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일본시리즈 목록)] ---- ||<-5><#fff> [[일본프로야구|[[파일:NPB 로고.svg|width=30]]]] [br] '''[[일본시리즈|{{{#FF2400 역대 일본시리즈 우승팀}}}]]''' || || [[1989년 일본시리즈|1989년]] [br] [[요미우리 자이언츠]] || {{{+1 ←}}} ||<#fff> '''1990년 [br] [[세이부 라이온즈]]''' || {{{+1 →}}} || [[1991년 일본시리즈|1991년]] [br] [[세이부 라이온즈]] || ---- ||<-2>
<#FFF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990 세이부 우승.jpg|width=600]]}}} || ||<-2><#00aa00> '''{{{#ffffff 1990년 일본시리즈 우승팀}}}''' || ||<-2><#0060b6> [[세이부 라이온즈|'''{{{#ffffff 세이부 라이온즈}}}''']] || ||<#00aa00> '''{{{#FFFFFF MVP}}}''' ||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0060b6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 [목차] == 개요 == ||<-2>
<:> {{{+2 {{{#ffca18 '''NIPPON SERIES 1990'''}}}}}} || ||<:> [[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width=140]]||<#000000>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85-92).svg|width=100]] ||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ffffff {{{+1 '''세이부 라이온즈'''}}}}}}]]||<#fe5a1d> [[요미우리 자이언츠|{{{#ffffff {{{+1 '''요미우리 자이언츠'''}}}}}}]] || [[1983년 일본시리즈]]과 [[1987년 일본시리즈]]에 이어서 [[세이부 철도]] 인수 및 [[사이타마현]]으로의 연고 이전 이후 세 번째 시리즈 맞대결이다. 두 팀 모두 각 리그에서 압도적인 실력으로 리그 우승을 차지했는데, 시리즈 예상은 쿄진의 우세를 점치는 분위기였다. 하지만, 결과는 1983년과 1987년의 경우보다 쿄진에게는 더욱 비참한 결과만이 기다리고 있었다. 반면에 세이부는 4경기 동안 두 번의 셧아웃과 매경기 쿄진과의 득점차를 4점 이상 내는 등의 압도적인 실력차이를 보여주었고, '프로야구 70년사'에서는 '완벽한 야구를 보여주었다(完璧な野球をみせた)'라는 평가를 내렸을 정도. 세이부는 비록 1989년 제패에 실패하면서 연속 우승은 3년에서 끊기고 말았지만, [[요미우리 자이언츠]]를 압도하면서 또 한번의 황금기를 이룩할 초석을 다시 세운 시리즈였다. == 일정 및 결과 == ||
'''경기''' || '''날짜''' || '''경기장''' || '''원정팀''' ||<-2> '''점수''' || '''홈팀''' || '''중계''' || || '''1차전''' || 10월 20일(토) ||<|2> [[도쿄 돔]] ||<#0060b6> '''[[세이부 라이온즈|{{{#ffffff 세이부 라이온즈}}}]]''' || '''5''' || '''0''' ||<#000000> '''[[요미우리 자이언츠|{{{#fe5a1d 요미우리 자이언츠}}}]]''' ||<|2> [[파일:닛폰 테레비 NTV 로고.svg|width=50]] || || '''2차전''' || 10월 21일(일) ||<#0060b6> '''[[세이부 라이온즈|{{{#ffffff 세이부 라이온즈}}}]]''' || '''9''' || '''5''' ||<#000000> '''[[요미우리 자이언츠|{{{#fe5a1d 요미우리 자이언츠}}}]]''' || || '''3차전''' || 10월 23일(화) ||<|2> [[세이부 라이온즈 구장]] ||<#000000> '''[[요미우리 자이언츠|{{{#fe5a1d 요미우리 자이언츠}}}]]''' || '''0''' || '''7''' ||<#0060b6> '''[[세이부 라이온즈|{{{#ffffff 세이부 라이온즈}}}]]''' || [[파일:TBS 테레비 로고(1961~1991).png|width=50]] || || '''4차전''' || 10월 24일(수) ||<#000000> '''[[요미우리 자이언츠|{{{#fe5a1d 요미우리 자이언츠}}}]]''' || '''3''' || '''7''' ||<#0060b6> '''[[세이부 라이온즈|{{{#ffffff 세이부 라이온즈}}}]]''' || [[NHK 종합 텔레비전|NHK 종합]][* NHK 지상파 채널을 통해 생중계된 마지막 일본시리즈 경기.][br][[파일:테레비 아사히 로고 1977.svg|width=40]] || ||<-8> {{{#FFFFFF '''우승 :'''}}} [[세이부 라이온즈|{{{#FFFFFF '''세이부 라이온즈'''}}}]]{{{#FFFFFF '''(2년 만, 통산 9회)'''}}} || == 경기 내용 == === 1차전 === ||
<-30>
'''1990.10.20(土) 13:04 | [[도쿄 돔|{{{#ffffff 도쿄 돔}}}]]''' : '''46,008명'''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세이부 라이온즈|{{{#ffffff 西武}}}]]''' || [[와타나베 히사노부]] || 3 || 0 || 0 || 0 || 1 || 0 || 0 || 0 || 1 ||<#ffd700> '''5''' || 9 || 0 || || '''[[요미우리 자이언츠|{{{#f49c00 巨人}}}]]''' || [[마키하라 히로미]] || 0 || 0 || 0 || 0 || 0 || 0 || 0 || 0 || 0 ||<#dcdcdc> '''0''' || 3 || 1 || ---- ○ '''{{{#blue 승}}}'''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60b6; font-size: 0.8em" [[세이부 라이온즈|{{{#ffffff {{{-2 西武}}}}}}]]}}} [[와타나베 히사노부]](1승) ● '''{{{#red 패}}}'''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8em" [[요미우리 자이언츠|{{{#f49c00 {{{-2 巨人}}}}}}]]}}} [[마키하라 히로미]](1패) ※ '''선발 투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60b6; font-size: 0.8em" [[세이부 라이온즈|{{{#ffffff {{{-2 西武}}}}}}]]}}} [[와타나베 히사노부]] : 9이닝 134구 3피안타 2볼넷 9탈삼진 '''완봉승'''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8em" [[요미우리 자이언츠|{{{#f49c00 {{{-2 巨人}}}}}}]]}}} [[마키하라 히로미]] : 6이닝 95구 6피안타 2볼넷 4탈삼진 4실점(4자책) ※ '''홈런'''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60b6; font-size: 0.8em" [[세이부 라이온즈|{{{#ffffff {{{-2 西武}}}}}}]]}}}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1회 3점)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8em" [[요미우리 자이언츠|{{{#f49c00 {{{-2 巨人}}}}}}]]}}} 無 ---- 쿄진은 당초 예상했던 [[사이토 마사키]]가 아니라 마키하라가 1차전 선발로 나왔다. 시구는 당시 [[도쿄도지사]]였던 스즈키 슌이치(鈴木俊一).[* 나무위키 문서가 있는 [[중의원]] [[스즈키 슌이치]]와는 한자까지 같은 동명이인이다.] 마키하라가 1회부터 데스트라데에게 쓰리볼에서 홈런을 맞고 떡실신.[* 키요하라의 말에 따르면, 세이부는 미팅에서 3볼 노스트라이크에서는 일반적으로 기다리는 것이 보통이지만 마키하라는 0-3에서 절대로 변화구를 던지지 않는다는 확실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마키하라와 승부할 때 0-3에서는 적극적으로 카운트 따러 들어오는 직구를 노릴 것을 주문했다고 한다.] 일본시리즈 첫 타석에서 홈런을 기록한 선수로는 역대 9번째였다. 쿄진은 1회말 선두타자 [[시노즈카 카즈노리]]가 볼넷으로 출루했지만 [[이토 츠토무]]의 불꽃 송구로 견제서당하면서 찬물을 끼얹어버렸다. 세이부는 5회와 9회에도 추가점을 뽑았고, 선발 와타나베의 3피안타 완봉으로 셧아웃시켜버렸다. 와타나베는 타자로서도 3개의 희생번트로 일본시리즈 타이 기록을 세웠다. === 2차전 === ||
<-30>
'''1990.10.21(日) 13:02 | [[도쿄 돔|{{{#ffffff 도쿄 돔}}}]]''' : '''46,153명'''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세이부 라이온즈|{{{#ffffff 西武}}}]]''' || [[쿠도 키미야스]] || 2 || 2 || 3 || 0 || 0 || 0 || 1 || 1 || 0 ||<#ffd700> '''9''' || 13 || 0 || || '''[[요미우리 자이언츠|{{{#f49c00 巨人}}}]]''' || [[사이토 마사키]] || 0 || 2 || 0 || 1 || 1 || 0 || 0 || 1 || 0 ||<#dcdcdc> '''5''' || 9 || 2 || ---- ○ '''{{{#blue 승}}}'''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60b6; font-size: 0.8em" [[세이부 라이온즈|{{{#ffffff {{{-2 西武}}}}}}]]}}} [[시오자키 테츠야]](1승) ● '''{{{#red 패}}}'''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8em" [[요미우리 자이언츠|{{{#f49c00 {{{-2 巨人}}}}}}]]}}} [[사이토 마사키]](1패) ※ '''선발 투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60b6; font-size: 0.8em" [[세이부 라이온즈|{{{#ffffff {{{-2 西武}}}}}}]]}}} [[쿠도 키미야스]] : 3⅓이닝 72구 5피안타 3볼넷 3탈삼진 3실점(3자책)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8em" [[요미우리 자이언츠|{{{#f49c00 {{{-2 巨人}}}}}}]]}}} [[사이토 마사키]] : 2⅔이닝 75구 9피안타 2볼넷 7실점(6자책) ※ '''홈런'''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60b6; font-size: 0.8em" [[세이부 라이온즈|{{{#ffffff {{{-2 西武}}}}}}]]}}} [[이토 츠토무]](2회 2점),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3회 3점)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8em" [[요미우리 자이언츠|{{{#f49c00 {{{-2 巨人}}}}}}]]}}} [[오카자키 카오루]](2회 2점), [[시노즈카 카즈노리]](8회 1점) ---- 쿄진은 1선발로 예상되었던 [[사이토 마사키]]를, 세이부는 [[쿠도 키미야스]]를 선발로 내정했다. 1회초부터 세이부가 2사 1,3루의 득점권 찬스를 만든 상태에서 데스트라데가 타석에 들어섰다. 사이토는 데스트라데 타석에서 폭투로 선취점을 내준 데 이어서 안타까지 맞으면서 2실점으로 스타트를 끊었다. 2회초 세이부 공격 때, 하라가 1차전에 이어서 또 실책을 저질렀고 직후에 사이토가 [[이토 츠토무]]에게 홈런을 맞으면서 4:0. 쿄진은 2회말에 무려 쿠도를 상대로 오카자키의 투런포로 점수를 좁혔지만 3회초에 데스트라데의 쓰리런을 바로 맞고 사이토는 무려 7실점을 하고 강판되었다. 쿠도 역시 부진하고 4회에 강판되었지만, 시오자키가 4⅔이닝 2실점으로 활약하면서 첫 승을 챙겼다. 세이부는 이 경기에서 한 경기 5개의 희생번트로 일본시리즈 타이 기록을 세웠다. === 3차전 === ||
<-30>
'''1990.10.23(火) 13:04 | [[세이부 라이온즈 구장|{{{#ffffff 세이부 라이온즈 구장}}}]]''' : '''31,804명'''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요미우리 자이언츠|{{{#f49c00 巨人}}}]]''' || [[쿠와타 마스미]] || 0 || 0 || 0 || 0 || 0 || 0 || 0 || 0 || 0 ||<#dcdcdc> '''0''' || 5 || 0 || || '''[[세이부 라이온즈|{{{#ffffff 西武}}}]]''' || [[와타나베 토미오]] || 3 || 0 || 0 || 0 || 0 || 1 || 0 || 3 || X ||<#ffd700> '''7''' || 9 || 1 || ---- ○ '''{{{#blue 승}}}'''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60b6; font-size: 0.8em" [[세이부 라이온즈|{{{#ffffff {{{-2 西武}}}}}}]]}}} [[와타나베 토미오]](1승) ● '''{{{#red 패}}}'''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8em" [[요미우리 자이언츠|{{{#f49c00 {{{-2 巨人}}}}}}]]}}} [[쿠와타 마스미]](1패) ※ '''선발 투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8em" [[요미우리 자이언츠|{{{#f49c00 {{{-2 巨人}}}}}}]]}}} [[쿠와타 마스미]] : 8이닝 126구 9피안타 2볼넷 3탈삼진 7실점(7자책) '''완투패'''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60b6; font-size: 0.8em" [[세이부 라이온즈|{{{#ffffff {{{-2 西武}}}}}}]]}}} [[와타나베 토미오]] : 9이닝 136구 5피안타 3볼넷 5탈삼진 '''완봉승''' ※ '''홈런'''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8em" [[요미우리 자이언츠|{{{#f49c00 {{{-2 巨人}}}}}}]]}}} 無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60b6; font-size: 0.8em" [[세이부 라이온즈|{{{#ffffff {{{-2 西武}}}}}}]]}}} [[아키야마 코지]](6회 1점) ---- 적지 [[도쿄 돔]]에서 기분좋은 승리를 거두고 온 세이부와는 달리, 두 경기 연속 견제사당하는 등 찬물만 끼얹다 온 쿄진군은 지난 세이부와의 맞대결에서 처참하게 깨진 [[쿠와타 마스미]]를 선발로 내보냈다. 양 선발은 1985년 센바츠 준결승에서 이미 맞대결을 펼친 바 있는데, 당시에는 이노상고([[코치현]])의 와타나베가 [[PL학원고등학교]]의 쿠와타를 꺾고 결승에 올라가서 우승까지 차지했었다. 하지만, 이번에도 쿠와타는 1회부터 데스트라데에게 2타점, 아베 오사무에게 1타점 적시타로 3실점으로 시작하였다. 세이부는 3경기 연속 1회에 득점했으며, 1차전부터 3경기 연속은 최초의 기록이다. 또한, [[츠지 하츠히코]]는 세 경기 모두 첫 타석에서 안타를 치며 절정의 타격감을 자랑했다. 세이부는 6회에 아키야마의 솔로포와 8회 3득점 빅이닝으로 쿠와타에게서 7점을 뺐었고, 쿠와타는 8이닝 7실점 완투패, 와타나베는 지난 [[1989년 일본시리즈]] 4차전의 [[코다 이사오]]에 이어서 일본시리즈 첫 등판에서 완봉을 거둔 선수로 기록되면서 희비가 교차되었고, 쿠와타는 5년 전의 설욕도 실패하였다. 작년과 마찬가지로 쿄진은 0승 3패로 몰린 상태가 되었는데, 세이부는 압도적인 전력의 차이를 보여주며 3승 0패로 사실상 승기를 잡았음에도 자극적인 발언을 피하고 담담한 반응을 보였다. 아무래도, 지난 해의 일본시리즈에서 킨테츠의 투수 카토 테츠로가 3승 0패에서 입을 털다 역스윕당하고 뭇매를 맞은 것에 대한 경계인 듯. === 4차전 === ||
<-30>
'''1990.10.24(水) 13:03 | [[세이부 라이온즈 구장|{{{#ffffff 세이부 라이온즈 구장}}}]]''' : '''31,804명'''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요미우리 자이언츠|{{{#f49c00 巨人}}}]]''' || [[미야모토 카즈토모]] || 0 || 0 || 1 || 0 || 1 || 1 || 0 || 0 || 0 ||<#dcdcdc> '''3''' || 8 || 1 || || '''[[세이부 라이온즈|{{{#ffffff 西武}}}]]''' || [[궈타이위엔]] || 0 || 0 || 0 || 0 || 6 || 0 || 1 || 0 || X ||<#ffd700> '''7''' || 13 || 0 || ---- ○ '''{{{#blue 승}}}'''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60b6; font-size: 0.8em" [[세이부 라이온즈|{{{#ffffff {{{-2 西武}}}}}}]]}}} [[궈타이위엔]](1승) ● '''{{{#red 패}}}'''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8em" [[요미우리 자이언츠|{{{#f49c00 {{{-2 巨人}}}}}}]]}}} [[미야모토 카즈토모]](1패) ※ '''선발 투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8em" [[요미우리 자이언츠|{{{#f49c00 {{{-2 巨人}}}}}}]]}}} [[미야모토 카즈토모]] : 4⅓이닝 92구 8피안타 3볼넷 3탈삼진 5실점(5자책)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60b6; font-size: 0.8em" [[세이부 라이온즈|{{{#ffffff {{{-2 西武}}}}}}]]}}} [[궈타이위엔]] : 6이닝 102구 6피안타 1볼넷 3탈삼진 3실점(3자책) ※ '''홈런'''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8em" [[요미우리 자이언츠|{{{#f49c00 {{{-2 巨人}}}}}}]]}}} [[무라타 신이치]](5회 1점), [[카와이 마사히로]](6회 1점)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60b6; font-size: 0.8em" [[세이부 라이온즈|{{{#ffffff {{{-2 西武}}}}}}]]}}} 無 ---- 엘리미네이션 게임이 된 쿄진군은 [[워렌 크로마티]]를 1번 타순에 배치하는 등 뒤늦게 변화를 주려고 시도했다. 3회초 크로마티의 적시타와 5회초 무라타의 솔로 홈런으로 앞서나가자 효과를 받는가 싶었지만... 5회말 키요하라의 2타점 동점 적시타를 시작으로 타자 일순이 넘는 11명의 타자가 들어서서 6안타 6타점으로 쿄진 마운드를 폭격하면서 마지막 희망까지 앗아가버렸다. 6회에 카와이의 솔로 홈런으로 [[궈타이위엔]]은 6이닝을 끝으로 마운드를 내려갔지만, 1차전에서 활약한 시오자키가 3이닝을 삭제시키면서 세이부가 2년 만에 싱거운 우승을 달성했다. == 타이틀 시상 == * '''최고수훈선수상(MVP)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60b6; font-size: 0.8em" [[세이부 라이온즈|{{{#ffffff {{{-2 西武}}}}}}]]}}}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 '''감투선수상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8em" [[요미우리 자이언츠|{{{#f49c00 {{{-2 巨人}}}}}}]]}}} [[오카자키 카오루]]''' * '''우수선수상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60b6; font-size: 0.8em" [[세이부 라이온즈|{{{#ffffff {{{-2 西武}}}}}}]]}}} [[와타나베 히사노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60b6; font-size: 0.8em" [[세이부 라이온즈|{{{#ffffff {{{-2 西武}}}}}}]]}}} [[츠지 하츠히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60b6; font-size: 0.8em" [[세이부 라이온즈|{{{#ffffff {{{-2 西武}}}}}}]]}}} [[이토 츠토무]]''' == 여담 == * [[세이부 라이온즈]]의 일본시리즈 스윕은 전신인 니시테츠 시절인 1957년 이래 2번째이며 반면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시리즈 무승 피스윕은 역대 세 번째 기록이다.[* 첫 번째는 상술한 세이부의 전신인 [[니시테츠 라이온즈]]와의 1957년 일본시리즈, 두 번째는 [[난카이 호크스]]와의 1959년 일본시리즈이다. 다만 1957년엔 무승부가 1차례 포함되어 있다.] * 1·2차전을 원정경기장에서, 3·4차전을 홈경기장에서 승리하여 시리즈 스윕 우승을 거둔 최초의 일본시리즈였으며, 두 번째는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2020년 일본시리즈]]로, 이때도 요미우리가 피스윕을 내줬다.. * 이 시리즈에 출장했던 요미우리 레전드들은 이 시리즈를 기억에서 삭제시키고 싶은 흑역사 취급을 하는 경우가 많다. 감투상으로 유일하게 타이틀을 획득한 선수회장 오카자키는 "내 야구관이 바뀌었다"라는 평을 남겼고, [[카와이 마사히로]]는 본인의 저서에서 "떠올리는 것조차 역겹다"라고 밝혔다. [[하라 타츠노리]]는 감독으로 다시 세이부를 만나 [[2002년 일본시리즈]]의 인터뷰에서 세이부에 대해 "꺼림을 넘어 콤플렉스, 트라우마를 느끼는 수준"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그래도, 하라는 2002년에 세이부를 상대로 뻥야구의 힘으로 스윕하면서 복수하긴 했다. * 양 팀의 감독이었던 [[모리 마사아키]]와 [[후지타 모토시]]는 [[난카이 호크스]]에게 스윕당했던 1959년 일본시리즈 때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한솥밥을 먹던 동료였다. 후지타는 선수 및 감독으로서 모두 일본시리즈 스윕패를 달성했다. == 둘러보기 틀 == [include(틀: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분류:일본시리즈]][[분류:요미우리 자이언츠]][[분류: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분류:1990년 야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