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국의 주요선거)] ||<-4><#002664> '''{{{+1 1994년 미국 중간선거}}}[br]1994 United States elections'''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yjN1zeXST4, width=100%, height=320)]{{{-2 주요 지역의 선거 결과를 전하는 뉴스}}}}}} || ||<-4> {{{#!wiki style="margin: -7px -12px"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2 [[1992년]] [[11월 3일]]}}}[br][[1992년 미국 양원·주지사 선거|1992 선거]]}}} ||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2 [[1994년]] [[11월 8일]]}}}[br]'''1994 선거'''}}} ||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2 [[1996년]] [[11월 5일]]}}}[br][[1996년 미국 양원·주지사 선거|1996 선거]]}}} || }}} || ||<#f5f5f5,#222> '''선거''' ||<-4>[[https://en.m.wikipedia.org/wiki/1994_United_States_Senate_elections|1994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br][[https://en.m.wikipedia.org/wiki/1994_United_States_House_of_Representatives_elections|1994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br][[https://en.m.wikipedia.org/wiki/1994_United_States_gubernatorial_elections|1994년 미국 주지사 선거]] || ||<-4><#002664> '''상원의원 선거 결과''' || ||<-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 [[파일:1994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 주별 결과.svg|width=100%]][br]{{{#!wiki style="margin: -10px 0px" {{{-3 ▼}}}}}} ||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81018 52.00%, #0044C9 48.00%)" [[공화당(미국)|{{{#FFF '''공화당'''}}}]] {{{-2 '''52석 (52.0%)'''}}} ✔ {{{#!wiki style="float:right" {{{-2 '''(48.0%) 48석'''}}} [[민주당(미국)|{{{#FFF '''민주당'''}}}]]}}} }}} || || '''정당''' || '''획득 의석''' || '''총합'''[br]{{{#!wiki style="letter-spacing: -.5px; {{{-2 (기존의석 포함)}}}}}} || '''비율''' || || [include(틀:공화당(미국))] || '''21석''' || '''52석'''[* 선거 직후 [[리처드 셸비]] 입당으로 회기 시작에는 53석] || '''52.00%''' || || [include(틀:민주당(미국))] || 14석 || 48석[* 선거 직후 [[리처드 셸비]] 탈당으로 회기 시작에는 47석] || 48.00% || }}}}}}}}} || ||<-4><#002664> '''하원의원 선거 결과''' || ||<-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 [[파일:1994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주별 결과.png|width=100%]][br]{{{#!wiki style="margin: -10px 0px" {{{-3 ▼}}}}}} ||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81018 52.8%, #808080 52.8%, #808080 53.0%, #0044C9 53.0%)" [[공화당(미국)|{{{#FFF '''공화당'''}}}]] {{{-2 '''230석 (54.0%)'''}}} ✔ {{{#!wiki style="float:right" {{{-2 '''(45.8%) 204석'''}}} [[민주당(미국)|{{{#FFF '''민주당'''}}}]]}}} }}} || || '''정당''' || '''획득 의석''' || '''비율''' || || [include(틀:공화당(미국))] || '''230석''' || '''52.87%''' || || [include(틀:민주당(미국))] || 204석 || 46.90% || || [include(틀:무소속)] || [[버니 샌더스|1명]] || 0.23% || }}}}}}}}} || ||<-4><#002664> '''주지사 선거 결과''' || ||<-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 [[파일:1994년 미국 주지사 선거 주별 결과.png|width=100%]][br]{{{#!wiki style="margin: -10px 0px" {{{-3 ▼}}}}}} ||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81018 60.0%, #808080 60.0%, #808080 62.0%, #0044C9 62.0%)" [[공화당(미국)|{{{#FFF '''공화당'''}}}]] {{{-2 '''30명 (60.0%)'''}}} ✔ {{{#!wiki style="float:right" {{{-2 '''(38.0%) 19명'''}}} [[민주당(미국)|{{{#FFF '''민주당'''}}}]]}}} }}} || || '''정당''' || '''획득 주''' || '''총합'''[br]{{{#!wiki style="letter-spacing: -.5px; {{{-2 (기존 주 포함)}}}}}} || '''비율''' || || [include(틀:공화당(미국))] || '''24명''' || '''30명''' || '''60.00%''' || || [include(틀:민주당(미국))] || 11명 || 19명 || 38.00% || || [include(틀:무소속)] || [[앵거스 킹|1명]] || [[앵거스 킹|1명]] || 2.00% || }}}}}}}}} || [목차][clearfix] == 개요 == 1994년 11월 진행된 미국의 [[중간선거]]이다. 상원의원, 하원의원, 주지사 선거 모두 공화당이 대승하며 상하원의 다수당을 가져왔다. [[미국 남부]]의 민주당 지지자들이 공화당으로 넘어가는 상징적인 선거이자 미국 정치사의 대표적인 정치적 재편성(political realignment) 선거로 꼽혀 '''공화당 혁명''' 또는 '''깅리치 혁명'''이라고도 불린다. == 선거 배경 == [[1992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재선에 도전하는 [[조지 H. W. 부시]]를 격파하고 대선에서 압승한 [[빌 클린턴]]은 동시에 치루어진 양원 선거에서도 민주당이 넉넉하게 과반을 상회하는 의석을 얻으며 순조롭게 임기를 시작한다. 하지만 인기 없는 옴니버스 예산 조정법(OBRA-93)은 국민들에게 증세로 여겨졌고, "클린턴케어"라고 불리는 [[영부인]] [[힐러리 클린턴]]이 주도한 보편적 [[의료보험]] 제안은 보수,진보를 모두 만족시키지 못하고 좌초되고 만다. 게다가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에 공약대로 서명하자 민주당의 핵심 지지층인 중서부 노동자의 지지도 흔들리기 시작했다. [[미국 공화당|공화당]]의 하원 원내총무[* 하원 원내대표보다 하위에 있는 다른 직책이다. 당시 공화당 하원 원내대표는 밥 미첼(Robert Henry Michel)이라는 중도보수 성향의 인물로 94년에는 출마하지 않았다.] [[뉴트 깅리치]]는 클린턴 행정부의 내우외환을 놓치지 않고 클린턴은 대선에서 약속한 온건한 [[신민주당(미국)|신민주당원]]이 아닌 급진 [[현대자유주의|자유주의자]]라고 클린턴 정부를 공격했다. 그리고 단순히 클린턴 정부를 비난하는 [[네거티브]]를 넘어 '''[[https://idp.theminjoo.kr/board/view/archive/932?ca=39&page=2|미국과의 계약]]'''이라는 [[보수주의]],[[자유지상주의]],[[신자유주의]]를 결합한 명확한 비전을 내세워 미국인들의 호응을 얻는다. 깅리치는 또한 독실한 개신교 [[복음주의]] 표심의 강력함을 인식해, 정부의 [[DADT|동성애자 군입대]] 허용 정책을 비판하며 지지를 호소한다.[* 이 전략은 [[2004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조지 W. 부시]]와 [[칼 로브]]가 다시 사용해서 성과를 얻는다.] 선거일이 다가오자 지지율에서 공화당이 민주당을 역전하고 상원에서는 근소하게 과반의석 달성,하원에서는 근소한 차이로 과반의석 달성이 실패할 것으로 예측되며 결과를 예상하기 힘든 수준으로 경합적인 모습을 보인다.[[https://www.hankyung.com/international/amp/1994110702171|#]] 빌 클린턴 대통령과 [[밥 돌]] 공화당 상원 원내대표,뉴트 깅리치 공화당 원내총무 모두 유세에 총력하면서 결과를 기대하는데... == 선거 결과 == === 상원 === ||<-4> {{{#FFFFFF '''1994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 결과'''}}} || ||<:>주||<:>'''[[공화당(미국)|{{{#FFFFFF 공화당}}}]]'''||<:>'''[[민주당(미국)|{{{#FFFFFF 민주당}}}]]'''||<:>비고|| || [[애리조나]] ||<:><#F6CECE>'''존 카일'''[br]'''53.7%'''||<:>샘 코퍼스미스[br]39.5%||<:><#E81018>{{{#fff 공화당 '''획득'''}}}|| || [[캘리포니아]] ||<:>마이클 허핑턴[br]44.8%||<:><#A9E2F3>'''[[다이앤 파인스타인]]'''[br]'''46.7%'''||<:><#A9E2F3>민주당 '''유지'''|| || [[코네티컷]] ||<:>제리 라브리올라[br]31.0%||<:><#A9E2F3>'''[[조 리버만]]'''[br]'''67.0%'''||<:><#A9E2F3>민주당 '''유지'''|| || [[델라웨어주|델라웨어]] ||<:><#F6CECE>'''빌 로스'''[br]'''55.8%'''||<:>찰스 오벌리[br]42.5%||<:><#F6CECE>공화당 '''유지'''|| || [[플로리다]] ||<:><#F6CECE>'''코니 맥 3세'''[br]'''70.5%'''||<:>휴 로댐[br]29.5%||<:><#F6CECE>공화당 '''유지'''|| || [[하와이]] ||<:>마리아 허스테스[br]24.2%||<:><#A9E2F3>'''[[대니얼 아카카]]'''[br]'''71.8%'''||<:><#A9E2F3>민주당 '''유지'''|| || [[인디애나]] ||<:><#F6CECE>'''리처드 루거'''[br]'''67.4%'''||<:>짐 존츠[br]30.5%||<:><#F6CECE>공화당 '''유지'''|| || [[메인주|메인]] ||<:><#F6CECE>'''올림피아 스노'''[br]'''60.2%'''||<:>톰 앤드류스[br]36.7%||<:><#E81018>{{{#fff 공화당 '''획득'''}}}|| || [[메릴랜드]] ||<:>빌 브록[br]40.9%||<:><#A9E2F3>'''폴 사베인스'''[br]'''59.1%'''||<:><#A9E2F3>민주당 '''유지'''|| || [[매사추세츠]] ||<:>[[밋 롬니]][br]41.0%||<:><#A9E2F3>'''[[테드 케네디]]'''[br]'''58.1%'''||<:><#A9E2F3>민주당 '''유지'''|| || [[미시간]] ||<:><#F6CECE>'''스펜서 에이브러햄'''[br]'''51.9%'''||<:>밥 카[br]42.7%||<:><#E81018>{{{#fff 공화당 '''획득'''}}}|| || [[미네소타]] ||<:><#F6CECE>'''로드 그램스'''[br]'''49.1%'''||<:>앤 위니아[br]44.1%||<:><#F6CECE>공화당 '''유지'''|| || [[미시시피]] ||<:><#F6CECE>'''[[트렌트 로트]]'''[br]'''68.8%'''||<:>켄 하퍼[br]31.2%||<:><#F6CECE>공화당 '''유지'''|| || [[미주리]] ||<:><#F6CECE>'''[[존 애쉬크로프트]]'''[br]'''59.7%'''||<:>앨런 위트[br]35.7%||<:><#F6CECE>공화당 '''유지'''|| || [[몬태나주|몬태나]] ||<:><#F6CECE>'''콘래드 번즈'''[br]'''62.4%'''||<:>잭 머드[br]37.6%||<:><#F6CECE>공화당 '''유지'''|| || [[네브래스카]] ||<:>잰 스토니[br]45.0%||<:><#A9E2F3>'''밥 케리'''[br]'''54.8%'''||<:><#A9E2F3>민주당 '''유지'''|| || [[네바다]] ||<:>할 퍼먼[br]41.0%||<:><#A9E2F3>'''리처드 브라이언'''[br]'''50.9%'''||<:><#A9E2F3>민주당 '''유지'''|| || [[뉴저지]] ||<:>밥 헤이타이안[br]47.0%||<:><#A9E2F3>'''프랭크 로덴버그'''[br]'''50.3%'''||<:><#A9E2F3>민주당 '''유지'''|| || [[뉴멕시코]] ||<:>콜린 맥밀런[br]46.0%||<:><#A9E2F3>'''제프 빙가만'''[br]'''54.0%'''||<:><#A9E2F3>민주당 '''유지'''|| || [[뉴욕주|뉴욕]] ||<:>베르나데트 카스트로[br]41.5%||<:><#A9E2F3>'''팻 모이니한'''[br]'''55.3%'''||<:><#A9E2F3>민주당 '''유지'''|| || [[노스다코타]] ||<:>벤 클레이버그[br]42.0%||<:><#A9E2F3>'''켄트 콘래드'''[br]'''58.0%'''||<:><#A9E2F3>민주당 '''유지'''|| || [[오하이오]] ||<:><#F6CECE>'''[[마이크 드와인]]'''[br]'''53.4%'''||<:>조엘 하얏트[br]39.2%||<:><#E81018>{{{#fff 공화당 '''획득'''}}}|| || [[오클라호마]] [[보궐선거|보궐]] ||<:><#F6CECE>'''[[제임스 인호퍼|짐 인호퍼]]'''[br]'''55.2%'''||<:>데이브 맥커디[br]40.0%||<:><#E81018>{{{#fff 공화당 '''획득'''}}}|| || [[펜실베이니아]] ||<:><#F6CECE>'''[[릭 샌토럼]]'''[br]'''49.4%'''||<:>해리스 워포드[br]46.9%||<:><#E81018>{{{#fff 공화당 '''획득'''}}}|| || [[로드아일랜드]] ||<:><#F6CECE>'''존 채피'''[br]'''64.5%'''||<:>린다 쿠슈너[br]35.5%||<:><#F6CECE>공화당 '''유지'''|| || [[테네시]] ||<:><#F6CECE>'''빌 프리스트'''[br]'''56.4%'''||<:>짐 새서[br]42.1%||<:><#E81018>{{{#fff 공화당 '''획득'''}}}|| || [[테네시]] [[보궐선거|보궐]] ||<:><#F6CECE>'''[[프레드 톰슨]]'''[br]'''60.4%'''||<:>짐 쿠퍼[br]38.6%||<:><#E81018>{{{#fff 공화당 '''획득'''}}}|| || [[텍사스]] ||<:><#F6CECE>'''케이 베일리 허치슨'''[br]'''60.8%'''||<:>리처드 피셔[br]37.3%||<:><#F6CECE>공화당 '''유지'''|| || [[유타주|유타]] ||<:><#F6CECE>'''[[오린 해치]]'''[br]'''68.8%'''||<:>패트릭 시어[br]28.3%||<:><#F6CECE>공화당 '''유지'''|| || [[버몬트]] ||<:><#F6CECE>'''짐 제퍼즈'''[br]'''50.3%'''||<:>얀 바쿠스[br]40.6%||<:><#F6CECE>공화당 '''유지'''|| || [[버지니아주|버지니아]] ||<:>올리버 노스[br]42.9%[* 무소속 마샬 콜먼이 11.4% 득표]||<:><#A9E2F3>'''척 롭'''[br]'''45.6%'''||<:><#A9E2F3>민주당 '''유지'''|| || [[워싱턴주|워싱턴]] ||<:><#F6CECE>'''슬레이드 고튼'''[br]'''55.7%'''||<:>론 심즈[br]44.3%||<:><#F6CECE>공화당 '''유지'''|| || [[웨스트버지니아]] ||<:>스탠리 클로스[br]31.0%||<:><#A9E2F3>'''[[로버트 버드]]'''[br]'''69.0%'''||<:><#A9E2F3>민주당 '''유지'''|| || [[위스콘신]] ||<:>로버트 웰치[br]40.7%||<:><#A9E2F3>'''[[허브 코흘]]'''[br]'''58.3%'''||<:><#A9E2F3>민주당 '''유지'''|| || [[와이오밍]] ||<:><#F6CECE>'''크레이그 L. 토머스'''[br]'''58.9%'''||<:>마이크 설리번[br]39.3%||<:><#F6CECE>공화당 '''유지'''|| ||<-4><:>'''1994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 결과'''|| ||<:>||<:>'''[[민주당(미국)|{{{#FFFFFF 민주당}}}]]'''||<:>'''[[공화당(미국)|{{{#FFFFFF 공화당}}}]]'''|| ||<:>선거 결과|| 48명 || '''52명''' || ||<:>득실|| -8[* 선거 전 의석 대비.] || '''+8'''[* 선거 전 의석 대비.] || 민주당이 8석과 상원 다수당 자리를 공화당에 내주며 대패했다. 그 중 [[펜실베이니아]]와 [[테네시]]에서는 민주당 현직 상원의원들이 각각 [[릭 샌토럼]],빌 프리스트[* 이후 공화당 연방상원 원내대표]에게 패배한다. [[앨 고어]]가 부통령에 당선되면서 발생한 보궐선거에서도 공화당의 [[프레드 톰슨]]이 큰 격차로 당선된다. [[존 글렌]],조지 미첼[* 연방상원 민주당 원내대표],데이비드 보렌[* [[오클라호마주]]의 전 주지사이자 마지막 민주당 상원의원이었다. 정계 은퇴 후 [[오클라호마 대학교]] 총장을 지낸다.]같은 민주당 중진들이 은퇴한 자리도 공화당 도전자들인 [[마이크 드와인]],올림피아 스노,[[제임스 인호퍼]]가 차지하였다. 그러나 공화당에게 아쉽게도 캘리포니아와 버지니아에서는 민주당 현직 상원의원들이 접전을 벌이다 승리했다.[* 캘리포니아에서는 [[다이앤 파인스타인]]이 [[허핑턴포스트]] 공동 창립자인 마이클 허핑턴에게 승리했고 버지니아에서는 [[린든 B. 존슨]]의 사위인 척 롭이 [[이란-콘트라 사건]]의 핵심 인물인 올리버 노스를 중도보수 성향 주 법무장관 마샬 콜먼의 독자 출마로 겨우 이겼다.] 선거 직후 [[앨라배마주]]의 [[리처드 셸비]]가 공화당에 입당하고 1995년 3월에는 [[콜로라도주]]의 벤 나이트호스 캠벨(Ben Nighthorse Campbell)[* [[찰스 커티스]] 이후, [[마크웨인 뮬린]] 이전 유일한 [[아메리카 원주민]] 연방 상원의원이었다.] 상원의원이 공화당에 입당해 의석 격차가 54:46으로 더 벌어진다. === 하원 === ||<-4><:>'''1994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결과'''|| ||<:>||<:>'''[[민주당(미국)|{{{#FFFFFF 민주당}}}]]'''||<:>'''[[공화당(미국)|{{{#FFFFFF 공화당}}}]]'''||<:>'''[[무소속(정치)|{{{#FFFFFF 무소속[br]기타}}}]]'''|| ||<:>선거 결과|| 204명 || '''230명''' || [[버니 샌더스|1명]] || ||<:>득실|| -54[* 선거 전 의석 대비.] || '''+54'''[* 선거 전 의석 대비.] || -[* 선거 전 의석 대비.] || [[뉴트 깅리치]]의 주도로 무려 54석을 가져오는 데 성공한다. [[1952년]] 하원의원 선거 이래로 '''42년간''',루즈벨트 사망으로 인한 1946년 중간선거까지 빼면 [[1932년]]부터 '''62년간''' 이어진 민주당의 연방하원 우세를 뒤집어버리는 엄청난 성과를 낸다 '''132년'''만에 '''현직 [[하원의장]]'''이 낙선하는 대사건도 발생했다. 워싱턴 5구[* [[진보]] 성향이 강한 [[워싱턴주]]지만 워싱턴 5구는 [[농촌]] 지역이라 [[여촌야도|보촌혁도]]로 인해 보수적인 성향이다.]에서 16선[* 한국으로 치면 8선]에 도전하던 [[톰 폴리]]였지만 지역구의 보수화+세대교체론+공화당 돌풍을 버티지 못하고 낙선해버린 것이다. 다른 지역에서도 초선 공화당 하원의원이 많이 당선되어 공화당 하원의원 1/3이 초선 의원이었다고 한다. 민주당은 공화당 현역 의원이 출마한 지역구를 단 한 곳도 가져오지 못했다.[* 민주당이 획득한 소수의 의석은 현직 공화당원이 은퇴한 "Open-Seat" 밖에 없었다.] 전국적으로 공화당이 약진했지만 가장 많은 의석을 가져온 곳은 [[미국 남부]]였다. [[1972년 미국 대통령 선거]],[[1984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닉슨]]과 [[레이건]]은 남부 주에서 압승했지만 남부인들은 [[교차투표]]를 해서 하원에서 여전히 보수적인 [[남부 민주당원]]을 뽑았고 이들은 민주당의 하원 다수당 유지에도 기여했다. 하지만 94년 중간선거에서는 깅리치의 [[복음주의]] 표심 호소 전략이 제대로 먹혀 엄청난 수의 신입 남부 공화당 하원의원이 탄생한다. 이들은 당연히 하원의장으로 깅리치를 지지했고 선거 후 1995년에는 4명의 남부 민주당 하원의원들이 공화당에 입당한다.[* 4인 중 네이선 딜(Nathan Deal) 하원의원은 2011년부터 2019년까지 조지아 주지사를 역임한다.] 남부의 민주당 당세와 조직이 이 선거 이후 하루아침에 무너지지는 않았지만[* 일례로 [[미시시피]] 주 하원은 2011년까지, [[켄터키]] 주 하원은 '''2016년'''까지 민주당이 다수당이었다.] 결국 [[2014년 미국 중간선거]]까지 가면 대부분의 남부 주에서 주의회까지도 공화당이 차지하게 된다. 이후 남부 주들은 2023년 기준으로 [[버지니아주]], [[조지아주]], [[노스캐롤라이나주]] 같이 대도시권이 성장한 주를 제외하면 공화당의 완전한 텃밭이 된다. === 주지사 === ||<-4> {{{#FFFFFF '''1994년 미국 주지사 선거 결과'''}}} || ||<:>주||<:>'''[[공화당(미국)|{{{#FFFFFF 공화당}}}]]'''||<:>'''[[민주당(미국)|{{{#FFFFFF 민주당}}}]]'''||<:>비고|| || [[앨라배마]] ||<:><#F6CECE>'''포브 제임스'''[br]'''50.3%'''||<:>짐 폴섬 주니어[br]49.4%||<:><#E81018>{{{#fff 공화당 '''획득'''}}}|| || [[알래스카]] ||<:>짐 캠벨[br]40.8%||<:><#A9E2F3>'''토니 놀스'''[br]'''41.1%'''||<:><#0044C9>{{{#fff 민주당 '''획득'''}}}|| || [[애리조나]] ||<:><#F6CECE>'''파이프 시밍턴'''[br]'''52.5%'''||<:>에디 바샤[br]44.3%||<:><#F6CECE>공화당 '''유지'''|| || [[아칸소]] ||<:>셰필드 넬슨[br]40.2%||<:><#A9E2F3>'''짐 가이 터커'''[br]'''59.8%'''||<:><#A9E2F3>민주당 '''유지'''|| || [[캘리포니아]] ||<:><#F6CECE>'''피트 윌슨'''[br]'''55.2%'''||<:>캐슬린 브라운[br]40.6%||<:><#F6CECE>공화당 '''유지'''|| || [[콜로라도]] ||<:>브루스 D. 벤슨[br]38.7%||<:><#A9E2F3>'''로이 로머'''[br]'''55.5%'''||<:><#A9E2F3>민주당 '''유지'''|| || [[코네티컷]] ||<:><#F6CECE>'''존 G. 롤랜드'''[br]'''36.2%'''||<:>빌 커리[br]32.7%[* 코네티컷당 유니스 그로크 18.9% 득표]||<:><#E81018>{{{#fff 공화당 '''획득'''}}}|| || [[플로리다]] ||<:>[[젭 부시]][br]49.2%||<:><#A9E2F3>'''로튼 칠레스'''[br]'''50.8%'''||<:><#A9E2F3>민주당 '''유지'''|| || [[조지아주|조지아]] ||<:>가이 밀너[br]48.9%||<:><#A9E2F3>'''[[젤 밀러]]'''[br]'''51.1%'''||<:><#A9E2F3>민주당 '''유지'''|| || [[하와이]] ||<:>팻 사이키[br]29.2%[* 하와이 최고당 프랭크 파시 30.1% 득표]||<:><#A9E2F3>'''벤 사예타노'''[br]'''36.6%'''||<:><#A9E2F3>민주당 '''유지'''|| || [[아이다호주|아이다호]] ||<:><#F6CECE>'''필 배트'''[br]'''52.3%'''||<:>래리 에코 호크[br]43.9%||<:><#E81018>{{{#fff 공화당 '''획득'''}}}|| || [[일리노이]] ||<:><#F6CECE>'''짐 에드거'''[br]'''63.9%'''||<:>던 클락 네치[br]34.4%||<:><#F6CECE>공화당 '''유지'''|| || [[아이오와]] ||<:><#F6CECE>'''[[테리 브랜스태드]]'''[br]'''56.8%'''||<:>보니 캠벨[br]41.6%||<:><#F6CECE>공화당 '''유지'''|| || [[캔자스]] ||<:><#F6CECE>'''빌 그레이브스'''[br]'''61.1%'''||<:>짐 슬래터리[br]38.9%||<:><#E81018>{{{#fff 공화당 '''획득'''}}}|| || [[메인주|메인]] ||<:>[[수전 콜린스]][br]23.1%||<:>조지프 브레넌[br]33.8%||<:><#808080>{{{#fff 무소속 '''획득'''}}}[* 무소속 [[앵거스 킹]] 35.4% 득표]|| || [[메릴랜드]] ||<:>엘렌 사워브리[br]49.8%||<:><#A9E2F3>'''패리스 글렌딩'''[br]'''50.2%'''||<:><#A9E2F3>민주당 '''유지'''|| || [[매사추세츠]] ||<:><#F6CECE>'''[[빌 웰드]]'''[br]'''70.9%'''||<:>마크 루즈벨트[br]28.3%||<:><#F6CECE>공화당 '''유지'''|| || [[미시간]] ||<:><#F6CECE>'''존 엥글러'''[br]'''61.5%'''||<:>하워드 볼프[br]38.5%||<:><#F6CECE>공화당 '''유지'''|| || [[미네소타]] ||<:><#F6CECE>'''아르네 칼슨'''[br]'''63.3%'''||<:>존 마티[br]34.1%||<:><#F6CECE>공화당 '''유지'''|| || [[네브래스카]] ||<:>진 스펜스[br]25.6%||<:><#A9E2F3>'''벤 넬슨'''[br]'''73.0%'''||<:><#A9E2F3>민주당 '''유지'''|| || [[네바다]] ||<:>짐 기븐스[br]41.3%||<:><#A9E2F3>'''밥 밀러'''[br]'''52.7%'''||<:><#A9E2F3>민주당 '''유지'''|| || [[뉴햄프셔]] ||<:><#F6CECE>'''스티브 메릴'''[br]'''69.9%'''||<:>웨인 킹[br]25.6%||<:><#F6CECE>공화당 '''유지'''|| || [[뉴멕시코]] ||<:><#F6CECE>'''[[게리 존슨]]'''[br]'''49.8%'''||<:>브루스 킹[br]39.9%[* [[미국 녹색당|녹색당]] 로메르토 몬드라곤 10.3% 득표]||<:><#E81018>{{{#fff 공화당 '''획득'''}}}|| || [[뉴욕주|뉴욕]] ||<:><#F6CECE>'''[[조지 퍼타키]]'''[br]'''48.8%'''||<:>[[마리오 쿠오모]][br]45.5%||<:><#E81018>{{{#fff 공화당 '''획득'''}}}|| || [[오하이오]] ||<:><#F6CECE>'''조지 보이노비치'''[br]'''71.8%'''||<:>롭 버치[br]25.0%||<:><#F6CECE>공화당 '''유지'''|| || [[오클라호마]] ||<:><#F6CECE>'''프랭크 키팅'''[br]'''46.9%'''||<:>잭 밀드런[br]29.6%[* 무소속 웨스 왓킨스 23.5% 득표]||<:><#E81018>{{{#fff 공화당 '''획득'''}}}|| || [[오리건]] ||<:>데니 스미스[br]42.4%||<:><#A9E2F3>'''존 키츠하버'''[br]'''51.0%'''||<:><#A9E2F3>민주당 '''유지'''|| || [[펜실베이니아]] ||<:><#F6CECE>'''톰 리지'''[br]'''45.4%'''||<:>마크 싱겔[br]39.9%[* [[헌법당]] 페그 루식 12.8% 득표]||<:><#E81018>{{{#fff 공화당 '''획득'''}}}|| || [[로드아일랜드]] ||<:><#F6CECE>'''[[링컨 C. 앨먼드]]'''[br]'''47.4%'''||<:>미스 요크[br]43.5%||<:><#E81018>{{{#fff 공화당 '''획득'''}}}|| || [[사우스캐롤라이나]] ||<:><#F6CECE>'''데이비드 비즐리'''[br]'''50.4%'''||<:>닉 시어도어[br]47.9%||<:><#F6CECE>공화당 '''유지'''|| || [[사우스다코타]] ||<:><#F6CECE>'''빌 잰클로'''[br]'''55.4%'''||<:>짐 베도[br]40.5%||<:><#F6CECE>공화당 '''유지'''|| || [[테네시]] ||<:><#F6CECE>'''돈 선퀴스트'''[br]'''54.3%'''||<:>[[필 브레드슨]][br]44.7%||<:><#E81018>{{{#fff 공화당 '''획득'''}}}|| || [[텍사스]] ||<:><#F6CECE>'''[[조지 W. 부시]]'''[br]'''53.5%'''||<:>[[앤 리처즈]][br]45.9%||<:><#E81018>{{{#fff 공화당 '''획득'''}}}|| || [[버몬트]] ||<:>데이비드 켈리[br]19.0%||<:><#A9E2F3>'''[[하워드 딘]]'''[br]'''68.7%'''||<:><#A9E2F3>민주당 '''유지'''|| || [[위스콘신]] ||<:><#F6CECE>'''토미 톰슨'''[br]'''67.2%'''||<:>찰스 치발라[br]30.9%||<:><#F6CECE>공화당 '''유지'''|| || [[와이오밍]] ||<:><#F6CECE>'''짐 게린저'''[br]'''58.7%'''||<:>캐시 카판[br]40.2%||<:><#E81018>{{{#fff 공화당 '''획득'''}}}|| ||<-4><:>'''1994년 미국 주지사 선거 결과'''|| ||<:>||<:>'''[[민주당(미국)|{{{#FFFFFF 민주당}}}]]'''||<:>'''[[공화당(미국)|{{{#FFFFFF 공화당}}}]]'''||<:>'''[[무소속(정치)|{{{#FFFFFF 무소속[br]기타}}}]]'''|| ||<:>선거 결과|| 19명 || '''30명''' || 1명 || ||<:>득실|| -10[* 선거 전 의석 대비.] || '''+10'''[* 선거 전 의석 대비.] |||| -[* 선거 전 의석 대비.] || 공화당이 12곳[* 앨라배마,코네티컷,아이다호,캔자스,뉴멕시코,뉴욕,오클라호마,펜실베이니아,로드아일랜드,테네시,텍사스,와이오밍]을 가져오고 2곳을 뺏기며[* 알래스카,메인] 역시 대승했다. 남부에서는 '''앨라배마''','''텍사스''',오클라호마,테네시를 가져왔고 북동부에서는 '''뉴욕''',코네티컷,로드아일랜드를 가져왔다. 특히 민주당의 대권주자로 꼽히던 뉴욕의 [[마리오 쿠오모]], 텍사스의 [[앤 리처즈]]를 낙선시킨 것은 이변으로 여겨졌고 승리한 [[조지 퍼타키]]와 [[조지 W. 부시]]는 대권주자로 성장한다. 텍사스 주지사 당선인 조지 W. 부시는 4년 뒤 더 큰 차이로 재선에 성공하고 [[200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대통령에 당선된다. 중서부와 서부의 현직 공화당 주지사들도 무난히 격차를 벌리며 재선에 성공한다. 민주당이 이긴 플로리다,조지아도 경험많은 현직 주지사 로튼 칠레스[* 3선 플로리다 연방 상원의원을 역임했다],[[젤 밀러]][* 4선 조지아 부지사를 역임했다.]가 도전자 [[젭 부시]],가이 밀너에게 낙선 직전까지 따라잡혀 남부의 강해진 공화당 세력을 보여줬다. [[조지 월리스]] 등 [[딕시크랫]]의 본거지인 앨라배마에서는 [[남부 민주당원]] 출신[* [[철새(정치)|민주당->공화당->민주당->공화당]] 소속으로 1979년부터 1983년까지 민주당 소속으로 주지사를 지낸 적이 있었다.] 포브 제임스가 현직 민주당 주지사 짐 폴섬 주니어를 상대로 여론조사를 뒤집고 0.9%p차로 승리했다. 클린턴의 홈스테이트 [[아칸소]]는 클린턴 주정부에서 부지사로 활동한 짐 가이 터커가 압승하지만 화이트워터 스캔들에 연루되어 사임하고 [[마이크 허커비]] 부지사가 아칸소 주지사직을 승계한다. 메인주에서는 [[앵거스 킹]]이 민주당 조지프 브레넌 전 주지사와 공화당 [[수전 콜린스]]를 제쳐 유일한 [[무소속(정치)|무소속]] 주지사로 당선된다. 하지만 벤 넬슨[* 2001년부터 2013년까지 [[네브래스카주]] 민주당 상원의원을 지낸다. 민주당 소속이지만 지역구 성향을 따라가서 [[오바마 행정부]]와 자주 충돌할 정도로 보수적이었다.]이나 [[하워드 딘]]같은 지역 밀착형 민주당 주지사들은 인물론으로 압승하는 결과를 냈다. 중간선거에서 낙선한 [[젭 부시]][* 1998년 당선],[[필 브레드슨]][* 2002년 당선],짐 기븐스[* 2006년 당선]는 이후 선거에서 주지사로 당선되어 재기한다. == 총평 == '''공화당의 역사적 대승'''으로 정리될 수 있다. [[미국 공화당|공화당]]이 양원 모두 과반을 훌쩍 뛰어넘는 230/435석, 52[* 선거 직후 [[리처드 셸비]] 입당으로 사실상 53석]/100석을 차지해 선거 전 예상보다 훨씬 크게 이겼다. 공화당 압승의 일등 공신인 [[뉴트 깅리치]]는 공화당 연방하원 원내대표에 이어 [[하원의장]]에도 당선된다. 그래서 94년 중간선거를 일컫는 또다른 이름이 '''깅리치 혁명'''이다. 닉슨과 레이건 시기에도 [[보수연합]] 덕분에 공화당 대통령이 입법을 진행하는데 큰 어려움이 있지는 않았다. 하지만 남부 보수 민주당원과 공화당원이라는 다른 당의 연합이라 단결이 부족하다는 근본적인 한계는 극복하기 어려웠고 하원의장도 쭉 민주당에서만 배출되었다. 그랬던 연방하원이 공화당 우위로 뒤집히자 보수 민주당과의 타협 없이도 깅리치 하원의장의 주도로 선명한 보수적 입법이 가능하게 되었다. 남부 공화당원의 비중이 커지면서 공화당은 더욱 보수화되었고, 레이건 시대부터 사멸에 가까워진 [[록펠러 공화당]]의 당내 영향력은 더 줄어들었다. 94년 선거 이후 보수연합은 소멸하고 남은 [[보수주의 민주당원]]들은 [[청견연합]]으로 재편성된다. 충격적인 대패로 인해 [[빌 클린턴]] 대통령의 재선 가도에도 먹구름이 예상되었다. 하지만 경기가 1995년부터 다시 부양하기 시작하고 뉴트 깅리치의 2번에 걸친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으로 인해 공화당 의회의 지지율은 떨어지고 정부의 지지율이 다시 회복된다. 이 선거로 [[뉴트 깅리치]]는 1995년 타임지 선정 올해의 인물에도 선정되고 1996년 대권주자로도 거론되는 등 스포트라이트를 받았지만 정작 셧다운 역풍 때문에 1996년에는 경선에도 못나갔고[* 2012년 대선 경선에 나간 적은 있으나, 기괴한 극우적 발언으로 지지율이 엄청나게 떨어져 론 폴에도 밀려 폭망했다.] 이후 혼외정사 사건까지 터지면서 초라하게 정계를 은퇴한다.[* 이 과정에서 깅리치에 비해 온건하고 사생활도 깨끗한 [[조지 W. 부시]]가 부상하게 된다. 부시는 깅리치와 달리 "온정적 보수주의"(Compassionate conservative)를 내세워 상대적으로 온건한 포지셔닝을 했고, 성공했다.] 그리고 2년 후 클린턴은 정부를 발목잡기하는 의회를 심판해야한다는 논리을 내세우며 [[199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밥 돌]]에게 압승하게 된다.[* 밥 돌은 깅리치의 강경 보수 행보에는 거리를 두었지만 효과가 크지는 않았다. 공화당 내에서도 밥 돌의 나이 때문에 그를 패전투수 역할로 보는 시각이 강했다.] 그렇지만 공화당은 [[1995년]]부터 [[2023년]]까지 28년간 2007~2011년,2019년~2023년을 제외하고는 하원 다수당을 유지하게 되어 [[오바마]],[[바이든]]도 하원 공화당과 [[협치]]가 불가피하게 된다. == 여담 == * [[셰어]]의 전남편이자 [[가수]],전직 [[팜스프링스]] 시장인 소니 보노가 [[캘리포니아]] 44구에서 공화당 하원의원에 당선된다. 1996년 하원의원 선거에서도 재선에 성공하지만 임기 중 스키 사고로 사망한다. 그가 사망하자 의회는 그가 지지했던 저작권 기간 연장법을 발의했다.[[https://en.m.wikipedia.org/wiki/Copyright_Term_Extension_Act|#]] * 12년 뒤 [[2006년 미국 중간선거]]에서 정당만 바꾸면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94년 중간선거에서 초선 상원의원에 당선된 [[마이크 드와인]],[[릭 샌토럼]]은 2006년 3선에 도전하지만 [[셰러드 브라운]],[[밥 케이시]]에게 대패한다.[* 마이크 드와인은 주 법무장관을 거쳐 [[2018년 미국 중간선거]]에서 주지사로 돌아오게 된다.] * 이 선거 직후 딱 6일 후인 11월 14일 [[빌 클린턴]] 대통령이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김영삼]]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졌는데, 김영삼 회고록에 관련 내용이 나온다. 빌 클린턴이 선거 참패 때문에 유독 기분이 좋지 않아 보여 김영삼이 "힘 내요, 클린턴 대통령! 내가 미국 역사책을 봤는데 중간선거에서 크게 진 대통령일수록 재선을 쉽게했어요"[* 사실 이건 미국 역대 중간선거 중 여당이 이긴 경우가 드물기 때문이다. 2차 대전 이후로는 1978년, 1998년, 2002년, 2022년 중간선거에서만 여당이 선전했고 나머지는 모두 패배했다.] 라고 참으로 김영삼다운 위로를 했다고 한다. 김영삼의 예언(?)이 적중했는지, 빌 클린턴은 이 선거를 전화위복으로 1996년 대선에서 압도적인 재선을 따내게 된다. [[분류:미국의 선거]][[분류:1994년 선거]][[분류:클린턴 행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