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건사고)] [include(틀:지진)] [include(틀:대한민국 주요 지진)] ||<-3> '''{{{#fff {{{+1 2007년 오대산 지진}}}}}}''' || ||<-3> [[파일:오대산 지진.png|width=100%]] || || {{{#fff '''발생'''[br]^^(UTC+9)^^}}} ||<-2> 2007년 1월 20일 20시 56분 53초 || ||<|3> '''{{{#fff 진앙}}}''' ||<-2> [[대한민국]] [[강원도]] [[평창군]] 북북동쪽 39km 지역 || ||<-2>[include(틀:지도, 장소=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간평길, 높이=240px)][br]KMA: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간평길[br]USGS: 강원도 평창군 용평면 골안이길 || ||<-2>KMA: 37.679°N 128.588°E[br]USGS: 37.594°N 128.475°E || || '''{{{#fff 진원의 깊이}}}''' ||<-2>10km || || '''{{{#fff 규모}}}''' ||<-2>M,,L,, 4.8 / M,,w,, 4.7 || ||<|7> '''{{{#fff 진도}}}''' ||<-2> {{{#fff 한국 기상청 공식 발표 기준}}} || || '''Ⅴ''' || '''오대산 인근, 강릉''' || || '''Ⅳ''' || 인제, 홍천, 정선, 동해 || || '''Ⅲ''' || 철원, 충주, 안동 || || '''Ⅱ''' || 그 외 지역(제주도, 백령도, 울릉도 제외) || ||<-2> {{{#fff USGS 발표 기준 최대진도}}} || || '''{{{#fff Ⅵ}}}''' || 평창 || || '''{{{#fff 여진}}}''' ||<-2>4회 || || '''{{{#fff 재산피해}}}''' ||<-2>가벼운 구조물 피해 || [목차] [clearfix] == 개요 == 오대산 지진은 2007년 1월 20일 20시 56분 53초경 오대산 남쪽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한반도 내륙에서 발생하는 지진 중에서는 꽤 강한 편인 규모 4.8이었으며 지진의 진동은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서 느낄 수 있을 정도였다. 이 본진 이후에 당일 3차례, 다음 날인 1월 21일 1차례의 여진이 발생했으나 사람이 느끼지 못하는 수준인 1.0 ~ 2.0정도의 규모였다.[[https://ko.wikipedia.org/wiki/%EC%98%A4%EB%8C%80%EC%82%B0_%EC%A7%80%EC%A7%84|#]]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1287300|KBS]] [[https://imnews.imbc.com/replay/2007/nwdesk/article/1489998_30657.html|MBC]] [[https://n.news.naver.com/article/052/0000139778|YTN]] [[https://ko.wikipedia.org/wiki/%EC%98%A4%EB%8C%80%EC%82%B0_%EC%A7%80%EC%A7%84|한국어 위키백과]] == 피해 == 진앙지 부근인 평창군과 강릉시에서 가벼운 구조물 피해가 보고되었다. === [[평창군]] === 평창군의 한 마을 회관 벽면에 미세한 균열이 생기고 버스정류장의 지붕이 일부 파손되었다. 학생시절, 원나라 간섭기를 배울때 한번쯤은 들어봤을 월정사 9층 석탑으로 유명한 월정사에서도 건물 벽에 균열이 생기고 담장 일부가 기울어지는 등의 피해가 발생하여 보수를 하였다. === [[강릉시]] === 강릉시에서는 건물 외벽 타일이 떨어지는 피해가 발생하였으며 주택가의 담벼락 일부가 파손되었다. == 둘러 보기 == ||<-5>
{{{#ffffff '''별도의 문서가 존재하는 한반도 지진''' }}} || || [[2004년 울진 해역 지진]] || {{{+1 → }}} || ''' [[2007년 오대산 지진]] ''' || {{{+1 → }}} || [[2016년 울산 지진]] || [include(틀:지진/2000년대)] [[분류:지진/대한민국]][[분류:2007년 지진]][[분류:대한민국의 재난]][[분류:강릉시의 사건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