg|width=25]] MOJWA || ||<-2> '''{{{#fff 지휘관}}}''' || ||<^|1>[[파일:말리 국기.svg|width=25]] [[아마두 투마니 투레]],,(~2012년 3월),,[br][[파일:말리 국기.svg|width=25]] [[사디오 가사마]],,(~2012년 3월),,[br][[파일:말리 국기.svg|width=25]] [[엘 하지 아그 가무]],,(~2012년 3월),,[br][[파일:말리 국기.svg|width=25]] [[아마두 사노고]],,(2012년 3월~),,모하메드 라미네 울드 시다트[br]후세이네 쿨람||<^|1>[[파일:아자와드 국기.svg|width=25]] 마흐무드 아그 아갈리[br][[파일:아자와드 국기.svg|width=25]] 빌랄 아그 아체리프[br][[파일:아자와드 국기.svg|width=25]] 무사 아그 아차가투마네[br][[파일:아자와드 국기.svg|width=25]] 모하메드 아그 나젬[br][[파일:지하드 깃발.svg|width=25]] 이야드 아그 갈리[br][[파일:지하드 깃발.svg|width=25]] 오마르 울드 하마하 || ||<-2> '''{{{#fff 병력}}}''' || ||<^|1>7,000명-7,800명 군인[br] 4,800명 예비군[br]3,000명 민병대 ||<^|1>[[파일:아자와드 국기.svg|width=25]] [[아자와드 민족해방운동]]: 3,000명-9,000명[br][[파일:지하드 깃발.svg|width=25]] [[안사르 디네]] 300명 이하 || ||<-2> '''{{{#fff 피해 규모}}}''' || ||<^|1>200명+ 사망 또는 실종[br]400명 생포[br]1,000명-1,600명 변절 ||<^|1>165명 사망 || [목차] [clearfix] == 개요 == [[말리 내전]]의 시발점이 된 [[투아레그족]]들의 [[아자와드]] 독립을 목표로 일으킨 반란. [[분류:내전]][[분류:말리의 역사]][[분류:2011년/사건사고]][[분류:2012년/사건사고]][[분류:아프리카의 전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