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주요선거)] ||<-5> '''[[재보궐선거|{{{#FFFF00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 || [[1989년]] || ← || [[1990년]] || → || [[1991년]] || || [[1989년 재보궐선거]] || ← || '''1990년 재보궐선거''' || → || [[1991년 재보궐선거]] ||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공직선거법 규정에 따라 1990년중에 치러진 [[재보궐선거]]다. [[2000년]] 2월 이전까지는 재보궐선거의 일정이 정례화 되지 않아 지역마다 선거일이 모두 달랐다.[* 그래서 위키백과나 나무위키 문서에 기재되지 않은 2000년 이전 재보선 결과도 상당하다. 지역별로 날짜가 전부 달라 목록을 만드는 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2000년 이전의 지역별 재보선 결과를 자세히 알고 싶다면 중앙선관위 자료를 참고하길 바람. [[https://www.nec.go.kr/site/nec/ex/bbs/View.do?cbIdx=1129&bcIdx=14283|#]] ] == 4월 3일 == ||<-5><#eeeeee><:> '''1990년 4월 재보궐선거/국회의원 선거 결과''' || ||<#003990><:> [include(틀:민주자유당)]||<#808080><:> '''[[무소속|{{{#ffffff 무소속 }}}]]'''|| ||<:>'''1석''' ||<:>'''1석''' || ||<:><-5>'''[[제13대 국회의원]]'''|| ||<-2><:>{{{#FFFFFF '''1990년 4월 재보궐선거 지역구'''}}}|| ||<-2><:>{{{#FFFFFF '''국회의원'''}}}|| ||<:> 대구직할시 서구 갑 [[정호용]][br](무소속) || [[12.12 군사반란]] 주동 혐의로 의원직 사직 || ||<:> 충청북도 진천군·음성군 [[김완태(정치인)|김완태]](민주자유당) || 1990년 1월 사망 || * 당선자 * 대구직할시 서구 갑 [[문희갑]] (민주자유당) * 충청북도 진천군·음성군 [[허탁]] (민주당) [[민주자유당]]이 [[3당 합당]] 이후 치른 첫 선거이지만, 텃밭인 대구에서도 겨우 과반을 넘기고 농촌인 충북 진천·음성에서 [[민주당(1990년)|꼬마민주당]][* 당시에는 정식 창당 이전이었으므로 무소속으로 출마.]에게 의석을 내주는 등 참패한 선거이다. === 지역별 선거 결과 === ==== 대구직할시 서구 갑 ==== ||<-4> {{{#ffffff {{{+1 '''서구 갑'''}}}}}}[br]{{{#ffffff 내당1동, 내당2동, 내당3동, 내당4동, 비산4동, [br]평리2동, 평리4동, 평리5동, 상이동, 중리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문희갑]](文熹甲)''' || '''41,970''' || '''1위''' || || '''[include(틀: 민주자유당)]''' || '''51.55%''' || '''당선''' || ||<|2> {{{#ffffff {{{+5 '''2'''}}}}}} || [[김현근(1959)|김현근]](金顯根) || 5,199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5.50% || 낙선 || ||<|2> {{{#ffffff {{{+5 '''3'''}}}}}} || [[백승홍]](白承弘) || 34,242 || 2위 || || [include(틀: 무소속)] || 42.50% || 낙선 || ||<|2> {{{#ffffff {{{+5 --'''4'''--}}}}}} || ~~[[정호용]](鄭鎬溶)~~ || - ||<|2> 사퇴 || || ~~[include(틀: 무소속)]~~ || - || ||<|3> '''계''' || '''선거인 수''' || 132,364 ||<|3> '''투표율'''[br]63.95% || || '''투표 수''' || 84,644 || || '''무효표 수''' || 3,233 || 이 선거는 [[2021년 재보궐선거|2021년 4·7 재보궐선거]] 만큼이나 전국적으로 이목을 끈 재보궐선거였다. 현역 국회의원이던 [[정호용]]은 [[3당 합당]] 과정에서 [[김영삼]]과 [[김종필]]의 요구에 따라서 [[노태우]] 당시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의 부탁에 의하여 사퇴하고, 이 과정에서 [[노태우]]에게 보궐선거 공천을 약속받는다.[* 이게 무슨 소리냐 하겠지만, 당시에는 속칭 [[맹형규]]법으로 불리는 법안이 시행되기 이전이라 본인이 재보궐선거의 원인을 제공해도 본인이 재출마하는 것이 가능했다.] 그러나 [[민주자유당]]은 정호용이 아닌 [[문희갑]] [[청와대]] 경제[[수석비서관]]을 공천하고, 정호용은 자신의 명예회복을 위하여 탈당 후 무소속으로 출마한다.[[https://shindonga.donga.com/3/all/13/104892/2|#]] 무소속 출마엔 부인의 권유가 있었다고. 선거전은 팽팽한 접전으로 흘러갔으며, 당시 [[민주자유당]]은 [[3당 합당]] 이후 치러지는 첫 선거라 현역 대구지역 국회의원들에게 동책을 맡도록 하고 안기부 등을 통하여 정호용을 미행까지 하며 압박했으며[[https://mnews.joins.com/article/2450794#home|#]][[https://shindonga.donga.com/Library/3/01/13/104892/2|#]], 결국 이를 견디다 못한 정호용의 부인이 자살 기도까지 하자[[https://mnews.joins.com/article/2445376#home|#]] 결국 정호용은 후보등록까지 마감했음에도 끝내 사퇴하고 만다. 그렇지만 정호용의 사퇴 이후 정호용의 지지층이 모두 문희갑 후보에게 간 것은 아니었다. 무소속[* 이후 [[민주당(1990년)|민주당]]에 합류.] [[백승홍]] 후보는 당초 정호용과 문희갑 후보의 경쟁으로 인한 어부지리 효과를 노리다 정호용의 사퇴에 압력이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하며 정호용 지지층을 흡수하려고 시도했고[[https://mnews.joins.com/article/2447948|#]], 결국 선거 결과 문희갑 후보는 텃밭인 대구에서 출마하였음에도[* 다만 지금과는 달리 당시의 서구는 젊은 층들의 비중이 높았고 야권 지지층도 적지 않았던 곳이다. 13대 총선에서는 정호용이 과반으로 승리하였지만 12대 총선에서는 중구·서구 선거구에서 [[신한민주당]]의 [[유성환]] 후보가 1위로 당선되는데 크게 기여한 지역이다.] 51.5%의 득표율로 겨우 과반을 넘겼으며 당시 [[백승홍]] 후보는 42.5%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비록 낙선했지만 [[2005년 재보궐선거]]에서 [[이강철(정치인)|이강철]]이 [[열린우리당]] 소속으로 44.1%의 득표율을 기록하기 이전까지 대구에서 민주당계 정당 소속으로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여담으로 정호용의 사퇴로 인하여 남은 선거자금이 후일 문희갑의 [[대구광역시장]] 임기 말에 발생한 비자금 파동의 원인이라는 분석도 있다.[[https://m.pressian.com/m/pages/articles/22788#0DKW|#]] ==== 충청북도 진천군·음성군 ==== ||<-4> {{{#ffffff {{{+1 '''진천군·음성군'''}}}}}}[br]{{{#ffffff 진천군 일원, 음성군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민태구]](閔泰求) || 31,178 || 2위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45.44% || 낙선 || ||<|2> {{{#ffffff {{{+5 '''2'''}}}}}} || '''[[허탁]](許沰)''' || '''37,441''' || '''1위''' || || '''[include(틀:무소속)]''' || '''54.56%''' ||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89,987 ||<|3> '''투표율'''[br]78.2% || || '''투표 수''' || 70,356 || || '''무효표 수''' || 1,737 || 무소속 [[허탁]] 후보가 농촌지역에 여당의 텃밭이라는 불리한 조건에도 불구하고 전문가들의 예상을 뒤엎고 당선되었다. 이후 허탁 의원은 그 해 6월에 창당한 [[민주당(1990년)|민주당]]에 합류한다. == 11월 9일 == ||<#eeeeee>
<:> '''1990년 11월 재보궐선거/국회의원 선거 결과''' || ||<#FADA5E><:> [include(틀:평화민주당)]|| ||<:>'''1석''' || ||<:>'''[[제13대 국회의원]]'''|| ||<-2><:>{{{#FFFFFF '''1990년 11월 재보궐선거 지역구'''}}}|| ||<-2><:>{{{#FFFFFF '''국회의원'''}}}|| ||<:>전라남도 함평군·영광군 [[서경원]](평화민주당) || 국가보안법 위반·비자금 수수 관련 혐의로 의원직 상실 || * 당선자 * 전라남도 함평군·영광군 [[이수인]](평화민주당) === 지역별 선거 결과 === ==== 전라남도 함평군·영광군 ==== ||<-4> {{{#373a3c {{{+1 '''함평군·영광군'''}}}}}}[br]{{{#373a3c 함평군 일원, 영광군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조기상]](曺淇相) || 16,412 || 2위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22.41% || 낙선 || ||<|2> {{{#373a3c {{{+5 '''2'''}}}}}} || '''[[이수인]](李壽仁)''' || '''55,787''' || '''1위''' || || [include(틀:평화민주당)] || '''75.38%''' || '''당선''' || ||<|2> {{{#ffffff {{{+5 --'''3'''--}}}}}} || --김기수(金起秀)-- || - ||<|2> 사퇴 || || --[include(틀:무소속)]-- || - || ||<|2> {{{#ffffff {{{+5 '''4'''}}}}}} || 노금노(魯金盧) || 1,609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2.19%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04,352 ||<|3> '''투표율'''[br]73.80% || || '''투표 수''' || 77,013 || || '''무효표 수''' || 1,019 || [[이수인]] 후보가 외지([[경상북도]]) 출신이라는 불리한 조건에도 불구하고 [[김대중]] 총재의 전폭적인 지원으로 여유롭게 당선되었다. 지역구와 아무런 연고가 없는 외지인을 공천한 데에는 지역감정 해소를 위해서라는 당총재 DJ의 의중에 따른 것이었다. 당 안팎에서 반발이 상당했다고 한다. 이는 김대중 자서전에도 언급된다. [[분류:재보궐선거]][[분류:노태우 정부]][[분류:1990년 선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