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건사고)] |||| {{{#fff '''항공 사건 사고 요약표'''}}} || || '''발생일''' ||[[1983년]] [[7월 1일]] || || '''유형''' ||조종사 과실 || || '''발생 위치''' ||기니 레베 인근 || || '''기종''' ||[[Il-62]]M || || '''운영사''' ||[[고려항공|조선민항]] || || '''기체 등록번호''' ||P-889 || || '''출발지''' ||[[평양국제비행장]] || || '''제1경유지''' ||[[카불 국제공항]] || || '''제2경유지''' ||[[카이로 국제공항]] || || '''도착지''' ||[[코나크리]] 국제공항 || ||<|2> '''{{{#black 탑승인원}}}''' ||승객: 17명 || ||승무원: 6명 || || '''사망자''' ||'''탑승객 23명 전원 사망''' || [목차] [clearfix]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889.webp|width=100%]]}}} || || 사고 1년 전 몰타에서 찍힌 사고기. || == 개요 == [[1983년]] [[7월 1일]] [[평양]]에서 카불, 카이로를 거쳐 코나크리로 가던 조선민항(現 [[고려항공]]) 소속 Il-62가 추락한 사고. == 사고기 정보 == 사고기는 1981년에 생산되었으며 동년 조선민항으로 인도되었다. === 전개 === 사고기는 1984년 5월 기니 코나크리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제20회 아프리카 단결 기구[* 현재는 [[아프리카 연합]]으로 통합되었다.] 정상회의를 위한 회담장을 건설하기 위해 기술자, 자제를 싣고 평양을 이륙했다. 이후 카불과 카이로를 거쳐 기니 코나크리에 접근 중 리베 마을 근처 고원에 추락하면서 탑승객 23명 전원이 사망했다. == 사고 원인 == 원인이 잘 알려지지 않았으나 조종사의 피로로 인한 추락이 주된 원인으로 꼽힌다. == 사고 이후 == 기니 정부 고위 대표단이 [[김일성]]에게 공식적으로 조의를 표했다. [[분류:1983년 항공사고]][[분류:조종사 과실로 인한 항공사고]][[분류:Il-62/사건 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