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대회 진행)] [목차] == [[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본선 2라운드/1조|1조]] == [[파일: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샌디에이고 라운드.gif|width=300]] '''장소: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디에고, 펫코 파크.''' || '''{{{#fff 일시}}}''' || '''{{{#fff 홈}}}''' ||<-2> '''{{{#fff 스코어}}}''' || '''{{{#fff 어웨이}}}''' || '''{{{#fff 결과}}}''' || || [[2009년]] [[3월 15일]][* 한국시각 [[3월 16일]] AM 5:00] ||[[파일:쿠바 국기.svg|width=30]] '''[[쿠바 야구 국가대표팀|{{{#!html 쿠바 }}}]]''' || 0 || 6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html 일본 }}}]]''' || || || [[2009년]] [[3월 15일]][* 한국시각 [[3월 16일]] PM 12: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html 대한민국}}}]]''' || 8 || 2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30]] '''[[멕시코 야구 국가대표팀|{{{#!html 멕시코 }}}]]''' || || || [[2009년]] [[3월 16일]][* 한국시각 [[3월 17일]] PM 12:00]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30]] '''[[멕시코 야구 국가대표팀|{{{#!html 멕시코 }}}]]''' || 4 || 7 ||[[파일:쿠바 국기.svg|width=30]] '''[[쿠바 야구 국가대표팀|{{{#!html 쿠바 }}}]]''' ||멕시코 탈락 || || [[2009년]] [[3월 17일]][* 한국시각 [[3월 18일]] PM 12: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html 대한민국}}}]]''' || 4 || 1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html 일본 }}}]]''' ||대한민국 준결승 진출 || || [[2009년]] [[3월 18일]][* 한국시각 [[3월 19일]] PM 12:00] ||[[파일:쿠바 국기.svg|width=30]] '''[[쿠바 야구 국가대표팀|{{{#!html 쿠바 }}}]]''' || 0 || 5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html 일본 }}}]]''' ||일본 준결승 진출, 쿠바 탈락 || || [[2009년]] [[3월 19일]][* 한국시각 [[3월 20일]] PM 10: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html 대한민국}}}]]''' || 2 || 6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html 일본 }}}]]''' ||일본 1조 1위, 대한민국 1조 2위|| 일본은 결국 [[2008 베이징 올림픽/야구|2008 베이징 올림픽]]에서 그토록 피하려던 쿠바--상조--를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서 만났다. 그러나 이 경기에서 일본은 계투진 딱 4명만으로 영봉릴레이. 게다가 선발 [[마쓰자카]]만 86구 투구로 4일 휴식에 걸릴뿐 나머지 전 투수진을 온존. 일본이 생각하던 시나리오대로 흘러갔다.[* 근데. 이 바보들은 이미 [[2006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지난 대회]] 결승전 에서 쿠바를 만나 이겼을 때도 [[국가대표]] 급 타선으로 이겼는데. 이 대회에서 쿠바를 보고 또 겁을 먹었다는 건 말이 되지 않는다.] 한국과 멕시코의 경기는 2회초에 선발 류현진이 멕시코에 먼저 2점을 내주긴 했지만, 바로 2회말 --월드스타-- 이범호의 솔로홈런과 2루수의 실책을 틈타 총 2점을 따라붙었다. 위기는 지속적으로 있었으니 정현욱 - 정대현 - 김광현 - 윤석민의 이어지는 불펜진이 멕시코 타선을 봉쇄하였고, 그 홈런 잘 안나오기로 유명한 투수 친화구장 '''펫코파크'''에서 4회 김태균, 5회 고영민의 솔로홈런과 7회말 롯데 출신인 코르테즈로부터 4점을 뽑아내면서 8:2로 승리하였다. 특히 7회말의 더블스틸은 일품. 빅볼과 스몰볼이 정말 잘 융합된 경기였다.[* 한 때 김인식 감독이 이 대회에서 부임을 다시 했을 때도 대회 참여 국가 대부분이 스몰볼로 생각을 했었으니, 결과적으로 빅볼이 살아나준게 덤] 이로서 한국과 일본은 WBC에서 3번째로 만나게 되었다. 무슨 한일 정기전도 아니고. 모 네티즌은 이를 두고 이하의 말을 만들어 여러 사람을 뒤집어지게 했다. * 한국: 아 또 일본인가 * 일본: 아 또 한국인가 * 멕시코: 아 ~~[[ㅅㅂ]]~~또 쿠바인가 * 쿠바: 아 ~~[[젠장]]~~또 멕시코인가 쿠바와 멕시코의 2회 WBC 두번째 매치는 쿠바가 7:4로 승리함으로서, 멕시코와 가르시아는 짐을싸서 돌아가게 되었다. 이 경기에서 베라와 라조만을 등판시키면서 패자부활결승에서 나올 수 없는 선수는 베라, 라조, [[아롤디스 채프먼|채프먼]]이 되었다.[* 베라와 라조는 베이징 올림픽 당시 한국 타선들을 괴롭혔던 투수들이였는데 이 선수들은 세계 아마추어 야구 대회에서도 이름을 꽤 많이 날렸으며, 베이징 올림픽 때는 일본/미국/그리고 우리 한국 타자들을 많이 괴롭혔던 투수로 정평이 있기에 이 대회에서도 많은 주목을 받았었다.] 한국과 일본의 지겨운 3번째 매치에서 한국은 1회말 일본선발 [[다르빗슈 유]]의 난조와 2루수의 수비 실책을 틈타 김현수의 1타점과 이진영의 2타점으로 3점을 내면서 기세를 잡았고, 선발로 나선 --의사-- 봉중근의 5.1이닝 1실점 호투[* 이 경기에서 봉중근은 이치로를 2번이나 슬라이딩해서 귀루시키는 "이치로, 위치로" 라는 신조어를 탄생시켰다.]로 윤석민-김광현-임창용으로 이어진 불펜이 잘 막아냄으로써 4:1로 승리하며 1회대회에 이어 다시 4강에 진출하는 데 성공하였다.[* 김광현이 불펜에 올라오면서 해설진들이 이 일본의 타자들을 어떻게 요리를 할까? 라고 했는데 다행히 무실점으로 막아 김인식 감독 특성인 믿음의 야구가 보여준 일례] [[파일:external/sports.chosun.com/93774109_2.jpg]] 샌디에이고 펫코 파크에서 일본을 이기고 4강 진출이 확정되는 순간.[* 몇몇은 타국에서 [[나라 망신|고찰 없는 행동을 하여 국가]] 이미지에 부정적 영향을 끼쳤다고 하는데 1회 WBC에서 일본이 우승한 직후 경기장의 마운드 전체를 '''[[일장기]]'''로 덮어버렸고, 또 그것이 '''[[태극기]]''' 세리머니에 이어 MLB.com의 메인을 장식하며 "왜 WBC가 Classic인지 보여주는 상징적인 장면"이라며 극찬받았다는 사실은 모르고 있는 듯 하다.그리고 일본이 우승하자 똑같이 따라했다. 한국이 잘못이라면 왜 따라하는데? [[2008 베이징 올림픽]]에서도 쿠바를 꺾고 금메달을 따낼 당시 WBC와 똑같이 마운드에 태극기를 꽂는 세리머니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쿠바 언론을 포함한 전 세계 어디에서도 부정적인 보도는 커녕 세리머니 자체가 거의 언급되지 않았다. 심지어 중국 '''[[혐한]]''' 언론들도 무덤덤하게 지나쳤다.] 일본과 쿠바가 다시 만나 펼쳐진 [[죽창드립|네가 죽어야 내가 산다]] 매치에서는 쿠바가 무기력하게 눌리면서 일본이 승리, 준결승 진출에 성공하였다. 쿠바'''[[상조(동음이의어)#s-1.2|상조]]'''가 아니라 패배시 한경기 보상해드리는 쿠바'''[[보험]]'''이었던 모양. 쿠바는 이로서 51년 팬암대회부터 시작된 '쿠바가 참가한 모든 세계대회에서 결승전 진출 혹은 1,2위를 거둔 기록'이 끊어지게 되었다. 또한, 1조의 1,2위를 두고 ~~지긋지긋한~~한일전 4차전이 열리게 되었다... 세계의 절반은 일본 혹은 한국. 그리고 펼쳐진 1,2위 결정전에서 한국과 일본은 각각 선발 [[장원삼]]이 3이닝 2실점 1자책과 우츠미 테츠야가[* 이 경기에서 이용규의 머리를 향해 빈볼을 던져 고의성 논란이 일어나기도 했다. 일본 야구팬이라면 [[이승엽]]이 일본 요미우리 시절 함께 있던 동료였다. [[암흑기]]와 [[전성기]]를 맛 보았고 2019년 부터는 퍼시픽 리그인 [[세이부 라이온즈]] 소속으로 뛰고 있다.]가 2.2이닝 1실점으로 금방 물러난 뒤 한국은 [[이승호(1981)|이승호]]-[[이재우]]로 이어지는 불펜, 일본은 코마츠가 2.2이닝간 잘 막아줬으나 7회 말 '''[[다나카 마사히로]]'''가 [[이범호]]에게 솔로 홈런을 허용하며 2:2로 동점을 허용한다. 하지만 그 뒤를 이어 등판한 [[와타나베 슌스케|와타나베]], [[야마구치|야마구치 테츠야]], [[와쿠이 히데아키|와쿠이]] 의 일본 계투를 공략하는데 실패한 뒤 8회 초, 한국의 불펜으로 올라온 '''[[오승환]]'''이 아웃카운트 1개도 못 잡은 채 연속 2안타를 맞은 뒤 강판되었고, 그 다음투수로 나온 [[김광현]]이 분식회계를 저질러 3실점, 9회에 등판한 [[임태훈(야구선수)|임태훈]] 역시 1실점하며 한국은 6:2 완패를 당하며 조 2위로 4강에 진출하게 되었다.[* 오승환이 전 대회에 이어 컨디션 상태가 최악임에도 불구하고 나와서 많은 논란이 있었다. 결국, 2009년 삼성의 정규시즌은 망했고 1년 반 동안 재활과 사투를 벌이게 된다. 대신 같이 뽑혔던 투수 정현욱이 오승환을 대신하여 소속 팀인 삼성에서 1시즌 마무리 활약을 하면서 제 2전성기를 맞이했다.] == [[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본선 2라운드/2조|2조]] == [[파일: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마이애미 라운드.gif|width=300]] '''장소: 미국, 플로리다 주 마이애미, 돌핀 스타디움.''' || '''{{{#fff 일시}}}''' || '''{{{#fff 홈}}}''' ||<-2> '''{{{#fff 스코어}}}''' || '''{{{#fff 어웨이}}}''' || '''{{{#fff 결과}}}''' || || [[2009년]] [[3월 14일]][* 한국시각 3월 15일 AM 2:00]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width=30]] '''[[베네수엘라 야구 국가대표팀|{{{#!html 베네수엘라}}}]]''' || 3 || 1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네덜란드 야구 국가대표팀|{{{#!html 네덜란드 }}}]]''' || || || [[2009년]] [[3월 14일]][* 한국시각 3월 15일 AM 9:00]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width=30]] '''[[푸에르토리코 야구 국가대표팀|{{{#!html 푸에르토리코}}}]]''' || 11 || 1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 야구 국가대표팀|{{{#!html 미국 }}}]]''' ||7회 콜드|| || [[2009년]] [[3월 15일]][* 한국시각 3월 16일 AM 8:30]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 야구 국가대표팀|{{{#!html 미국 }}}]]''' || 9 || 3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네덜란드 야구 국가대표팀|{{{#!html 네덜란드 }}}]]''' ||네덜란드 탈락 || || [[2009년]] [[3월 16일]][* 한국시각 3월 17일 AM 9:00]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width=30]] '''[[푸에르토리코 야구 국가대표팀|{{{#!html 푸에르토리코}}}]]''' || 0 || 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width=30]] '''[[베네수엘라 야구 국가대표팀|{{{#!html 베네수엘라}}}]]''' ||베네수엘라 준결승 진출|| || [[2009년]] [[3월 17일]][* 한국시각 3월 18일 AM 8:00]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 야구 국가대표팀|{{{#!html 미국 }}}]]''' || 6 || 5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width=30]] '''[[푸에르토리코 야구 국가대표팀|{{{#!html 푸에르토 리코}}}]]''' ||미국 준결승 진출, 푸에르토리코 탈락|| || [[2009년]] [[3월 18일]][* 한국시각 3월 19일 AM 8:00]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width=30]] '''[[베네수엘라 야구 국가대표팀|{{{#!html 베네수엘라}}}]]''' || 10 || 6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 야구 국가대표팀|{{{#!html 미국 }}}]]''' ||베네수엘라 2조 1위, 미국 2조 2위.|| 네덜란드는 베네수엘라의 경기에서 3점만을 내주며 선전하고, 미국과의 경기에서도 [[추격쥐|추격전]]을 펼쳤으나, 결국 2패를 안고 그들의 기적의 행진은 여기서 끝나고 말았다. 미국은 선발 [[제이크 피비]]의 난조[* 피비의 2009 성적을 보면 이는 같은 대표팀 일원인 오스왈트도 정규시즌 좋은 성적을 내지 못했다.] 푸에르토리코에 콜드패를 당하면서 낭떠러지 끝까지 몰렸으나, 네덜란드에 승리를 거두어 준결승 진출을 향한 끈을 남겨두었다. 18일 푸에르토리코와의 리매치에서 9회초까지 5:3으로 끌려가면서 1회대회때에 이어 다시 탈락이 점쳐지고 있던 상황에서, [[케빈 유킬리스]]의 밀어내기와 [[데이빗 라이트]]의 2타점 끝내기를 묶어 드디어 그토록 바라던 결선라운드 진출에 성공하였다. --이로서 더블엘리미네이션 제도는 10년은 버틸수 있다!-- 푸에르토리코는 1이닝을 두고 준결승 진출 앞에서 좌절하고 말았다. 베네수엘라는 2조에서 가장 압도적인 경기력을 보여주는 팀이었다. '킹 펠릭스' '''[[펠릭스 에르난데스]]'''[* 08년 9승 11패 방어율 3.45]가 버티는 선발진과 마무리 '''[[프란시스코 로드리게스]]'''[* 08년 2승 3패 62세이브 방어율 2.24], 타선에서는 '''[[미겔 카브레라]]'''[* 08년 타율 0.292, 37홈런, 127타점, 아메리칸 리그 홈런왕], '''[[바비 아브레우]]'''[* 08년 타율 0.296, 20홈런, 100타점], '''[[매글리오 오도네즈]]'''[* 08년 타율 0.317, 21홈런, 103타점]을 등 초강력한 메이저리거들과 조직력이 잘 버무러져 압도적인 면을 보여주면서 1위로 결선라운드에 진출하였다. [[분류: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