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우크라이나의 주요선거)] ||<-4> {{{+1 {{{#ffffff '''2010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Другий_тур_2010_по_округах-en.png|width=100%]][br]{{{-2 지역별 '''결선''' 결과}}}}}} || ||<-4> {{{#!wiki style="margin: -7px -12px"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2 [[2004년]] [[12월 26일]]}}}}}}[[200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2004 대선]] ||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2 [[2010년]] [[2월 7일]]}}}}}}'''2010 대선''' ||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2 [[2014년]] [[5월 25일]]}}}}}}[[201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2014 대선]] ||}}} || ||<|2> {{{#005bbb,#338EEE '''선거 일시'''}}} ||<-3>1차: [[1월 17일]] || ||<-3>결선: [[2월 7일]]|| ||<|2> {{{#005bbb,#338EEE '''투표율'''}}} ||<-3>1차: 66.76% {{{-3 ([[200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blue,#6378ff ▼7.78%p}}}]])}}} || ||<-3>결선: 69.15% {{{-3 ([[200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blue,#6378ff ▼8.13%p}}}]])}}} || ||<-4> {{{#ffffff '''선거 결과'''}}} || || {{{#005bbb,#338EEE '''후보'''}}} ||<-2> [include(틀:지역당)][br] '''[[빅토르 야누코비치]]''' || [include(틀:바티키우시나)] [br] '''[[율리야 티모셴코]]''' || ||<|2> {{{#005bbb,#338EEE '''1차'''}}}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5a9f 35.3%, #BBBBBB 35.3%, #BBBBBB 74.9%, #DC143C 74.9%)" }}} || ||<-2> '''35.30%[br]8,686,642표''' || 25.10%[br]6,159,810표 || ||<|2> {{{#005bbb,#338EEE '''결선'''}}}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5a9f 49%, #BBBBBB 49%, #BBBBBB 54.5%, #DC143C 54.5%, #DC143C)" }}} || ||<-2> '''49.00%[br]12,481,266표''' || 45.50%[br]11,593,357표 || ||<-4> {{{#ffffff '''당선인'''}}}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빅토르 야누코비치|[[파일:빅토르 야누코비치.jpg|width=100%]]]]}}} || ||<-4> '''[[우크라이나 지역당|{{{#fff 우크라이나 지역당}}}]][br][[빅토르 야누코비치|{{{#fff {{{+2 빅토르 야누코비치}}}}}}]]''' || [목차] [clearfix] == 개요 == 2010년에 실시된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 배경 == 2004년 오렌지 혁명을 통해 [[200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대선]]에서 결선 재투표를 거쳐 당선된 [[빅토르 유셴코]]는 [[이원집정부제]]를 골자로 하는 개헌안을 내세웠다. 그러나 유셴코는 2004년 12%이던 경제 성장률을 1년만에 2%대로 추락시키고 물가 안정에 실패해버렸고, 율리아 티모셴코가 유셴코와 결별하며, 낮은 지지율에 시달려야했다. 또한 2008년 [[대침체]] 이후 IMF 구제금융을 받을 정도로 우크라이나의 경제가 큰 타격을 받아 1인당 국민소득이 2000년대 중반 수준으로 떨어지는 바람에 유셴코의 지지율은 완전히 추락했고 리더십에 큰 타격을 입었다. 심지어 2009년 3월에는 총리 [[율리야 티모셴코]]가 유셴코의 정적인 [[빅토르 야누코비치]] 전 총리와 연대를 꾀하면서까지 반 유셴코 성향을 드러내며 정치적 혼란이 심화되었다. == 선거 결과 == === 개표 결과 === ==== 1차 투표 ==== ||<-7> '''{{{+2 {{{#ffd500 2010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br]1차 투표 (2010. 1. 17.)}}}}}}''' || ||<:> '''{{{#ffd500 순위}}}''' ||<-2><:> '''{{{#ffd500 후보자}}}''' ||<:> '''[[정당|{{{#ffd500 정당}}}]]''' ||<:> '''{{{#ffd500 득표수}}}''' ||<:> '''{{{#ffd500 득표율}}}''' ||<:> '''{{{#ffd500 결선 여부}}}''' || ||<:> '''1위''' || ||<:> '''[[빅토르 야누코비치]]''' ||<:> '''[[우크라이나 지역당]] '''||<:> '''8,686,642''' ||<:> '''35.32%''' ||<:> '''{{{#000 진출}}}''' || ||<:> '''2위''' || ||<:> '''[[율리야 티모셴코]]''' ||<:> '''[[바티키우시나]]''' ||<:> '''6,159,810''' ||<:> '''25.05%''' ||<:> '''{{{#000 진출}}}''' || ||<:> 3위 || ||<:> 세르히 티힙코 ||<:> 강한 우크라이나 ||<:> 3,211,198 ||<:> 13.05% ||<:><|16> 탈락 || ||<:> 4위 || ||<:> 아르세니 야체뉴크 ||<:> [[무소속]] ||<:> 1,711,737 ||<:> 6.96% || ||<:> 5위 || ||<:> [[빅토르 유셴코]] ||<:> [[무소속]] ||<:> 1,341,534 ||<:> 5.45% || ||<:> 6위 || ||<:> 페트로 시모넨코 ||<:> [[우크라이나 공산당]] ||<:> 872,877 ||<:> 3.54% || ||<:> 7위 || ||<:> 볼로디미르 리트빈 ||<:> 우크라이나 국민당 ||<:> 578,883 ||<:> 2.35% || ||<:> 8위 || ||<:> 올레흐 탸흐니보크 ||<:> [[스보보다]] ||<:> 352,282 ||<:> 1.43% || ||<:> 9위 || ||<:> 아나톨리 흐리첸코 ||<:> [[무소속]] ||<:> 296,412 ||<:> 1.20% || ||<:> 10위 || ||<:> 인나 보호슬로브스카 ||<:> [[무소속]] ||<:> 102,435 ||<:> 0.14% || ||<:> 11위 || ||<:> [[올렉산드르 모로즈]] ||<:> [[우크라이나 사회당]] ||<:> 95,169 ||<:> 0.38% || ||<:> 12위 || ||<:> 유리 코스텐코 ||<:> 우크라이나 인민당 ||<:> 54,376 ||<:> 0.22% || ||<:> 13위 || ||<:> 류드밀라 수프룬 ||<:> 인민민주당 ||<:> 47,349 ||<:> 0.19% || ||<:> 14위 || ||<:> 바실리 프로티브시 ||<:> [[무소속]] ||<:> 40,352 ||<:> 0.16% || ||<:> 15위 || ||<:> 올렉산드르 파바트 ||<:> [[무소속]] ||<:> 35,474 ||<:> 0.14% || ||<:> 16위 || ||<:> 세르히 라투시냐크 ||<:> [[무소속]] ||<:> 29,795 ||<:> 0.12% || ||<:> 17위 || ||<:> 미하일로 브로드스키 ||<:> [[무소속]] ||<:> 14,991 ||<:> 0.06% || ||<:> 18위 || ||<:> 올레흐 리아보콘 ||<:> [[무소속]] ||<:> 8,334 ||<:> 0.03% || ||<-3><:> 선거인수 ||<:> - ||<:> 투표수 ||<:> 24,588,268표 ||<:> - || ||<-3><:> 무효표수[br]{{{-2 (백지표+무효표)}}} ||<:> 948,608표 ||<:> 투표율 ||<:> 66.76% ||<:> - || [[우크라이나 대통령]]이었던 [[빅토르 유셴코]]가 1차 투표에서 낙선하고 [[율리야 티모셴코]]와 [[빅토르 야누코비치]]가 결선 투표에서 대결하였다. ==== 결선 투표 ==== ||<-4><:>[[우크라이나 대통령|{{{#ffffff {{{+1 '''2010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 ||<-2><:>'''이름''' ||<:>'''득표수''' ||<:>'''순위''' || ||<-2><:>'''정당''' ||<:>'''득표율''' ||<:>'''당락''' || ||<|2><:> ||<:>'''[[빅토르 야누코비치|{{{#373a3c,#dddddd 빅토르 야누코비치}}}]]''' ||<:>'''12,481,266''' ||<:>'''1위''' || ||<:>[include(틀:지역당)] ||<:>'''48.95%''' || '''당선''' || ||<|2><:> ||<:>[[율리야 티모셴코|{{{#373a3c,#dddddd 율리야 티모셴코}}}]] ||<:>11,593,357||<:>2위 || ||<:>[include(틀:바티키우시나)] ||<:>45.47% || 낙선 || ||<|3><:>'''계''' ||<:>'''선거인 수''' || - ||<|3><:>'''투표율'''[br]69.15% || ||<:>'''투표 수''' || 25,493,529 || ||<:>'''무효표 수''' || 1,418,892 || 결선투표 자체는 2009년의 여론조사 결과에 비해서는 상당히 접전이었다. === 선거 이후 === 선거 후 티모셴코는 "야누코비치를 적법한 대통령이 될 수 없다."라며 부정선거를 강하게 주장했다. 동시에 선거 결과에 불복해 [[우크라이나 지역당]] 측의 선거 부정 행위를 행정 법원에 제소했고 이로 인해 행정 법원의 선거 부정 심의일인 2월 25일까지 '''대선 결과의 효력이 정지되었다.''' 그 외에도 많은 소송을 걸었으나, 취임식 취소 청구 등 대부분의 소송이 기각되었다. 2월 16일에는 선거 무효 소송까지 제기했으나 20일 여러 소송이 기각된 이후 "재판부를 믿을 수 없는 상황에서 소송을 계속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라며 소송을 전부 취하했다. [[https://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10022128251|#]] 그러나 취하 이후에도 "비록 소송은 취하했지만 이 소송을 통해 빅토르 야누코비치가 합법적인 대통령이 아니라는 역사적 증거가 남게 됐다"라고 [[정신승리]]하며 선거 결과에 불복했다. 여담으로, [[유럽연합]]을 비롯한 서방 세력 역시 대선 결과를 문제삼지 않았다. 이후 대통령으로 취임한 빅토르 야누코비치는 율리아 티모셴코 총리를 해임시켰고, 검찰은 율리야 티모셴코 전 총리를 배임혐의로 구금 수사했으며, 법원은 티모셴코 총리에게 7년형을 선고하였다. 이는 당대에도 논란이 많아서, 서부지역에서 야누코비치에 대한 반감을 한층 더 심화시켰고, 나중에 [[유로마이단]] 혁명으로 이어지는 계기 중 하나가 되었다. 한편 유셴코는 내심 반겨하는 반응이었고, 우리우크라이나당은 티모셴코의 구금을 반대했지만 묵살했다. == 관련 문서 == * [[우크라이나 대통령]] *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분류:우크라이나의 대통령 선거]][[분류:2010년 선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