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0> [[비치 보이스|[[파일:beachboys_logo.png|width=110]][br]'''{{{#fff 비치 보이스의 역대 스튜디오 음반}}}''']] || ||<#5bbb8a> {{{#000 {{{-2 1968년 6월 24일}}}[br]{{{-2 14집}}} [[Friends(비치 보이스)|{{{#000 '''Friends'''}}}]]}}} || → ||<#000> {{{#fff {{{-2 1969년 2월 10일}}}[br]{{{-2 15집}}} [[20/20|{{{#fff '''20/20'''}}}]]}}} || → ||<#fff> {{{#e2452c {{{-2 1970년 8월 31일}}}[br]{{{-2 16집}}} [[Sunflower(비치 보이스)|{{{#e2452c '''Sunflower'''}}}]]}}} || ||<-2><#000> '''{{{#fff {{{+1 20/20}}}}}}'''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20-1969.jpg|width=100%]]}}} || || '''발매일''' ||[[1969년]] 2월 10일 || || '''녹음일''' ||[[1966년]] 9월 19일 - [[1968년]] 11월 28일 || || '''장르''' ||[[팝 록]], [[바로크 팝]], [[선샤인 팝]] || || '''재생 시간''' ||29:46 || || '''곡 수''' ||12곡 || || '''프로듀서''' ||[[브라이언 윌슨]][br][[칼 윌슨]][br]브루스 존스턴[br][[데니스 윌슨]][br]알 자딘 || || '''스튜디오''' ||캐피톨 스튜디오[br]비치 보이스 스튜디오[br]유나이티드 웨스턴 레코더[br]골드 스타 스튜디오[br]콜럼비아 스튜디오[br]ID 사운드 스튜디오[br]밸런타인 스튜디오[br]벨 사운드 스튜디오[br]EMI 스튜디오|| || '''레이블''' ||[[캐피톨 레코즈|[[파일:캐피톨 레코즈 로고.svg|width=60]]]] || [목차][clearfix] == 개요 == [[미국]] 록밴드 [[비치 보이스]]의 15번째 스튜디오 앨범. 앨범의 이름은 밴드 전체 디스코그래피에서 20번째로 발매된 앨범인 점에서 따왔다. == 상세 == 정신병력이 점점 심해지면서 앨범 녹음 도중 치료를 위해 병원에 입원한 [[브라이언 윌슨]]을 대신해 [[칼 윌슨]]과 [[데니스 윌슨]]이 전면에 나선 작품이다. 그런 점을 의식하듯이 앨범 커버에서도 브라이언이 아예 빠져 있고 그 자리에 브루스 존스턴이 대신 들어가 있다. 발매 이후 평론가들에게 호평을 받았고 차트 성적도 UK 앨범 차트 3위, [[빌보드 200]]차트 68위에 오르는 등 상업적으로도 좋은 성과를 냈다. 하지만 데니스 윌슨은 20/20을 작업할 때는 비치 보이스 활동 중 나를 처음부터 끝까지 당황하게 만든 유일한 실망스러운 기억이었다고 하며, 그 앨범은 비치 보이스가 완전체가 아니였던 첫 번째 앨범이라고 밝혔다. 앨범의 전체적인 분위기는 차분하고 서정적인 [[바로크 팝]] 스타일로 이루어져 있다. 원래 비치 보이스와 친하게 지내던 [[찰스 맨슨]]의 곡도 수록될 뻔 했으나 무산되었다. 밴드로서는 다행인 셈. 2018년 12월 7일 50주년을 기념하여 I Can Hear the Music: The 20/20 Sessions라는 이름으로 기념반을 발매했다. 데모 음원, 리믹스 등이 수록되어있다. == 트랙 리스트 == * 1. Do It Again * 1968년 5월과 6월에 녹음되었고, 2주 후에 싱글로 발매되었다. 미국에서는 20위밖에 오르지 못했지만 영국과 호주 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다. 브라이언은 나중에 이 곡을 20/20 앨범에 쓴 최고의 곡이라고 밝혔다. * 2. I Can Hear the Music * [[칼 윌슨]] 보컬. [[로네츠]]의 곡을 리메이크 하였다. 칼 윌슨의 청아하고 시원한 보컬을 느낄 수 있다. 싱글로 발매되어 미국에서는 24위밖에 오르지 못했지만 영국에서는 10위까지 올랐다. * 3. Bluebirds over the Mountain * 어셀 히키(Ersel Hickey)의 1958년 곡을 리메이크한 것으로 원래 버젼은 빌보드 탑 100 75위를 차지했다. * 비치 보이스 이전에는 'La Bamba' 로 유명한 [[리치 발렌스]], 비치 보이스 이후에는 [[레드 제플린]]의 [[로버트 플랜트]]와 같은 아티스트들이 커버했다. * 1967년 9월 브루스 존스턴이 제작하고 1968년 10월 완성되었다. 마이크 러브가 보컬을 맡았다. 데니스 윌슨은 불참했다. * 싱글로 나와 빌보드 차트 61위, 영국 싱글 차트 33위, 네덜란드 차트에선 무려 9위까지 올랐다. * 4. Be with Me * 데니스 윌슨이 지은 곡으로, 자신과 있어달라는 로맨틱한 팝 곡이다. * 5. All I Want to Do * 유일하게 [[하드 록]] 스타일의 이질적인 곡. 데니스 윌슨이 작곡했다. 원래는 데니스 윌슨 본인이 보컬을 하기로 했으나, 자신이 한 후 마음에 안 들어 마이크 러브에게 맡겼다고 한다. 가사의 내용은 야하다. * 6. The Nearest Faraway Place * 브루스 존스턴이 지은 기악곡으로,제목은 라이프 잡지 기자였던 샤나 알렉산더가 쓴 기사 제목에서 따왔다. * 7. Cotton Fields * 원곡은 허디 레드베터가 불렀으며, 비치 보이스 리메이크 후에는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버전이 유명하다. 우리나라에서도 만화 [[검정고무신]]에 수록된 곡이기도 하다. 브라이언은 나중에 "우리가 리메이크 한 가장 좋은 노래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 * 이 곡을 싣자는 아이디어는 알 자딘에 의해 제안되었는데, 그는 이 곡을 "Sloop John B" 처럼 성공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결과는 절반의 성공이었다. 영국 차트에서 5위까지 달성한 것과 달리 미국 빌보드 차트 성적은 100위권으로 처참했다. * 8. I Went to Sleep * 브라이언 윌슨과 칼 윌슨이 작곡한 왈츠로 당시 브라이언의 다른 곡들과 비슷한 부드러운 분위기와 관찰력 있는 가사를 담고 있다. * 9. Time to Get Alone * 브라이언이 1967년 레드우드(Redwood)라는 그룹에게 주기 위해 만들었던 곡. * 10. Never Learn Not to Love * 11. Our Prayer * 원래 1966년 [[SMiLE]] 프로젝트 당시 제작된 곡으로 제목도 Prayer로 지금과 달랐다. 보컬이 없는 아카펠라 트랙이었지만 보컬을 재녹음하여 수록했다. * 12. Cabinessence * Our Prayer와 마찬가지로 SMiLE 세션때 만들어진 곡. 브라이언이 [[반 다이크 파크스]]와 작곡했다. [[분류:미국의 록 음반]][[분류:1969년 음반]][[분류:비치 보이스 음반]][[분류:팝 록]][[분류:바로크 팝]][[분류:선샤인 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