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대학수학능력시험|{{{#000000,#e5e5e5 역대 대학수학능력시험}}}]]''' || || [[199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8c8c8c 1997 수능}}}]] || {{{#d0d0d0 {{{+1 →}}}}}} || '''{{{+1 1998 수능}}}'''[br]{{{#8c8c8c (1997.11.19.)}}} || {{{#d0d0d0 {{{+1 →}}}}}} || [[199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8c8c8c 1999 수능}}}]] || ||[[나무위키:편집지침/특정 분야]]가 우선 적용되는 문서입니다. 다른 문서들과 달리 개인적인 의견을 배제하여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서술로 바꾸실 수 있습니다. {{{#gray (이 문서는 현재 적용 안 됨.)}}} || [목차] == 개요 == [[1997년]] [[11월 19일]]에 실시되었다. [[제5차 교육과정]] 세대의 마지막 수능이다. 대부분의 1979년생, 빠른 1980년생과 n수생이 응시했다. 쉬운 수능 시대를 여는 첫 시험이었다. 수능시험이 처음 도입된 94학년도부터 직전 시험인 97학년도까지가 "어려운 수능" 시대였다면, 98학년도부터 대폭 난이도가 쉬워졌고 01학년도까지 수능 난이도는 꾸준히 내려가게 된다. 97수능이 워낙 어려워서 비교된 탓에 [[물수능]]이라고 불리기도 했으나 이후의 난이도와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어려운 편이라 2010년 이후에는 물수능이라고 하지 않는다. 전국 수석은 398.5점을 받은 [[서울과학고등학교]] 출신의 한상형 군[* 현재는 부산지검 검사 재직중으로, 서울대 산업공학과에 98학번으로 입학했으나 자퇴 후 다시 수능을 치러 서울대 법대에 00학번으로 재입학했다.][* 1.5점짜리 문제 하나를 틀리는 바람에 수능 사상 첫 만점자 타이틀을 다음 해 [[오승은(1980)|오승은]] 양에게 아쉽게 넘겨주었다.]. 처음엔 공개되지 않았다가 1년 뒤 뒤늦게 공개되었다. == 시험의 상세 == || 교시 ||<-2> 영역 || 계열 구분 || 문항 || 배점 || 시간(분) || ||1||<-2>언어 영역||공통||65||120||90|| ||2||<-2>수리 · 탐구 영역(Ⅰ)||인문·예체능, 자연||30||80||100|| ||<|4>3||<|4>수리 · 탐구 영역(Ⅱ)||<|2>사회탐구 영역||인문, 예체능||48||72||<|4>120|| ||자연||32||48|| ||<|2>과학탐구 영역||인문, 예체능||32||48|| ||자연||48||72|| ||4||<-2>외국어 영역||공통||55||80||80|| ||<-4> 합계 ||230||400||390|| [* [[200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까지 이 포맷으로 유지되었다.] == [[난이도]] == 전체 평균 점수는 221.8으로 [[199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 비해 41.8점 상승한 수준이지만, 만점자는 없었다. 1년전 수능에 비해 모든 과목에서 난이도가 하향되었다.[* 사실 97학년도 수능은 [[본고사]] 폐지 영향 때문에 변별력을 가려내기 위해 수준을 올렸다는 분석이 기정사실화 되고 있다.] 과목별로 언어영역(국어)은 평균 점수 120점 만점에 77.68점(100점 만점에 64.73점)이었으며 인문계는 원점수 114점 정도가 1.3퍼정도였다. 원점수 110점 이상이 인문계 16682명(4.05%), 자연계 13640명(3.75%)으로 평균이 이과가 근소하게 높았으나, 110점 이상의 상위권 기준으로 문과가 우세한 시험이었다. 이 당시 등급의 개념은 없었으나, 만약 평가원 식으로 등급을 매기면 문과,이과 모두 5개 틀리면 1등급에 들 수 있는 정도로 7차 이후 기준으로 어려운 수준을 선보였다. 7차 이후의 방식으로 계산시 '''표준점수 최고점이 139점'''으로 산출되고,'''원점수 120점 만점에 109점'''(100점 만점으로 환산시 약 '''91점''')까지 1등급이 나왔을 것이다.물론 5차 교육과정 기준으로는 꽤 쉬운 수준. 수리탐구Ⅰ(수학)은 100점 만점에 인문계 평균 35.69점, 자연계 평균 42.15점이었다. 원점수 80점 만점에 75점 이상이 인문계 3810명(0.92%), 자연계 4070명(1.12%)이었고 만점 비율 이과, 문과 각각 '''0.21%'''로 같게 나와 작년보다 쉬워졌다. 97수능은 75점 이상이 자연계는 100명 이하, 인문계는 10명 내외였다. 원점수 70점 이상은 인문계 8191명(1.98%), 자연계 9796명(2.69%)였다. 65점 이상 인문계 14325명(3.47%), 자연계 17646명(4.86%)이었다.7차 이후의 방식으로 계산시 '''인문계'''는 '''80점 만점에 64점'''(100점 만점으로 환산시 '''{{{#red,#ff0000 80점}}})''', '''자연계'''는 '''80점 만점에 65점'''(100점 만점에 '''{{{#red,#ff0000 81.25점}}})'''까지 1등급이 나왔을 것이다.인문계의 만점자 표준점수는 '''{{{#red,#ff0000 162점}}}''', 자연계의 만점자 표준점수는 '''{{{#red,#ff0000 156점}}}'''이었다. 외국어영역은 80점 만점에 45.08점이 평균 점수였고,계열 통합으로 '''2352명'''의 만점자가 나왔다.원점수 75점 이상 인문계 17330명(4.20%), 자연계 16990명(4.68%)으로 쉬운 편이었다.7차 이후의 방식으로 계산시 '''원점수 80점 만점에 75점'''(100점 만점으로 환산시 '''93.75점''')까지 1등급이 나왔을 것이며,표준점수 최고점은 '''140점'''으로 산출된다. 수리탐구Ⅱ(사과탐)는 100점 이상이 인문계 12065명(2.93%), 자연계 13455명(3.70%)였다. 110점 이상이 인문계 1314명(0.319%), 자연계 1731명(0.47%)으로 역시 작년보단 쉬웠다. 작년은 110점 이상이 인문계 5명, 자연계 13명이었다. 6차 교육과정의 사탐, 과탐과는 교육과정이 달라 비교하기 어려우나 비교하자면 6차 교육과정의 시험보다 다소 어려운 편이라고 할 수 있다. 사회탐구는 245명, 과학탐구는 99명,총 '''344명'''의 만점자가 등장했다. 전체적인 수준은 원점수 300점 이상이 110832명으로 '당시 기준' 사상 최대의 인원을 보였다. 원점수 350점 이상은 인문계 9200명대(2.2%정도), 자연계 9800명대(2.7%정도)였으며 360점 이상 인문계 5100명대(1.2%대), 자연계 5200명대(1.4%대), 370점 이상 2200명대(0.54%), 자연계 2100명대(0.58%), 380점 이상 인문계 600명 내외(0.14%), 자연계 500명 내외(0.12%)정도였다. 원점수 390점 이상은 인문계 33명, 자연계 30명뿐이었다. 사실 이 정도 수준은 6차 이후 시험에서는 어려운 편에 속한다. 단지 97수능이 너무 어려운 편이라 비교되어서... 그리고 전체적인 점수 분포가 상위권, 중상위권이 늘어나 항아리형 분포를 보였는데, 이는 97수능에 비하면 정상적인 분포를 보였다.[* 97학년도 수능은 상위권이 작고 중하위권이 많은 '''꽃병형''' 분포를 보였다.] 한편 이 해부터 수시모집이 본격 시행되는데, 수시모집에서는 수능 성적을 그다지 많이 고려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예컨대 서울대학교의 경우 수시모집 예비 합격생은 수능 성적이 상위 10% 안에만 들면 최종 합격 통지서를 받을 수 있었다. 1997년 12월 2일에 서울대학교 사상 최초의 수시모집 예비 합격생 348명의 명단이 발표되었고 이 가운데 330명이 최종 합격을 하였다. [youtube(E3kgKJs4pxs)] 또한 이 수능이 치러지기 80여일 전에 EBS [[위성방송]] 강의가 시작되기도 했다. 1998학년도 수능의 영역별 1등급 커트라인은 다음과 같다. 언어:109/120(90.83) (만점자 161명) 수리(인문):64/80(80) (만점자 898명) 수리(자연):65/80(81.25) (만점자 787명) 외국어:75/80(93.75) (만점자 2352명) == 둘러보기 틀 == [include(틀:대학수학능력시험 관련 문서)] [include(틀:대학수학능력시험의 역사)] [[분류:연도별 대학수학능력시험]][[분류:1990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