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FFFFFF,#DDDDDD {{{+1 '''2009년 도쿄 도의회 선거'''}}}[br]'''2009年東京都議会議員選挙'''}}}|| ||<-5><:>{{{#!wiki style="margin: -6px -10px -4px" ||<:>{{{-2 [[2005년]] [[7월 3일]]}}}[br][[2005년 도쿄 도의회 선거|제17회 도의회 선거]]||<:>→||<:>{{{-2 [[2009년]] [[7월 12일]]}}}[br]'''제18회 도의회 선거'''||<:>→||<:>{{{-2 [[2013년]] [[6월 23일]]}}}[br][[2013년 도쿄 도의회 선거|제19회 도의회 선거]]||}}}|| ||<:>{{{#4b0082,#CFA547 '''투표율'''}}}||<-4>54.49%{{{-3 {{{#red,#ff0000 ▲10.05%p}}}}}} || ||<-5><:>{{{#FFFFFF,#DDDDDD '''선거 결과'''}}}|| ||<-5> [[파일:svgfiles_2022-01-24-01-13-02-378021-6590812771585946047.svg|width=100%]] || || '''정당''' || '''득표''' || '''득표율''' || '''의석''' || '''비율'''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2,298,494표''' || '''40.79%''' || '''54석''' || '''42.5%'''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CA324; font-size: .9em" [[자유민주당(일본)|{{{#FFF '''자유민주당'''}}}]]}}} || ''''''1,458,108표'''''' || ''''''25.88%'''''' || ''''''38석'''''' || ''''''29.9%'''''' || || [include(틀:공명당)] || 743,427표 || 13.19% || 23석 || 18.1%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707,602표 || 12.56% || 8석 || 6.2% || || [include(틀:도쿄·생활자 네트워크)] || 110,407표 || 1.9% || 2석 || 1.5% || || [include(틀:무소속)] || 250,869표 || 4.4% || 2석 || 1.5% |||| [목차] [clearfix] == 개요 == '''민주당의 압승''' 도쿄 도의회 선거는 1965년 도쿄도의회 자주해산으로 시기가 어긋나서, [[통일지방선거]]에서 실시하지 않는 3개의 [[도도부현]] 의회 선거 중 하나다.[* 다른 2곳은 [[이바라키현]]과 [[오키나와현]]의 의원선거] 고지는 [[2009년]] [[7월 3일]]. [[도쿄도]]의 선거인 등록자는, 2005년에서 33만 명 늘어난 1060만 명으로, 1,868개의 투표소가 있는 42개의 선거구에서 127명의 의원이 선출되었다. [[6월 25일]]까지 213명의 후보가 출마를 선언하고, 그 중 187명이 도쿄도 선거관리위원회의 심사를 마쳤다. 선거 결과, 민주당이 압승했고, 자유민주당은 역대 최소 의석 타이를 기록하는 참패를 당했다. 이 선거 이후 자민당 심판 열풍에 더 힘이 실리며 그해 8월,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역대급 중의원 선거]]로 화룡점정을 찍기에 이른다. [[분류:일본의 선거]][[분류:2009년 선거]][[분류:헤이세이 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