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11 AFC 아시안컵 카타르]] [목차] == 팀 득점 == 참고: [[승부차기]] 득점은 별도로 계산함. * 최다 득점 팀은 일본(14)이며 그 뒤를 1골 차이로 대한민국과 호주(둘 다 13)가 따르고 있다. 그 뒤는 우즈베키스탄(10). * 최저 득점 팀은 북한과 아랍에미리트(둘 다 0)이며 그 뒤를 사우디아라비아와 쿠웨이트(둘 다 1)가 따르고 있다. * 최다 실점 팀은 인도와 우즈베키스탄(둘 다 13)이며 그 뒤를 사우디아라비아(8)가 따르고 있다. 그 뒤는 대한민국과 쿠웨이트(둘 다 7). * 최저 실점 팀은 북한과 이란과 호주(셋 다 2)이며 그 뒤를 이라크(3)가 따르고 있다. * 최다 득실차는 호주(13득 2실, +11). * 최저 득실차는 인도(3득 13실, -10). * 양 팀의 한 경기 최다 득점 기록은 바레인 대 인도(5:2, 합계 7). * 한 팀의 한 경기 최다 득점 기록은 호주 대 우즈베키스탄(6:0). * 최다 [[클린시트]] 팀은 호주(4). * 최저 클린시트 팀은 바레인, 사우디아라비아, 시리아, 인도, 쿠웨이트(모두 0). * 최다 클린시트 허용 팀은 북한과 아랍에미리트(3). * 최저 클린시트 허용 팀은 대한민국, 시리아, 요르단, 일본(모두 0). * 모든 경기에서 선제골을 득점한 팀은 대한민국이 유일하다. * 펠레 스코어로 승리를 기록한 팀은 대한민국(대 우즈베키스탄)과 일본(대 카타르). * 대한민국은 일본을 상대로 [[승부차기]]에서 [[삼연뻥|3명의 선수가 모두 실축하는 기록]]을 세웠다. == 개인 득점 == * 최다 득점 선수는 구자철(대한민국, 5)이며 그 뒤를 따르는 선수는 지동원(대한민국, 4)과 이스마엘 압둘라티프(바레인, 4). * 한 경기 최다 득점 선수는 이스마엘 압둘라티프(바레인, 대 인도, 4)이며 그 뒤를 따르는 선수는 오카자키 신지(일본, 대 사우디아라비아, 3). 둘 다 해트트릭. * 대회 첫 득점은 [[오딜 아흐메도프]](우즈베키스탄, 대 카타르). * 대회 마지막 득점은 [[리 타다나리]](일본, 대 호주. 경기 결승골). * [[자책골]]을 기록한 선수는 왈리드 아바스(아랍에미리트, 대 이라크/이란)와 알리 디아브(시리아, 대 요르단) * 가장 빠른 득점을 기록한 선수는 해리 큐얼(호주, 대 우즈베키스탄, 전반 5분). * 가장 늦은 득점을 기록한 선수는 황재원(대한민국, 대 일본, 연장 후반 15분). * 연장전을 제외하고 가장 늦은 득점을 기록한 선수는 요시다 마야(일본, 대 요르단, 후반 90+2분). * 이는 자책골을 제외한 것이다. 만일 포함된다면, 왈리드 아바스(아랍에미리트, 대 이라크/이란, 둘 다 90+3분)이 정규 시간 내에 가장 늦은 골을 기록한 선수가 된다. == 승패 == 참고: 승부차기는 무승부로 계산함. * 최다 승리 팀은 대한민국과 일본과 호주(셋 다 4승). * 최다 패배 팀은 쿠웨이트와 사우디아라비아와 인도(셋 다 3패). 이 팀은 모두 조별리그 3전 전패를 기록한 팀임. * 최저 승리 팀은 앞의 최다 패배 팀들을 비롯해 1무를 기록한 북한과 아랍에미리트를 포함(모두 무승). * 최저 패배 팀은 대한민국과 일본(둘 다 무패). * 조별리그 최다 승리 팀은 이란(3전 전승). == 수상 == * MVP: [[혼다 케이스케]] (일본) * 득점왕: [[구자철]] (대한민국, 5골) * 페어플레이상: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엘로카드 12장, 레드카드 1장) * 우수선수: [[혼다 케이스케]] (일본), [[박지성]] (대한민국), [[해리 큐얼]] (호주), [[세르베르 제파로프]] (우즈베키스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