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야구용어]] [목차] == 개요 == 야구 선수들을 평가하는 지표이다. 1950년대, [[LA 다저스]]의 단장인 알 캄파니스는 60-80의 평가기준을 도입하였다. 이후 정규분포를 기준으로 평균을 50, 표준편차를 10으로 잡는 T점수를 이용하여 최저점을 20, 최고점을 80으로 잡는 지표로 변화하였다.[* 최저점이 0이 아니고 20인 이유는 평균이 50, 표준편차가 10이므로 T점수 20은 표준편차의 3배만큼 이동한 값인데 이는 백분위로 따져보면 하위 0.13%에 불과하다. 따라서 0~20 사이를 구분하는것은 0%~0.13%를 굳이 나누는 것이므로 무의미하다고 판단하고 실질적인 최저값인 20을 최저점으로 잡은것이다. 80~100 구간도 마찬가지.] T점수에 따른 백분위는 다음과 같다. 80: 상위 0.1% 75: 상위 0.6% 70: 상위 2.2% 65: 상위 6.7% 60: 상위 15.8% 55: 상위 30.8% 50: 상위 50% 45: 하위 30.8% 40: 하위 15.8% 30: 하위 2.2% 20: 하위 0.1% 단, 스카우터나 구단측에서 모든 선수들을 전수평가해서 이선수는 상위 몇 등이다 하고 줄세울수는 없으니, '''"이 정도 재능이면 아마 이 정도 위치는 될것이다"''' 하는 식의 대략적인 평가를 내리는 것으로 봐야한다. 또한 선수의 기량은 경험이나 훈련의 축적, 기술의 습득, 사생활 문제, 부상이나 노화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예상을 뛰어넘을만큼 발전하기도 하고 급속도로 퇴보하기도 하는등 시시때때로 달라지므로 당연히 평가는 고정적이지 않으며 아예 엇나가는 경우도 종종 있다. 과거에는 20-80 대신 2-8 스케일을 사용하였으며, 21세기 이후로도 그 영향이 남아 5 단위를 잘 사용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그나마 55(Above average)와 45(Below average)는 자주 사용되는 편이지만 65나 35는 별로 사용되지 않으며, 75나 25는 거의 볼 일이 없다. == 세부 항목에서의 20-80 스케일 == 베이스볼 아메리카에서는 2020년판 핸드북에 대한 설명에서 스피드, 파워, 구속 등에 대한 스케일 기준을 제시했다. [[https://www.baseballamerica.com/stories/explaining-the-20-80-baseball-scouting-scale/|#]] * 스피드: 홈-1루 도달 시간 || 스케일 || 우타자 || 좌타자 || || 80 || 4.00 || 3.90 || || 70 || 4.10 || 4.00 || || 65 || 4.15 || 4.05 || || 60 || 4.20 || 4.10 || || 55 || 4.25 || 4.15 || || 50 || 4.30 || 4.20 || || 45 || 4.35 || 4.25 || || 40 || 4.40 || 4.30 || || 30 || 4.50 || 4.40 || || 20 || 4.60 || 4.50 || * 파워: 시즌 홈런 || 스케일 || HR || || 80 || 45+ || || 70 || 35-44 || || 65 || 30-34 || || 60 || 25-29 || || 55 || 21-24 || || 50 || 18-20 || || 45 || 15-17 || || 40 || 10-14 || || 30 || 5-9 || || 20 || 0-4 || * 구속: 평균 속구 구속(mph) || 스케일 || 구속 || || 80 || 97+ || || 70 || 96 || || 65 || 95 || || 60 || 94 || || 55 || 93 || || 50 || 91-92 || || 45 || 90 || || 40 || 88-89 || || 30 || 86-87 || || 20 || 85 이하 || [[팬그래프]]에서 2014년 예시로 든 타율 기준 컨택 스케일은 다음과 같다. [[https://blogs.fangraphs.com/scouting-explained-the-20-80-scouting-scale/|#]] 단, 2010년대 이후로 메이저리그의 평균 타율은 점점 떨어져 2020년대 초에는 .240에 근접하게 되었다. * 컨택: 시즌 타율 || 스케일 || 타율 || || 80 || .320 || || 75 || .310 || || 70 || .300 || || 65 || .290 || || 60 || .280 || || 55 || .270 || || 50 || .260 || || 45 || .250 || || 40 || .240 || || 35 || .230 || || 30 || .220 || === 80: 시대를 대표하는 재능 === 베이스볼 아메리카에 의하면 MLB 전체에서 오직 한 선수에게만 특정 툴에 80을 주는 스카우터들도 있다. BA는 [[애런 저지]]의 파워, [[바이런 벅스턴]]의 스피드, [[아롤디스 채프먼]]의 패스트볼을 예시로 들었다. * [[지안카를로 스탠튼]][* 사실상 80이 최대치라서 80으로 분류되는거지 실질적으로는 파워 80을 찍는 선수들중에서도 최고로 꼽히는 규격외의 파워라고 평가받고있다.], [[피트 알론소]], [[조이 갈로]]의 파워 * [[후안 소토]], [[테드 윌리엄스]], [[알렉스 브레그먼]], [[카를로스 산타나]], [[리키 헨더슨]], [[조 모건]]의 선구안 * [[놀란 아레나도]], [[맷 채프먼]], [[케빈 키어마이어]], [[안드렐톤 시몬스]], [[해리슨 베이더]], [[아지 스미스]], [[브룩스 로빈슨]]의 수비 * [[블라디미르 게레로]], [[루이스 아라에즈]], [[완더 프랑코]], [[토니 그윈]], [[웨이드 보그스]], [[타이 콥]]의 컨택 * [[마리아노 리베라]]의 커터 * [[무키 베츠]], [[호세 라미레즈]], [[체이스 어틀리]]의 주루센스 * [[게릿 콜]], [[셰인 바즈]], [[헌터 그린]], [[다니엘 에스피노]], [[랜디 존슨]], [[놀란 라이언]]의 포심 패스트볼 * [[그렉 매덕스]]의 투심 패스트볼 * [[마이크 트라웃]], [[빌리 해밀턴]], [[코빈 캐롤]], [[리키 헨더슨]], [[루 브록]], [[바비 위트 주니어]]의 순수 주력[* 트라웃은 2020년대에 들어서는 주력이 2010년대보다 줄어들었다.] * [[J.T. 리얼무토]], [[야디어 몰리나]], [[오닐 크루즈]][* 드래프트 당시에는 70이였다.], [[이반 로드리게스]]의 송구 * [[조지 커비]], [[그렉 매덕스]], [[류현진]]의 컨트롤 * [[놀란 라이언]], [[사이 영]], [[월터 존슨]], [[칼 립켄 주니어]], [[랜디 존슨]], [[토미 존]]의 스태미나 * [[칼 립켄 주니어]], [[놀란 아레나도]]의 내구성 * [[놀란 아레나도]], [[호세 라미레즈]]의 어퍼스윙 스킬 === 70: 아주 뛰어난 재능[* 주로 플러스-플러스 등급이라고 불린다.] === BA는 [[코리 시거]]의 어깨, [[패트릭 코빈]]의 슬라이더, [[프란시스코 린도어]]의 수비를 예시로 들었다. * [[클레이튼 커쇼]]의 커브[* 드래프트 당시엔 60을 받았었으나 마이너를 거치는 동안 완성도가 높아지며 데뷔할 즈음엔 70이 됐다.] * [[오타니 쇼헤이]][* MLB진출전 스카우팅 리포트에서의 평가이며 메이저리그에 오고나서 강도높은 웨이트 트레이닝과 벌크업을 거친 이후에는 사실상 80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현재 메이저리그 전체에서도 순수한 힘으로 오타니를 능가할 선수는 스탠튼말고는 없다는 말까지 나올 정도.], [[카일 슈와버]][* 컵스 시절. 현재는 홈런왕까지 차지했으니 80이다.], [[맥스 먼시]]의 파워 * [[애런 저지]], [[조이 갈로]], [[토미 에드먼]], [[김하성]]의 수비 * [[아담 웨인라이트]]의 스태미나 * [[켄리 잰슨]]과 [[임마누엘 클라세]]의 커터 * [[류현진]]의 서클 체인지업 * [[토미 에드먼]], [[배지환]]의 주력 * [[알레한드로 커크]]의 선구안 * [[후안 소토]], [[프레디 프리먼]], [[DJ 르메이휴]], [[스즈키 이치로]], [[스티븐 콴]], [[요시다 마사타카]], [[저스틴 터너]]의 컨택 * [[맷 올슨]], [[호세 바티스타]]의 어퍼스윙 스킬 * [[맥스 슈어저]]의 내구성과 스태미나 * [[폴 골드슈미트]]의 주루센스 * [[로날드 아쿠냐 주니어]]의 송구와 주력 * [[다르빗슈 유]]의 컨트롤 === 60: 평균을 넘는 우수한 재능[* 주로 플러스 등급이라고 불린다.] === * [[호세 바티스타]], [[브라이스 하퍼]], [[폴 골드슈미트]], [[프레디 프리먼]], [[오타니 쇼헤이]], [[야스마니 그란달]][* 다저스 시절까지. 이후로는 더 발전해서 70이다.]의 선구안 * [[브라이언 도져]], [[트레이 터너]], [[J.T. 리얼무토]], [[라스 눗바]]의 파워 * [[브라이언 도져]], [[오타니 쇼헤이]]의 주력 * [[카를로스 코레아]], [[브렌던 도노반]], [[마이크 주니노]], [[스티븐 콴]], [[타일러 오닐]]의 수비 * [[매니 마차도]], [[놀란 아레나도]]의 컨택 * [[김광현]]의 슬라이더. * [[류현진]][* 체인지업도 데뷔 때는 60 스케일을 받았으나 70으로 올랐다.], [[마커스 스트로먼]], [[다르빗슈 유]]의 커터 * [[프레디 프리먼]], [[저스틴 터너]]의 주루센스 * [[오타니 쇼헤이]]의 포심 패스트볼[* 구속으로만 보면 단연 80점 만점이나 구속에 비해 무브먼트가 지나치게 밋밋하고 회전수도 낮아 좋은 평을 받진 못한다.] === 50: 리그 평균의 재능 === * [[강정호]]의 주력 * [[최지만]], [[빅터 마르티네즈]], [[작 피더슨]][* 다저스 시절에는 외야수로는 평균 이상의 수비력이였으나 1루수로는 최악의 수비력을 보였다.]의 수비 * [[아드리안 곤잘레스]], [[작 피더슨]], [[윌슨 콘트레라스]], [[로날드 아쿠냐 주니어]]의 선구안 * [[크리스 테일러]], [[브랜든 드루리]]의 파워 * [[호세 바티스타]], [[맷 올슨]], [[앤서니 리조]]의 컨택 * [[류현진]]의 포심 패스트볼[* 구속이나 구위 자체는 메이저에서 뒤에서 세는 수준이지만 컨트롤과 완급조절로 인하여 구종가치가 아주 나쁘지는 않다.] * [[케빈 키어마이어]]의 주루센스 === 40: 리그 평균 이하 === * [[잰더 보가츠]][* 다만 2022시즌엔 골드글러브 파이널리스트에 들 정도로 수비가 개선되어 앞으로 꾸준히 좋은 모습을 보여준다면 평가가 반전될 가능성이 있다], [[맥스 먼시]], [[롭 레프스나이더]]의 수비 * [[작 피더슨]], [[브라이언 도져]], [[카일 슈와버]]의 컨택 * [[토미 에드먼]], [[김하성]][* 메이저리그 데뷔 당시 기준, KBO기준으로는 당연히 매 시즌 20홈런을 기대할 수 있는, 20-80 스케일 기준으로는 60 이상의 훌륭한 파워를 보유했다. 그리고 빅리그에서도 2-3년차를 지나며 급격하게 발전을 이루는 중이다.], [[콜튼 웡]], [[배지환]]의 파워 * [[놀란 아레나도]]의 주력 * [[J.T. 리얼무토]]의 선구안 * [[오타니 쇼헤이]]의 주루센스 * [[지안카를로 스탠튼]], [[애런 저지]]의 내구성 === 30: 선수가 가진 심각한 단점 === * [[조이 갈로]], [[헌터 렌프로]]의 컨택 * [[마크 트럼보]], [[바비 위트 주니어]]의 선구안 * [[루이스 아라에즈]]의 파워 * [[바이런 벅스턴]], [[카를로스 로돈]], [[앤서니 랜던]][* 2021년부터]의 내구성 * [[리스 호스킨스]], [[테오스카 에르난데스]]의 수비 * [[칼 립켄 주니어]]의 주력 * [[조지 스프링어]]의 주루센스 * [[커트 스즈키]]의 송구 * [[놀란 라이언]], [[랜디 존슨]][* 1992년까지]의 컨트롤 === 20: 리그 압도적 최악 수준 === 대칭적인 위치에 있는 80이 리그 전체에 한두 명 있을 정도인 만큼, 원칙적으로 20 또한 그 정도로 아웃라이어에 해당해야 한다. * [[알버트 푸홀스]], [[브라이언 맥캔]], [[빅터 마르티네즈]], [[야디어 몰리나]], [[아드리안 곤잘레스]], [[세실 필더]], [[애덤 던]], [[알레한드로 커크]]의 주력[* 푸홀스와 몰리나는 선수 생활 말년 한정, 던은 선수 생활 후반기 해당] * [[디 고든]], [[아지 스미스]], [[빌리 해밀턴(1990)|빌리 해밀턴]]의 파워 * [[팀 앤더슨]], [[하비에르 바에즈]]의 선구안 * [[마이크 주니노]], [[그렉 버드]]의 컨택 * [[단테 비솃]], [[게리 셰필드]], [[호르헤 솔레어]], [[애덤 던]]의 수비 * [[스티븐 스트라스버그]]의 내구성[* 2020년부터. 사실 2010년대에도 내구성이 좋지는 않았긴 했지만 2020년 이후에는 아예 안 보인다.] * [[브랜든 드루리]]의 주루센스 == 종합적 평가에서의 20-80 스케일 == 75-80 : 프랜차이즈 스타, 1선발 투수.[* 여기서의 1선발은 각 팀에 한명씩, 리그 전체에 30명 있는 투수로서의 의미가 아니라 리그를 대표하는 에이스에 가깝다. 사이영 상 투표에서 상위권에 들고 포스트시즌 진출 팀의 1선발을 너끈히 소화하는 수준.] 65-70 : 항구적인 올스타, 2선발 투수. 60 : 때때로 선정되는 올스타, 2~3선발 투수, 최고의 마무리 투수 55 : 상위권 팀의 주전 선수, 3~4선발 투수, 우수한 마무리 투수. 50 : 평균적인 주전 선수, 4선발, 최상급 셋업맨. 45 : 약팀의 레귤러, 강팀의 백업, 5선발, 플래툰 40 : aaaa리거, 스윙맨, 좌타자 스페셜리스트. 30-35: 마이너 전용. 30 미만: 유망주도 아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