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1978 FIFA 월드컵 아르헨티나)] [include(틀:역대 FIFA 월드컵/지역예선)] [목차] == 개요 == [[1978 FIFA 월드컵 아르헨티나]]의 지역예선을 다루는 항목. 16강 본선 조별리그 진출팀을 뽑는 지역 예선에서 진출권 배당은 아래와 같았다. || 대륙 || 진출권 수 || 비고 || || 북중미카리브 || 1 || || || 남미 || 3.5 || 유럽과 대륙간 플레이오프 || || 아시아 + 오세아니아 || 1 || || || 아프리카 || 1 || || || 유럽 || 9.5 || 남미와 대륙간 플레이오프 || || 합계 || 16 || || == 유럽 == 서독이 디펜딩 챔피언 자격으로 본선에 자동 진출했다. 32개 팀이 9개 조로 나뉘어 1조부터 8조까지는 각 조에서 1위를 한 팀이 본선에 직행하고, 9조에서 1위를 한 팀은 남미 지역 예선 2라운드에서 3위를 한 팀과의 대륙간 플레이오프로 진출. 1~5조는 4팀, 6~9조는 3팀으로 구성되었다. === 1조 === || '''순위''' ||<-2> 국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30]] || [[폴란드 축구 국가대표팀|폴란드]] || 6 || 5 || 1 || 0 || 17 || 4 || +13 || 11 || || 2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30]] || [[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포르투갈]] || 6 || 4 || 1 || 1 || 12 || 6 || +6 || 9 || || 3 ||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30]] || [[덴마크 축구 국가대표팀|덴마크]] || 6 || 2 || 0 || 4 || 14 || 12 || +2 || 4 || || 4 || [[파일:키프로스 국기.svg|width=30]] || [[키프로스 축구 국가대표팀|키프로스]] || 6 || 0 || 0 || 6 || 3 || 24 || -21 || 0 || 지난 대회 3위팀 폴란드가 무난하게 2연속 본선에 진출하였다. === 2조 === || '''순위''' ||<-2> 국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 || 6 || 5 || 0 || 1 || 18 || 4 || +14 || 10 || || 2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 ||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잉글랜드]] || 6 || 5 || 0 || 1 || 15 || 4 || +11 || 10 || || 3 || [[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30]] || [[핀란드 축구 국가대표팀|핀란드]] || 6 || 2 || 0 || 4 || 11 || 16 || -5 || 4 || || 4 ||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width=30]] || [[룩셈부르크 축구 국가대표팀|룩셈부르크]] || 6 || 0 || 0 || 6 || 2 || 22 || -20 || 0 || 어째서인지 월드컵 우승 경험이 있는 두 팀끼리 묶여 [[죽음의 조]]가 되었다. 결국 이탈리아와 잉글랜드는 같은 승점을 기록했으나 골 득실차에 의해 이탈리아가 본선에 진출했다. === 3조 === || '''순위''' ||<-2> 국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width=30]] ||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오스트리아]] || 6 || 4 || 2 || 0 || 14 || 2 || +12 || 10 || || 2 || [[파일:동독 국기.svg|width=30]] || [[동독 축구 국가대표팀|동독]] || 6 || 3 || 3 || 0 || 15 || 4 || +11 || 9 || || 3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30]] || [[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튀르키예]] || 6 || 2 || 1 || 3 || 9 || 5 || +4 || 5 || || 4 || [[파일:몰타 국기.svg|width=30]] || [[몰타 축구 국가대표팀|몰타]] || 6 || 0 || 0 || 6 || 0 || 27 || -27 || 0 || 오스트리아가 지난 대회 8강팀 동독을 제치고 20년 만에 본선에 진출했다. 동독은 3승3무 무패를 기록했지만 터키에 홈에서 기록한 1-1 무승부가 발목을 잡아 결국 탈락했다. 최하위 몰타는 오스트리아와 동독 원정에서 0-9 대패를 당하기도 했다. === 4조 === || '''순위''' ||<-2> 국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네덜란드]] || 6 || 5 || 1 || 0 || 11 || 3 || +8 || 11 || || 2 ||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30]] || [[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벨기에]] || 6 || 3 || 0 || 3 || 7 || 6 || +1 || 6 || || 3 ||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width=30]] || [[북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북아일랜드]] || 6 || 2 || 1 || 3 || 7 || 6 || +1 || 5 || || 4 ||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width=30]] || [[아이슬란드 축구 국가대표팀|아이슬란드]] || 6 || 1 || 0 || 5 || 2 || 12 || -10 || 2 || 지난 대회 지역예선에서 노르웨이 대신 북아일랜드가 들어간 걸 빼면 똑같은 조편성에서 지난 대회 준우승팀 네덜란드가 가볍게 2회 연속 본선에 올라갔다. === 5조 === || '''순위''' ||<-2> 국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프랑스]] || 4 || 2 || 1 || 1 || 7 || 4 || +3 || 5 || || 2 || [[파일: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국기(1971–1990).svg|width=30]] || [[불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불가리아]] || 4 || 1 || 2 || 1 || 5 || 6 || -1 || 4 || || 3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30]] || [[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아일랜드]] || 4 || 1 || 1 || 2 || 2 || 4 || -2 || 3 || || - || [[파일: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 공화국 국기.svg|width=30]] || [[알바니아 축구 국가대표팀|알바니아]] ||<-8> 기권 || 알바니아는 기권했다. 프랑스가 불가리아와의 최종전에서 [[미셸 플라티니]]의 활약으로 3-1 승리를 거두고 12년 만의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 불가리아는 5회 연속 본선 진출 도전에 실패했다. === 6조 === || '''순위''' ||<-2> 국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30]] ||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스웨덴]] || 4 || 3 || 0 || 1 || 7 || 4 || +3 || 6 || || 2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30]] || [[노르웨이 축구 국가대표팀|노르웨이]] || 4 || 2 || 0 || 2 || 3 || 4 || -1 || 4 || || 3 ||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30]] || [[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스위스]] || 4 || 1 || 0 || 3 || 3 || 5 || -2 || 2 || 스웨덴이 통산 7번째이자 3회 연속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 === 7조 === || '''순위''' ||<-2> 국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width=30]] || [[스코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스코틀랜드]] || 4 || 3 || 0 || 1 || 6 || 3 || +3 || 6 || || 2 || [[파일:체코 국기.svg|width=30]] || [[체코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체코슬로바키아]] || 4 || 2 || 0 || 2 || 4 || 6 || -2 || 4 || || 3 || [[파일:웨일스 국기.svg|width=30]] || [[웨일스 축구 국가대표팀|웨일스]] || 4 || 1 || 0 || 3 || 3 || 4 || -1 || 2 || 스코틀랜드가 첫 경기 체코슬로바키아 원정에서 0-2 패배를 당한 이후 당시 유로1976 챔피언이었던 체코슬로바키아를 격파하며 조 3연승을 거두며 통산 4번째이자 2회 연속 본선에 진출했다. === 8조 === || '''순위''' ||<-2> 국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파일:스페인 국기(1977-1981).svg|width=30]] ||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스페인]] || 4 || 3 || 0 || 1 || 4 || 1 || +3 || 6 || || 2 || [[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30]] || [[루마니아 축구 국가대표팀|루마니아]] || 4 || 2 || 0 || 2 || 7 || 8 || -1 || 4 || || 3 ||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width=30]] || [[유고슬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유고슬라비아]] || 4 || 1 || 0 || 3 || 6 || 8 || -2 || 2 || 스페인이 1966년 이후 12년 만에 본선에 진출했다. 스페인과 유고슬라비아는 무려 3회 연속으로 지역예선에서 같은 조로 편성되었다. === 9조 === || '''순위''' ||<-2> 국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파일:헝가리 인민 공화국 국기(1957–1990).svg|width=30]] ||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헝가리]] || 4 || 2 || 1 || 1 || 6 || 4 || +2 || 5 || || 2 || [[파일:소련 국기.svg|width=30]] ||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소련]] || 4 || 2 || 0 || 2 || 5 || 3 || +2 || 4 || || 3 || [[파일:그리스 국기.svg|width=30]] || [[그리스 축구 국가대표팀|그리스]] || 4 || 1 || 1 || 2 || 2 || 6 || -4 || 2 || 헝가리가 남미 대륙과의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헝가리와 소련이 서로간의 맞대결에서 1승1패를 기록한 가운데 그리스에 1승1무를 기록했던 헝가리가 조1위가 되었다. == 남미 == 개최국 아르헨티나가 자동 진출하는 가운데 나머지 9개 팀이 3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로 1라운드를 치른 뒤 각 조 1위팀이 대륙간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확보하고 2라운드에 진출했다. 2라운드는 플레이오프를 치를 1팀을 결정하는 라운드로 중립 지역에서 풀리그를 한 뒤 꼴찌 팀만 유럽과에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하고, 나머지 상위 2개 팀은 본선에 직행했다. === 1라운드 === ==== 1조 ==== || '''순위''' ||<-2> 국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브라질]] || 4 || 2 || 2 || 0 || 8 || 1 || +7 || 6 || || 2 || [[파일:파라과이 국기.svg|width=30]] || [[파라과이 축구 국가대표팀|파라과이]] || 4 || 1 || 2 || 1 || 3 || 3 || 0 || 4 || || 3 || [[파일:콜롬비아 국기.svg|width=30]] || [[콜롬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콜롬비아]] || 4 || 0 || 2 || 2 || 1 || 8 || -7 || 2 || ==== 2조 ==== || '''순위''' ||<-2> 국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파일:볼리비아 국기.svg|width=30]] || [[볼리비아 축구 국가대표팀|볼리비아]] || 4 || 3 || 1 || 0 || 8 || 3 || +5 || 7 || || 2 || [[파일:우루과이 국기.svg|width=30]] ||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우루과이]] || 4 || 1 || 2 || 1 || 5 || 4 || +1 || 4 || || 3 ||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width=30]] || [[베네수엘라 축구 국가대표팀|베네수엘라]] || 4 || 0 || 1 || 3 || 2 || 8 || -6 || 1 || ==== 3조 ==== || '''순위''' ||<-2> 국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파일:페루 국기.svg|width=30]] || [[페루 축구 국가대표팀|페루]] || 4 || 2 || 2 || 0 || 8 || 2 || +6 || 6 || || 2 || [[파일:칠레 국기.svg|width=30]] || [[칠레 축구 국가대표팀|칠레]] || 4 || 2 || 1 || 1 || 5 || 3 || +2 || 5 || || 3 || [[파일:에콰도르 국기.svg|width=30]] || [[에콰도르 축구 국가대표팀|에콰도르]] || 4 || 0 || 1 || 3 || 1 || 9 || -8 || 1 || === 2라운드 === || '''순위''' ||<-2> 국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브라질]] || 2 || 2 || 0 || 0 || 9 || 0 || +9 || 4 || || 2 || [[파일:페루 국기.svg|width=30]] || [[페루 축구 국가대표팀|페루]] || 2 || 1 || 0 || 1 || 5 || 1 || +4 || 2 || || 3 || [[파일:볼리비아 국기.svg|width=30]] || [[볼리비아 축구 국가대표팀|볼리비아]] || 2 || 0 || 0 || 2 || 0 || 13 || -13 || 0 || 2라운드는 콜롬비아에서 개최되었는데, 브라질이 페루와 볼리비아를 각각 1-0, 8-0으로 제압하고 가장 먼저 본선 직행을 확정한 가운데, 남은 한 장의 직행권을 걸고 페루와 볼리비아가 [[단두대 매치]]를 벌였고, 여기서 페루가 5-0으로 이겨 본선 직행, 볼리비아는 유럽 팀과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치르게 되었다. == 북중미 == 1977년 CONCACAF 선수권 대회와 월드컵 지역 예선을 겸했다. 1라운드는 16개 국가가 북미, 중미, 카리브해 지역으로 나뉘어 각각 2팀 씩 최종예선 진출 국가를 가린 뒤 최종예선에서 6팀이 리그를 치루어 그 중 1위만 본선에 진출했다. === 1라운드 === ==== 북미 ==== || '''순위''' ||<-2> 국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30]] || [[멕시코 축구 국가대표팀|멕시코]] || 4 || 1 || 2 || 1 || 3 || 1 || +2 || 4 || || 2=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30]] || [[캐나다 축구 국가대표팀|캐나다]] || 4 || 1 || 2 || 1 || 2 || 3 || -1 || 4 || || 2=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 [[미국 축구 국가대표팀|미국]] || 4 || 1 || 2 || 1 || 3 || 4 || -1 || 4 || 멕시코, 캐나다, 미국 모두 1승2무1패가 되었는데 골득실에서 가장 앞선 멕시코가 최종예선에 진출하고 캐나다와 미국이 플레이오프를 치렀다. 아이티에서 열린 캐나다와 미국의 플레이오프는 캐나다가 3-0 승리를 거두며 최종예선에 진출했다. ==== 중미 ==== || '''순위''' ||<-2> 국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파일:과테말라 국기.svg|width=30]] || [[과테말라 축구 국가대표팀|과테말라]] || 6 || 3 || 2 || 1 || 15 || 6 || +9 || 8 || || 2 ||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width=30]] || [[엘살바도르 축구 국가대표팀|엘살바도르]] || 6 || 2 || 3 || 1 || 10 || 7 || +3 || 7 || || 3 ||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width=30]] || [[코스타리카 축구 국가대표팀|코스타리카]] || 6 || 1 || 4 || 1 || 8 || 6 || +2 || 6 || || 4 || [[파일:파나마 국기.svg|width=30]] || [[파나마 축구 국가대표팀|파나마]] || 6 || 1 || 1 || 4 || 7 || 21 || -14 || 3 || 과테말라와 엘살바도르가 최종예선에 진출했다. ==== 카리브해 ==== * 예비 예선 - '''아이티'''가 도미니카 공화국을 꺾고 1라운드에 올라갔다. * 1라운드 - '''수리남, 아이티, 쿠바'''가 가이아나,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자메이카를 꺾고 2라운드에 올라갔다. 바베이도스와 트리니다드 토바고는 1승1패에 골득실이 같아 플레이오프를 치렀고 트리니다드 토바고의 3-1 승으로 2라운드에 올라갔다. * 2라운드 - 수리남과 트리니다드 토바고, 쿠바와 아이티의 1,2차전 맞대결은 모두 무승부가 나오며 플레이오프를 치렀고 수리남이 3-2 승리, 아이티가 2-0 승리를 거두며 최종예선에 진출했다. === 최종 예선 === || '''순위''' ||<-2> 국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30]] || [[멕시코 축구 국가대표팀|멕시코]] || 5 || 5 || 0 || 0 || 20 || 5 || +15 || 10 || || 2 || [[파일:아이티 국기(1964-1986).svg|width=30]] || [[아이티 축구 국가대표팀|아이티]] || 5 || 3 || 1 || 1 || 6 || 6 || 0 || 7 || || 3 ||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width=30]] || [[엘살바도르 축구 국가대표팀|엘살바도르]] || 5 || 2 || 1 || 2 || 8 || 9 || -1 || 5 || || 4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30]] || [[캐나다 축구 국가대표팀|캐나다]] || 5 || 2 || 1 || 2 || 7 || 8 || -1 || 5 || || 5 || [[파일:과테말라 국기.svg|width=30]] || [[과테말라 축구 국가대표팀|과테말라]] || 5 || 1 || 1 || 3 || 8 || 10 || -2 || 3 || || 6 || [[파일:수리남 국기.svg|width=30]] || [[수리남 축구 국가대표팀|수리남]] || 5 || 0 || 0 || 5 || 6 || 17 || -11 || 0 || 멕시코가 안방에서 열린 CONCACAF 선수권 대회를 겸한 최종예선에서 가볍게 5전 전승을 거두며 8년 만에 본선에 진출했다. == 아시아 + 오세아니아 == 21개 국가가 1조는 6팀, 2~4조는 4팀, 5조는 3팀으로 5개 조로 나뉘어 1조는 1,2위팀이 플레이오프로 최종예선 진출, 나머지 조는 조 1위만 최종예선으로 진출. 그 중에서 1위팀만 본선에 진출했다. === 1라운드 === ==== 1조 ==== || '''순위''' ||<-2> 국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파일:영국령 홍콩 기.svg|width=30]] || [[홍콩 축구 국가대표팀|홍콩]] || 4 || 2 || 2 || 0 || 9 || 5 || +4 || 6 || || 2 || [[파일:싱가포르 국기.svg|width=30]] || [[싱가포르 축구 국가대표팀|싱가포르]] || 4 || 2 || 1 || 1 || 5 || 6 || -1 || 5 || || 3 ||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30]] || [[말레이시아 축구 국가대표팀|말레이시아]] || 4 || 1 || 2 || 1 || 7 || 6 || +1 || 4 || || 4 ||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30]] ||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인도네시아]] || 4 || 1 || 1 || 2 || 7 || 7 || 0 || 3 || || 5 || [[파일:태국 국기.svg|width=30]] || [[태국 축구 국가대표팀|태국]] || 4 || 1 || 0 || 3 || 8 || 12 || -4 || 2 || || - || [[파일:스리랑카 국기.svg|width=30]] || [[스리랑카 축구 국가대표팀|스리랑카]] ||<-8> 기권 || 모든 경기가 싱가포르에서 열렸고 홍콩이 1위, 싱가포르가 2위를 차지하며 플레이오프를 치렀다. 플레이오프에서 홍콩이 싱가포르에 1-0으로 이기며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 2조 ==== || '''순위''' ||<-2> 국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 4 || 2 || 2 || 0 || 4 || 1 || +3 || 6 || || 2 || [[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30]] || [[이스라엘 축구 국가대표팀|이스라엘]] || 4 || 2 || 1 || 1 || 5 || 3 || +2 || 5 || || 3 ||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일본]] || 4 || 0 || 1 || 3 || 0 || 5 || -5 || 1 || || - || [[파일:북한 국기.svg|width=30]] || [[북한 축구 국가대표팀|북한]] ||<-8> 기권 || 북한이 기권한 가운데 대한민국이 이스라엘과 일본에 1승1무씩 기록하며 최종예선에 진출했다. ==== 3조 ==== || '''순위''' ||<-2> 국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파일:팔라비 왕조 국기.svg|width=30]] ||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이란]] || 4 || 4 || 0 || 0 || 8 || 0 || +8 || 8 || || 2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30]] || [[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사우디아라비아]] || 4 || 1 || 0 || 3 || 3 || 7 || -4 || 2 || || 3 || [[파일:시리아국기(1972-1980).png|width=30]] || [[시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시리아]] || 4 || 1 || 0 || 3 || 2 || 6 || -4 || 2 || || - || [[파일:이라크 국기(1963-1991).png|width=30]] || [[이라크 축구 국가대표팀|이라크]] ||<-8> 기권 || [[이란-이라크 전쟁]]을 치르고 있는 이라크가 기권하였다. 그동안 불참하던 사우디아라비아가 처음으로 예선 참가한 가운데 이란이 4전 전승으로 최종예선에 진출했다. ==== 4조 ==== || '''순위''' ||<-2> 국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파일:쿠웨이트 국기.svg|width=30]] || [[쿠웨이트 축구 국가대표팀|쿠웨이트]] || 4 || 4 || 0 || 0 || 10 || 2 || +8 || 8 || || 2 || [[파일:바레인 국기.svg|width=30]] || [[바레인 축구 국가대표팀|바레인]] || 4 || 1 || 0 || 3 || 4 || 6 || -2 || 2 || || 3 || [[파일:카타르 국기.svg|width=30]] || [[카타르 축구 국가대표팀|카타르]] || 4 || 1 || 0 || 3 || 3 || 9 || -6 || 2 || || -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30]] || [[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아랍에미리트]] ||<-8> 기권 || 쿠웨이트가 최종예선에 진출했다. 아랍에미리트, 카타르, 바레인은 처음으로 예선 참가를 했으나 아랍에미리트는 기권했다. ==== 5조 ==== || '''순위''' ||<-2> 국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파일:호주 국기.svg|width=30]] || [[호주 축구 국가대표팀|호주]] || 4 || 3 || 1 || 0 || 9 || 3 || +6 || 7 || || 2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30]] || [[뉴질랜드 축구 국가대표팀|뉴질랜드]] || 4 || 2 || 1 || 1 || 14 || 4 || +10 || 5 || || 3 || [[파일:대만 국기.svg|width=30]] || [[대만 축구 국가대표팀|대만]] || 4 || 0 || 0 || 4 || 1 || 17 || -16 || 0 || 지난 대회에서 본선에 진출해서 1974서독월드컵 14위했던 호주가 최종예선에 진출했다. 기권과 불참 끝에 처음으로 월드컵 예선을 치른 대만은 중국과의 정치적인 문제로 OFC로 이동했으나 4전 전패로 탈락했다. === 최종예선 === || '''순위''' ||<-2> 국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파일:팔라비 왕조 국기.svg|width=30]] ||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이란]] || 8 || 6 || 2 || 0 || 12 || 3 || +9 || 14 || || 2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 8 || 3 || 4 || 1 || 12 || 8 || +4 || 10 || || 3 || [[파일:쿠웨이트 국기.svg|width=30]] || [[쿠웨이트 축구 국가대표팀|쿠웨이트]] || 8 || 4 || 1 || 3 || 13 || 8 || +5 || 9 || || 4 || [[파일:호주 국기.svg|width=30]] || [[호주 축구 국가대표팀|호주]] || 8 || 3 || 1 || 4 || 11 || 8 || +3 || 7 || || 5 || [[파일:영국령 홍콩 기.svg|width=30]] || [[홍콩 축구 국가대표팀|홍콩]] || 8 || 0 || 0 || 8 || 5 || 26 || -21 || 0 || 이란이 사상 첫 월드컵 본선(16강 조별리그)에 진출하였다. 대한민국은 1위 이란과 두 번 모두 비겼으나 이란이 나머지 팀들에게 모두 전승을 기록한 반면 대한민국은 호주에 1무1패, 쿠웨이트에 1무로 발목잡히며 탈락했다. 대한민국과 이란의 경기(이란 홈)가 있던 날 [[이리역 폭발사고]]가 발생했다. == 아프리카 == === 예비 라운드 === || 국가명 || 결과 || 국가명 || 1차전 || 2차전 ||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width=30]] '''[[시에라리온 축구 국가대표팀|시에라리온]]''' || 6-3 ||[[파일:니제르 국기.svg|width=30]] [[니제르 축구 국가대표팀|니제르]] || 5-1 || 1-2 || ||[[파일:오트볼타 국기.png|width=30]] '''[[부르키나파소 축구 국가대표팀|오트볼타]]''' || 3-1 ||[[파일:모리타니 국기.svg|width=30]] [[모리타니 축구 국가대표팀|모리타니]] || 1-1 || 2-0 || === 1라운드 === || 국가명 || 결과 || 국가명 || 1차전 || 2차전 || 플레이오프 || ||[[파일:알제리 국기.svg|width=30]] '''[[알제리 축구 국가대표팀|알제리]]''' || 1-0 ||[[파일:시리아국기(1972-1980).png|width=30]] [[리비아 축구 국가대표팀|리비아]] || 1-0 || 0-0 ||<|3> 없음 || ||[[파일:잠비아 국기.svg|width=30]] '''[[잠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잠비아]]''' || 5-0 ||[[파일:말라위 국기.svg|width=30]] [[말라위 축구 국가대표팀|말라위]] || 4-0 || 1-0 || ||[[파일:오트볼타 국기.png|width=30]] [[부르키나파소 축구 국가대표팀|오트볼타]] || 1-3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width=30]] '''[[코트디부아르 축구 국가대표팀|코트디부아르]]''' || 1-1 || 0-2 || ||[[파일:가나 국기.svg|width=30]] [[가나 축구 국가대표팀|가나]] || 3-3[br] (PO 0-2) ||[[파일:기니 국기.svg|width=30]] '''[[기니 축구 국가대표팀|기니]]''' || 2-1 || 1-2 || 0-2 ||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width=30]] [[시에라리온 축구 국가대표팀|시에라리온]] || 2-6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width=30]] '''[[나이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나이지리아]]''' || 0-0 || 2-6 ||<|8> 없음 || ||[[파일:토고 국기.svg|width=30]] '''[[토고 축구 국가대표팀|토고]]''' || 2-1 ||[[파일:세네갈 국기.svg|width=30]] [[세네갈 축구 국가대표팀|세네갈]] || 1-0 || 1-1 || ||[[파일:콩고 인민 공화국 국기.svg|width=30]] '''[[콩고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콩고 인민 공화국]]''' || 4-2 ||[[파일:카메룬 국기.svg|width=30]] [[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카메룬]] || 2-2 || 2-0 || ||[[파일:시리아국기(1972-1980).png|width=30]] '''[[이집트 축구 국가대표팀|이집트]]''' || 5-1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width=30]] [[에티오피아 축구 국가대표팀|에티오피아]] || 3-0 || 2-1 || ||[[파일:모로코 국기.svg|width=30]] [[모로코 축구 국가대표팀|모로코]] || 2-2[br](2-4 승부차기) ||[[파일:튀니지 국기.svg|width=30]] '''[[튀니지 축구 국가대표팀|튀니지]]''' || 1-1 || 1-1 || ||[[파일:자이르 국기.svg|width=30]] '''[[콩고민주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자이르]]''' || 부전승 ||[[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width=30]]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없음 || 없음 || ||[[파일:케냐 국기.svg|width=30]] '''[[케냐 축구 국가대표팀|케냐]]''' || 부전승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width=30]] [[수단 축구 국가대표팀|수단 공화국]] || 없음 || 없음 || ||[[파일:우간다 국기.svg|width=30]] '''[[우간다 축구 국가대표팀|우간다]]''' || 부전승 ||[[파일:탄자니아 국기.svg|width=30]] [[탄자니아 축구 국가대표팀|탄자니아]] || 없음 || 없음 || === 2라운드 === || 국가명 || 결과 || 국가명 || 1차전 || 2차전 || ||[[파일:케냐 국기.svg|width=30]] [[케냐 축구 국가대표팀|케냐]] || 0-1 ||[[파일:시리아국기(1972-1980).png|width=30]] '''[[이집트 축구 국가대표팀|이집트]]''' || 0-0 || 0-1 || ||[[파일:튀니지 국기.svg|width=30]] '''[[튀니지 축구 국가대표팀|튀니지]]''' || 3-1 ||[[파일:알제리 국기.svg|width=30]] [[알제리 축구 국가대표팀|알제리]] || 2-0 || 1-1 || ||[[파일:토고 국기.svg|width=30]] [[토고 축구 국가대표팀|토고]] || 1-4 ||[[파일:기니 국기.svg|width=30]] '''[[기니 축구 국가대표팀|기니]]''' || 0-2 || 1-2 ||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width=30]] '''[[코트디부아르 축구 국가대표팀|코트디부아르]]''' || 6-3 ||[[파일:콩고 인민 공화국 국기.svg|width=30]] [[콩고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콩고 인민 공화국]] || 3-2 || 3-1 || ||[[파일:우간다 국기.svg|width=30]] [[우간다 축구 국가대표팀|우간다]] || 3-4 ||[[파일:잠비아 국기.svg|width=30]] '''[[잠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잠비아]]''' || 1-0 || 2-4 ||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width=30]] '''[[나이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나이지리아]]''' || 부전승 ||[[파일:자이르 국기.svg|width=30]] [[콩고민주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자이르]] || 없음 || 없음 || === 3라운드 === || 국가명 || 결과 || 국가명 || 1차전 || 2차전 || ||[[파일:기니 국기.svg|width=30]] [[기니 축구 국가대표팀|기니]] || 2-3 ||[[파일:튀니지 국기.svg|width=30]] '''[[튀니지 축구 국가대표팀|튀니지]]''' || 1-0 || 1-3 ||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width=30]] '''[[나이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나이지리아]]''' || 6-2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width=30]] [[코트디부아르 축구 국가대표팀|코트디부아르]] || 4-0 || 2-2 || ||[[파일:시리아국기(1972-1980).png|width=30]] '''[[이집트 축구 국가대표팀|이집트]]''' || 2-0 ||[[파일:잠비아 국기.svg|width=30]] [[잠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잠비아]] || 2-0 || 0-0 || === 최종 라운드 === || '''순위''' || 국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파일:튀니지 국기.svg|width=30]] '''[[튀니지 축구 국가대표팀|튀니지]]''' || 4 || 2 || 1 || 1 || 7 || 4 || +3 || 5 || || 2 || [[파일:시리아국기(1972-1980).png|width=30]] [[이집트 축구 국가대표팀|이집트]] || 4 || 2 || 0 || 2 || 7 || 11 || -4 || 4 || || 3 ||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width=30]] [[나이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나이지리아]] || 4 || 1 || 1 || 2 || 5 || 4 || +1 || 3 || 튀니지가 사상 처음으로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 대륙 플레이오프 == 저번 대회처럼 유럽과 남미 한 팀씩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치렀다. UEFA 조별 1위 중 최하위 성적팀인 헝가리와 CONMEBOL 최종예선 최하위팀인 볼리비아가 맞붙었다. 두 팀다 월드컵에 오래간만에 진출할 찬스였는데, 진출한다면 헝가리는 1966년 이후 12년만에, 볼리비아는 1950년 이후 28년만의 복귀가 된다. 헝가리가 원정팀의 무덤이라고 불리는 볼리비아 원정에서 3-2로 볼리비아를 꺾어버리는 무시무시한 저력을 보여주며 무난하게 본선에 진출했다.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10%, #7BAFDE 10%, #7BAFDE 20%, #FFFFFF 20%, #FFFFFF 30%, #7BAFDE 30%, #7BAFDE 40%, #FFFFFF 40%, #FFFFFF 60%, #7BAFDE 60%, #7BAFDE 70%, #FFFFFF 70%, #FFFFFF 80%, #7BAFDE 80%, #7BAFDE 90%, #FFFFFF 90%)" '''{{{#000000 플레이오프 진출팀}}}'''}}} || || [[유럽 축구 연맹|[[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width=90]]]][br][[유럽 축구 연맹|{{{#000 유럽}}}]] ||<|2> {{{+2 '''9''' }}} VS {{{+2 '''2'''}}}[br] (Agg) || [[남미 축구 연맹|[[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width=90]]]][br][[남미 축구 연맹|{{{#000 남미}}}]] || || [[파일:헝가리 국기.svg|width=30]]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헝가리]][br](유럽 9조 1위) || [[파일:볼리비아 국기.svg|width=30]] [[볼리비아 축구 국가대표팀|볼리비아]][br](남미 최종예선 3위) || ||<-8>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10%, #7BAFDE 10%, #7BAFDE 20%, #FFFFFF 20%, #FFFFFF 30%, #7BAFDE 30%, #7BAFDE 40%, #FFFFFF 40%, #FFFFFF 60%, #7BAFDE 60%, #7BAFDE 70%, #FFFFFF 70%, #FFFFFF 80%, #7BAFDE 80%, #7BAFDE 90%, #FFFFFF 90%)" '''{{{#000000 경기결과}}}'''}}} || || 경기 || 일자 ||<-2> 홈 팀 || 스코어 ||<-2> 원정팀 || 경기 장소 || || 1차전 || 1977.10.29 || [[파일:헝가리 국기.svg|width=30]] ||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헝가리]] || 6 - 0 || [[파일:볼리비아 국기.svg|width=30]] || [[볼리비아 축구 국가대표팀|볼리비아]] ||[[파일:헝가리 국기.svg|width=30]] [[푸슈카시 아레나|넾슈타디온]] || || 득점자 ||<-7>[[파일:헝가리 국기.svg|width=30]] 닐러시 티보르 (12') | [[파일:헝가리 국기.svg|width=30]] 튀뤼시크 언드라시 (19') | [[파일:헝가리 국기.svg|width=30]] 좀보리 산도르 (22') | [[파일:헝가리 국기.svg|width=30]] 바러디 벨라 (27') [br] [[파일:헝가리 국기.svg|width=30]] 핀테르 샨도르 (39') | [[파일:헝가리 국기.svg|width=30]] 너지 라슬로 (81') || || 2차전 || 1977.11.30 || [[파일:볼리비아 국기.svg|width=30]] || [[볼리비아 축구 국가대표팀|볼리비아]] || 2 - 3 || [[파일:헝가리 국기.svg|width=30]] ||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헝가리]] ||[[파일:볼리비아 국기.svg|width=30]] [[에스타디오 에르난도 실레스]] || || 득점자 ||<-7>[[파일:헝가리 국기.svg|width=30]] 튀뤼시크 언드라시 (37') | [[파일:헝가리 국기.svg|width=30]] 헐라시 이슈트반 (43') | [[파일:볼리비아 국기.svg|width=30]] 카를로스 아라고네스 (45'+2) [br] [[파일:볼리비아 국기.svg|width=30]] 윈드소르 델라노 (84' / '''OG''') | [[파일:볼리비아 국기.svg|width=30]] 카를로스 아라고네스 (90'+4) || 헝가리가 2연승을 거두며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이는 남미 팀이 대륙간 플레이오프에서 패배한 두 번째 사례이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FIFA 월드컵 지역예선/대륙간 플레이오프, version=103, paragraph=1.2)] 유럽 지역 예선 9조 1위 팀, 남미 지역 최종 예선 3위 팀이 참가하며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승자는 본선에 진출했다. || 국가명 || 결과 || 국가명 || 1차전 || 2차전 || ||[[파일:헝가리 인민 공화국 국기(1957–1990).svg|width=30]]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헝가리]]''' || 9-2 ||[[파일:볼리비아 국기.svg|width=30]] [[볼리비아 축구 국가대표팀|볼리비아]] || 6-0 || 3-2 ||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헝가리]]가 [[1966 FIFA 월드컵 잉글랜드|1966년 대회]] 이후 12년 만에 본선에 진출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1978 FIFA 월드컵 아르헨티나, version=172)] [[분류:1978 FIFA 월드컵 아르헨티나]][[분류:FIFA 월드컵 지역예선]]