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우크라이나의 주요선거)] ||<-4> {{{+1 {{{#ffffff '''200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0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주별 결선 투표 결과 .png|width=100%]][br]{{{-2 지역별 '''결선''' 결과}}}}}} || ||<-4> {{{#!wiki style="margin: -7px -12px"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2 [[1999년]] [[11월 14일]]}}}}}}[[1999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1999 대선]] ||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2 [[2004년]] [[12월 26일]]}}}}}}'''2004 대선''' ||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2 [[2010년]] [[2월 7일]]}}}}}}[[2010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2010 대선]] ||}}} || ||<|3> {{{#005bbb,#338EEE '''선거 일시'''}}} ||<-3>1차: [[10월 31일]] || ||<-3>결선: [[11월 21일]]|| ||<-3>결선 재투표: [[12월 26일]] || ||<|3> {{{#005bbb,#338EEE '''투표율'''}}} ||<-3>1차: 74.54% || ||<-3>결선: 81.12% || ||<-3>결선 재투표: 77.28% || ||<-4> {{{#ffffff '''선거 결과'''}}} || || {{{#005bbb,#338EEE '''후보'''}}} ||<-2> [include(틀:무소속)] [br] '''[[빅토르 유셴코]]''' || [include(틀:지역당)][br] '''[[빅토르 야누코비치]]''' || ||<|2> {{{#005bbb,#338EEE '''1차'''}}}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08080 39.9%, #BBBBBB 39.9%, #BBBBBB 60.74%, #035a9f 60.74%)" }}} || ||<-2> '''39.90%[br]11,188,675표''' || 39.26%[br]11,008,731표 || ||<|2> {{{#005bbb,#338EEE '''결선'''}}}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08080 46.61%, #BBBBBB 46.61%, #BBBBBB 50.54%, #035a9f 50.54%)" }}} || ||<-2> 46.61%[br]14,222,289표 || '''49.46%[br]15,093,691표''' || ||<|2> {{{#005bbb,#338EEE '''결선 재투표'''}}}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08080 51.99%, #BBBBBB 51.99%, #BBBBBB 55.80%, #035a9f 55.80%)" }}} || ||<-2> '''51.99%[br]15,115,712표''' || 44.20%[br]12,848,528표 || ||<-4> {{{#ffffff '''당선인'''}}}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빅토르 유셴코|[[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96px-Wiktor_Juschtschenko%2C_Pr%C3%A4sident_der_Ukraine%2C_in_der_Universit%C3%A4t_Z%C3%BCrich.jpg|width=100%]]]]}}} || ||<-4> '''[[무소속|{{{#fff 무소속}}}]][br][[빅토르 유셴코|{{{#fff {{{+2 빅토르 유셴코}}}}}}]]''' || [목차] [clearfix] == 개요 == 2004년에 실시된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 배경 == 제2대 [[우크라이나 대통령]]이었던 [[레오니드 쿠치마]]는 집권 2기에 들면서 레임덕에 시달려 대통령 선거 출마를 포기하고 [[빅토르 야누코비치]]를 자신의 후계자로 밀어주었다. 한편, 레오니드 쿠치마에 의해 총리로 임명되었던 [[빅토르 유셴코]]도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여 200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는 빅토르 유셴코와 빅토르 야누코비치의 대결이 주가 되었다. 한편 이 선거는 동서구도 자체가 이 선거에서부터 확연히 드러나게 되었다. 물론 동서구도는 [[199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와 [[1999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에서도 잘 드러났지만, 본질적으로 크라우추크나 쿠치마나 딱히 동부나 서부에 한정해서 지속적으로 몰표를 받는 유형의 인물이 아니었고[* 크라우추크는 1991년 대선에서 동부지역에서 몰표를 얻은바 있고, 쿠치마는 1999년 대선에서 서부지역에서 몰표를 얻은바 있다.] 공산당원 관료 출신이면서도 서방과의 관계증진에 나서고 사유화를 추진한 빅텐트 성향이었던데 반해, 2002년 총선을 기점으로 [[우크라이나 공산당]]이 몰락하고, 동부지역이 [[지역당]]의 텃밭이 되었고, 서부와 중부지역에서 친서방 자유주의 정당이 세를 발휘하기 시작했는데 이 선거를 기점으로 갈등 양상도 본격화되기 시작했다. 한편 대선을 앞둔 빅토르 유셴코는 다이옥신 테러를 당할 뻔했다. 유셴코는 목숨을 건졌지만 이 테러가 러시아나 친러 세력이 빅토르 야누코비치를 당선시키기 위한 공작이었다는 음모가 우크라이나에서 퍼지기도 했다. == 선거 결과 == === 개표 결과 === ==== 1차 투표 ==== ||<-7> '''{{{+2 {{{#ffd500 200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br]1차 투표 (2004. 10. 31.)}}}}}}''' || ||<:> '''{{{#ffd500 순위}}}''' ||<-2><:> '''{{{#ffd500 후보자}}}''' ||<:> '''[[정당|{{{#ffd500 정당}}}]]''' ||<:> '''{{{#ffd500 득표수}}}''' ||<:> '''{{{#ffd500 득표율}}}''' ||<:> '''{{{#ffd500 결선 여부}}}''' || ||<:> '''1위''' || ||<:> '''[[빅토르 유셴코]]''' ||<:> '''[[무소속]]''' ||<:> '''11,188,675''' ||<:> '''39.90%''' ||<:> '''{{{#000 진출}}}''' || ||<:> '''2위''' || ||<:> '''[[빅토르 야누코비치]]''' ||<:> '''[[지역당]]''' ||<:> '''11,008,731''' ||<:> '''39.26%''' ||<:> '''{{{#000 진출}}}''' || ||<:> 3위 || ||<:> [[올렉산드르 모로즈]] ||<:> [[우크라이나 사회당]] ||<:> 1,632,098 ||<:> 5.82% ||<:><|22> 탈락 || ||<:> 4위 || ||<:> 페트로 시모넨코 ||<:> [[우크라이나 공산당]] ||<:> 1,396,135 ||<:> 4.97% || ||<:> 5위 || ||<:> 나탈리야 비트렌코 ||<:> [[우크라이나 진보사회당]] ||<:> 429,794 ||<:> 1.53% || ||<:> 6위 || ||<:> 아나톨리 키나흐 ||<:> [[무소속]] ||<:> 262,530 ||<:> 0.93% || ||<:> 7위 || ||<:> 올렉산드르 야코벤코 ||<:> 농공공산당 ||<:> 219.191 ||<:> 0.78% || ||<:> 8위 || ||<:> 올렉산드르 오멜첸코 ||<:> 우크라이나 통합당 ||<:> 136,830 ||<:> 0.48% || ||<:> 9위 || ||<:> 레오니드 체르노베츠키 ||<:> [[무소속]] ||<:> 129,066 ||<:> 0.45% || ||<:> 10위 || ||<:> 드미트로 코르친스키 ||<:> [[무소속]] ||<:> 49,961 ||<:> 0.17% || ||<:> 11위 || ||<:> 안드리 초르노빌 ||<:> [[무소속]] ||<:> 36,278 ||<:> 0.12% || ||<:> 12위 || ||<:> 미콜라 흐라바르 ||<:> [[무소속]] ||<:> 19,675 ||<:> 0.07% || ||<:> 13위 || ||<:> 미하일로 브로드스키 ||<:> [[무소속]] ||<:> 16,498 ||<:> 0.05% || ||<:> 14위 || ||<:> 유리 즈비트네우 ||<:> 새로운 힘 ||<:> 16,321 ||<:> 0.05% || ||<:> 15위 || ||<:> 세르히 코미사렌코 ||<:> [[무소속]] ||<:> 13,754 ||<:> 0.04% || ||<:> 16위 || ||<:> 바실 볼하 ||<:> 비정부기구 "공공통제" ||<:> 12,956 ||<:> 0.04% || ||<:> 17위 || ||<:> 보흐단 보이코 ||<:> 우크라이나 통일을 위한 인민운동 ||<:> 12,793 ||<:> 0.04% || ||<:> 18위 || ||<:> 올렉산드르 샤우스키 ||<:> 통합가족당 ||<:> 10,714 ||<:> 0.03% || ||<:> 19위 || ||<:> 미콜라 로호진스키 ||<:> [[무소속]] ||<:> 10,289 ||<:> 0.03% || ||<:> 20위 || ||<:> 블라디슬라브 크리보보코우 ||<:> 예금자와 사회보장을 위한 인민당 ||<:> 9,340 ||<:> 0.03% || ||<:> 21위 || ||<:> 올렉산드르 바질류크 ||<:> 우크라이나 슬라브당 ||<:> 8.963 ||<:> 0.03% || ||<:> 22위 || ||<:> 이호르 두신 ||<:> 우크라이나 자유민주당 ||<:> 8,623 ||<:> 0.03% || ||<:> 23위 || ||<:> 로만 코자크 ||<:>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 기구 ||<:> 8,410 ||<:> 0.02% || ||<:> 24위 || ||<:> 볼로디미르 네치포루크 ||<:> [[무소속]] ||<:> 6,171 ||<:> 0.02% || ||<-3><:> 선거인수 ||<:> 37,613,022명 ||<:> 투표수 ||<:> 28,035,184표 ||<:> - || ||<-3><:> 무효표수[br]{{{-2 (백지표+무효표)}}} ||<:> 1,391,388표 ||<:> 투표율 ||<:> 74.54% ||<:> - || ==== 결선 투표 ==== ||<-4><:>[[우크라이나 대통령|{{{#ffffff {{{+1 '''200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 ||<-2><:>'''이름''' ||<:>'''득표수''' ||<:>'''순위''' || ||<-2><:>'''정당''' ||<:>'''득표율''' ||<:>'''당락''' || ||<|2><:> ||<:>[[빅토르 유셴코|{{{#373a3c,#dddddd 빅토르 유셴코}}}]] ||<:>14,222,289 ||<:>2위 || ||<:>[include(틀:무소속)] ||<:>46.61% || 낙선 || ||<|2><:> ||<:>'''[[빅토르 야누코비치|{{{#373a3c,#dddddd 빅토르 야누코비치}}}]]''' ||<:>'''15,093,691''' ||<:>'''1위''' || ||<:>[include(틀:지역당)] ||<:>'''49.46%''' || '''당선''' || ||<|3><:>'''계''' ||<:>'''선거인 수''' || 37,613,022 ||<|3><:>'''투표율'''[br]81.12% || ||<:>'''투표 수''' || 30,511,289 || ||<:>'''무효표 수''' || 1,195,309 || ==== 결선 이후 ==== [[빅토르 야누코비치]]가 결선투표에서 당선되자, [[빅토르 유셴코]]는 결선 투표에서 대규모 선거 부정 정황이 있었다는 증거자료들을 입수하며 부정선거 의혹을 제기하였다. 이에 [[키이우]] 등지에서 대규모 반정부 시위가 발생하니 이것이 바로 [[오렌지 혁명]]이다. 결국 우크라이나 대법원과 우크라이나 중앙선거위원회가 개입하면서 12월 26일에 재투표를 실시하게 된다. 여기서 당시 빅토르 유셴코의 러닝메이트로 선거에 등판했던 인물이 훗날 빅토르 유셴코와 정적으로 돌변하는 [[율리야 티모셴코]]였다. ==== 결선 재투표 ==== ||<-4><:>[[우크라이나 대통령|{{{#ffffff {{{+1 '''200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 ||<-2><:>'''이름''' ||<:>'''득표수''' ||<:>'''순위''' || ||<-2><:>'''정당''' ||<:>'''득표율''' ||<:>'''당락''' || ||<|2><:> ||<:>'''[[빅토르 유셴코|{{{#373a3c,#dddddd 빅토르 유셴코}}}]]''' ||<:>'''15,115,712''' ||<:>'''1위''' || ||<:>[include(틀:무소속)] ||<:>'''51.99%''' || '''당선''' || ||<|2><:> ||<:>[[빅토르 야누코비치|{{{#373a3c,#dddddd 빅토르 야누코비치}}}]] ||<:>12,848,528 ||<:>2위 || ||<:>[include(틀:지역당)] ||<:>44.20% || 낙선 || ||<|3><:>'''계''' ||<:>'''선거인 수''' || 37,613,022 ||<|3><:>'''투표율'''[br]77.28% || ||<:>'''투표 수''' || 29,068,971 || ||<:>'''무효표 수''' || 1,104,731 || === 선거 이후 === [[빅토르 유셴코]] 후보가 당선되자 [[지역당]]과 [[빅토르 야누코비치]] 후보 역시 부정선거 증거를 입수해 법원에 선거 무효를 요청했으나 법원이 전부 기각했다. == 관련 문서 == * [[우크라이나 대통령]] *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분류:우크라이나의 대통령 선거]][[분류:2004년 선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