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일본시리즈 목록)] ---- ||<-5><#fff><:> [[일본프로야구|[[파일:NPB 로고.svg|width=30]]]] [br] '''[[일본시리즈|{{{#FF2400 역대 일본시리즈 우승팀}}}]]''' || ||<:> [[1995년 일본시리즈|1995년]] [br]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 {{{+1 ←}}} ||<:><#fff> '''1996년 [br] [[오릭스 블루웨이브]]''' ||<:> {{{+1 →}}} ||<:> [[1997년 일본시리즈|1997년]] [br]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 ---- ||||
<#FFF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996년 일본시리즈 우승팀 오릭스 블루웨이브.jpg|width=100%]]}}} || ||||<:><#073180> '''{{{#FFFFFF 1996년 일본시리즈 우승팀}}}'''|| ||||<:><#ffc74b> [[오릭스 블루웨이브|'''{{{#373a3c 오릭스 블루웨이브}}}''']] || ||<:> '''{{{#073180 MVP}}}''' || [[트로이 닐|'''{{{#073180 트로이 닐}}}''']] || [목차] [clearfix] == 개요 == ||<-2>
<:> {{{+2 {{{#ffffff '''NIPPON SERIES 1996'''}}}}}} || || [[파일:오릭스 블루웨이브 심볼.svg|width=160]] ||<#000000>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svg|width=130]] || ||<:> [[오릭스 블루웨이브|{{{#ffc74b {{{+1 '''오릭스 블루웨이브'''}}}}}}]] ||<#fe5a1d> [[요미우리 자이언츠|{{{#ffffff {{{+1 '''요미우리 자이언츠'''}}}}}}]] || [[1996년]] [[10월 19일]]~[[10월 24일]]까지 개최되었으며, 이 해 [[센트럴 리그]] 우승팀 [[요미우리 자이언츠]]와 [[퍼시픽 리그]] 우승팀인 [[오릭스 블루웨이브]]가 맞붙어, [[오릭스 블루웨이브]]가 4승 1패로 [[1977년]] 이후 약 20년만의 리턴매치에서 승리하며 4번째 [[일본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2년 연속 [[그린 스타디움 고베]]에서 열린 [[일본시리즈]]이자 [[스즈키 이치로]]가 처음으로 경험한 우승. 전년도 준우승이던 홈구장에서 드디어 우승기를 꽂았다. 요미우리의 리그 우승 덕인지 홈구장인 도쿄는 관중몰이가 잘된건 덤. == 일정표 == ||<-6> '''{{{#ffc74b 1996년 일본시리즈, [[오릭스 블루웨이브|{{{#ffc74b 오릭스 블루웨이브}}}]] : [[요미우리 자이언츠|{{{#ffc74b 요미우리 자이언츠}}}]], 7전 4선승제}}}''' || ||<-3> '''{{{#ffffff 일시, 장소}}}''' ||<-3> '''{{{#ffffff 스코어}}}''' || || '''1차전''' || 10.19(토) 18:11 ||<|2> [[도쿄 돔]] || {{{#ffffff O}}} || {{{#ffc74b '''오릭스''' 4 : 3 요미우리}}} || X || || '''2차전''' || 10.20(일) 18:11 || {{{#ffffff O}}} || {{{#ffc74b '''오릭스''' 2 : 0 요미우리}}} || X || || '''3차전''' || 10.22(화) 18:33 ||<|3> [[그린 스타디움 고베]] || X || {{{#ffc74b 요미우리 2 : 5 '''오릭스'''}}} || {{{#ffffff O}}} || || '''4차전''' || 10.23(수) 18:33 || {{{#ffffff O}}} || {{{#fe5a1d '''요미우리''' 5 : 1 오릭스}}} || X || || '''5차전''' || 10.24(목) 18:33 || X || {{{#ffc74b 요미우리 2 : 5 '''오릭스'''}}} || {{{#ffffff O}}} || == 경기결과 == 짝수 해이기 때문에 이 해 [[일본시리즈]]는 [[센트럴 리그]] 구단인 [[요미우리 자이언츠]]가 [[어드밴티지]]를 가졌다. === 1차전 : [[10월 19일]], [[도쿄 돔]] === ||<-13> {{{#ffc74b '''일자: 10월 19일, 경기시간: 18시 04분~21시 46분, 관중수: 45,121명'''}}}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R''' || ||<#002288><:> '''[[오릭스 블루웨이브| {{{#ffc74b 오릭스}}}]]''' || '''호시노 노부유키''' || 0 || 0 || 0 || 0 || 0 || 0 || 0 || 3 || 0 || 1 || '''4''' || ||<#000000><:> '''[[요미우리 자이언츠|{{{#fe5a1d 요미우리}}}]]''' || '''사이토 마사키''' || 1 || 0 || 0 || 0 || 0 || 0 || 0 || 0 || 2 || 0 || '''3''' || * 승리투수 : 스즈키 타이라(오릭스, 1승) * 패전투수 : 고노 히로부미(요미우리, 1패) * 세이브 : 히라이 마사후미(오릭스, 1세이브) 홈런 : 오릭스 - 이치로(10회 1점) , 요미우리 - 오모리 타케시(9회 2점)[* [[오오모리 미유]]의 친아빠다.] === 2차전 : [[10월 20일]], [[도쿄 돔]] === ||<-14> {{{#ffc74b '''일자: 10월 20일, 경기시간: 18시 33분~21시 26분, 관중수: 45,086명'''}}}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002288><:> '''[[오릭스 블루웨이브| {{{#ffc74b 오릭스}}}]]''' || '''윌리 프레이저''' || 0 || 0 || 0 || 2 || 0 || 0 || 0 || 0 || 0 || '''2''' || ||<#000000><:> '''[[요미우리 자이언츠|{{{#fe5a1d 요미우리}}}]]''' || '''[[마키하라 히로미]]'''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 승리투수 : 윌리 프레이저(오릭스, 1승) * 패전투수 : 마키하라 히로미(요미우리, 1패) * 세이브 : 스즈키 타이라(오릭스, 1승 1세이브) 홈런 : 없음 === 3차전 : [[10월 22일]], [[그린 스타디움 고베]] === ||<-14> {{{#ffc74b '''일자: 10월 22일, 경기시간: 18시 10분~21시 06분, 관중수: 33,026명'''}}}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R''' || ||<#000000><:> '''[[요미우리 자이언츠|{{{#fe5a1d 요미우리}}}]]''' || '''[[발비노 갈베스]]''' || 0 || 1 || 0 || 0 || 0 || 1 || 0 || 0 || 0 || 0 || '''2''' || ||<#002288><:> '''[[오릭스 블루웨이브|{{{#ffc74b 오릭스}}}]]''' || '''노다 코지''' || 1 || 4 || 0 || 0 || 0 || 0 || 0 || 0 || 0 || X || '''5''' || * 승리투수 : 노다 고지(오릭스, 1승) * 패전투수 : [[발비노 갈베스]](요미우리, 1패) * 세이브 : 스즈키 타이라(오릭스, 1승 2세이브) 홈런: 요미우리 – 셰인 맥(2회 1점), 니시 도시히사(6회 1점) === 4차전 : [[10월 23일]], [[그린 스타디움 고베]] === ||<-15> {{{#fe5a1d '''일자: 10월 23일, 경기시간: 18시 10분~21시 35분, 관중수: 33,070명'''}}}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000000><:> '''[[요미우리 자이언츠|{{{#fe5a1d 요미우리}}}]]''' || '''미야모토 카즈토모''' || 0 || 2 || 0 || 0 || 0 || 1 || 2 || 0 || 0 || '''5''' || ||<#073180><:> '''[[오릭스 블루웨이브|{{{#ffc74b 오릭스}}}]]''' || '''토요타 지로''' || 0 || 0 || 1 || 0 || 0 || 0 || 0 || 0 || 0 || '''1''' || * 승리투수 : 기다 마사오(요미우리 1승) * 패전투수 : 토요타 지로(오릭스, 1패) 홈런: 요미우리 – 오모리 다케시(6회 1점) === 5차전 : [[10월 24일]], [[그린 스타디움 고베]] === ||<-14> {{{#ffc74b '''일자: 10월 24일, 경기시간: 18시 10분~21시 36분, 관중수: 33,222명'''}}}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000000><:> '''[[요미우리 자이언츠|{{{#fe5a1d 요미우리}}}]]''' || '''[[사이토 마사키]]''' || 0 || 0 || 1 || 1 || 0 || 0 || 0 || 0 || 0 || '''2''' || ||<#002288><:> '''[[오릭스 블루웨이브|{{{#ffc74b 오릭스}}}]]''' || '''호시노 노부유키''' || 0 || 0 || 5 || 0 || 0 || 0 || 0 || 0 || X || '''5''' || * 승리투수 : 이토 다카히데(오릭스, 승) * 패전투수 : 사이토 마사키(요미우리, 1패) * 세이브 : 스즈키 타이라(1승 3세이브) 홈런: 요미우리 – 니시 도시히사(3회 1점) 오릭스의 19년 만에 4번째이자 홈에서 첫번째 [[일본시리즈]] 우승을 거두게 된다. == 타이틀 시상 == * MVP : 트로이 닐(오릭스) * 감투상 : 니시 도시히사(요미우리) * 우수 선수상 : 스즈키 다이라, 오시마 고이치, 이치로(이상 오릭스) == 기타 == * [[스즈키 이치로]]의 처음이자 마지막 우승이다. 이후 [[일본프로야구|NPB 리그]]를 평정하고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에 [[시애틀 매리너스|진출]]했으나 팀은 단 한 번도 [[월드 시리즈]] 문턱을 밟아보지 못했다. * 시리즈에서 MVP를 받은 [[트로이 닐]]은 일본에서의 활약으로 2001년 한국 야구팀인 [[두산 베어스]]에 입단을 했으나 성적 부진 및 어이없는 사고로 얼마 못 가서 방출된다. 이후 외인 선수가 일본시리즈 MVP를 받게 되는 건 2012년과 13년도에 잠시 오릭스에서 뛰었던 '''[[이대호]]'''였다.[* 물론 우승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에 가서 했다. [[2015년 일본시리즈]] MVP.] * 약 20년 만에 만난 오릭스와 요미우리의 승부는 비등할 전력으로 비췄으나 4승 1패로 이기며 트로피를 들었다. * 오릭스는 전년도 홈구장에서 야쿠르트에게 4승 1패로 무릎을 꿇었으나, 다시 전력을 잡아 기어이 우승을 했다. 블루웨이브라는 이름으로 우승을 한 마지막 시즌이며 이후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와 병합하여 오릭스 버팔로즈로 팀명을 변경하였으나 [[2022년 일본시리즈]]에서 우승할 때까지는 우승 트로피를 들지 못했다. * 스즈키 타이라는 4차전을 제외한 전경기 투구를 하여 팀의 우승을 확정짓는 [[헹가래 투수]]를 했다. 일명 타이라에서 타이라 까지. * 국내 야구팬에게도 익숙한 발비노 갈베스가 이해에 일본프로야구에 데뷔하며 약 5년간 활동하였다. 비슷한 시기에 [[조성민]]도 이해 입단하였지만 1군 기록은 없고 이듬해부터 뛰기 시작한다. * 나가시마 시게오는 1976년, 1977년 일본시리즈에서 한큐 브레이브스에게 깨진 이후 19년 만에 한큐를 인수한 오릭스와 맞붙었으나 또다시 악연을 피하지 못하고 우승에 실패했다. 그리고 10년뒤 한큐는 나가시마가 어릴때 동경하던 [[한신 타이거즈]]를 꿀꺽해버렸다. * 오릭스 버팔로즈는 2022년, 26년 만에 [[야쿠르트 스왈로즈]]를 꺾고 우승을 차지하였으며 우승을 이끈 [[나카지마 사토시]] 감독은 이때 당시 선수로서 우승에 이바지하였다. == 둘러보기 틀 == [include(틀:오릭스 버팔로즈)] [각주] [[분류:일본시리즈]][[분류:요미우리 자이언츠]][[분류:오릭스 버팔로즈]][[분류:1996년 야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